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동체의 이산과 난민의 정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1830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3-03-3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18302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3-03-30
책 소개
‘난민-공동체-되기’의 민속적 의미와 연구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겠다. 우선, 재한 카렌족의 이주와 정착 과정을 탐색하는 이 연구는, 그간 민속학의 연구주제에서 빗겨있던 난민을 문제영역으로 삼아 민속학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시도였다.
목차
책머리에
1장 민속사회의 타자와 이질성의 공존
1. 불가피한 혼종성과 민속의 인식
2. 성원成員으로서 이주민과 민속의 생성ㆍ변환
3. 이론의 설정과 ‘난민-공동체-되기’
2장 공동체의 이산 혹은 ‘난민-되기’의 다중 구조
1. 카렌족 난민의 발생 조건과 사회생태
2. ‘난민 캠프’의 형성과 민족의 구성
3. 기독교도 되기의 경로와 이유
3장 이주와 정착 혹은 재정착, ‘난민-공동체-되기’
1. 이산離散과 이주의 정치학
2. 정착 혹은 재정착 과정의 구조
3. 공동체의 경계들, 횡단과 배제의 서사
4장 ‘난민-되기’의 의례와 반反구조의 정치적 함의
1. ‘난민-되기’의 의례 구조와 기능적 함의
2. 사회극적 장치로서 ‘난민-되기’의 정치성
3. 체제의 반反구조로서 ‘난민-되기’의 효과
5장 혐오의 반反윤리와 되기 혹은 정동의 윤리
1. 난민에 대한 한국사회의 지배 정동과 반反윤리
2. 되기의 존재 역량 혹은 난민 정동의 윤리적 함의
6장 ‘난민-공동체-되기’의 민속적 의미와 의의
1. 부재하는 타자 혹은 예외적 존재의 현존과 복권
2. 문제 영역의 다층화와 관점 혹은 입장의 다원화
7장 공동체의 이산집합, 경계의 타자와 정동의 윤리
참고문헌
부록1 난민법(법률 제14408호) 일부 발췌
부록2 한국거주민을 위한 카렌어 교재
찾아보기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