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28516148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21-06-20
목차
머리말
1부
공동체성의 변환과 유동하는 경계들∥이영배
1. 연구 목적과 대상
2. 공동체 사유의 변환과 유동하는 경계들
3. 실천의 변환과 경계들의 확장 및 쟁투
4. 체제 변환의 변곡점과 공동체성의 변환
5. 연구 의의와 과제
공공협력을 통한 커먼즈경제의 모색∥박서현
1. 도시마을만들기의 특징
2. 도시에서 생산적 공동체를 만드는 것의 함의
3. 도시마을만들기의 주체: 사회적협동조합
4. 일도2동 도시계획의 역사와 일도2동의 특징
5. 커먼즈를 공동생산?공동관리하는 인화로의 구체적 활동
6. 인화로가 가져온 변화와 인화로의 향후 과제
자율적 문화 실천의 궤적과 그 지평∥안진수
1. 재생산의 기제와 분열적 삶의 인식
2. 상주지역 공동체문화 실천의 지형과 흐름
3. ‘삶 활동’의 자율성과 제한적 양상
4. 유동적 경계와 자율적 실천의 가능성
2부
공동체 예술과 불화의 미학∥권수빈
1. 공동체와 예술의 엉킴
2. 비판과 그 쟁점들
3. 불화와 미학의 정치
4. 자리를 변경하는 예술
「시간의 문」에 나타난 시간의 은유와 타자성∥임보람
1. 시간은유: 죽음과 시간의 타자성
2. 사진-문의 은유: 도래하는 타자의 가능성
3. 사람-문의 은유: 타자의 얼굴 마주하기
팟캐스트 <조대성의 Farm므파탈>의 문화적 의미∥공다해
1.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공동체 미디어 실천
2. 마을미디어의 배경과 실천 양상
3. <조대성의 Farm므파탈>의 내용과 구성
4. <조대성의 Farm므파탈>의 문화적 의미
3부
영양 풍력발전 저지 활동을 통해 본 지역사회의 연대와 저항∥이진교
1. 농촌 지역에서 연대의 중요성
2. 연대의 주체들
3. 조직의 결성과 저항의 실천
4. 연대의 성과와 한계
5. 요약과 전망
<부록> 연석회의ㆍ영양제2풍력 공대위의 회의 일정과 주제
재난의 경험과 사건공동체의 구성∥한정훈
1. 원주 지역의 사회 상황과 남한강 홍수
2. 재해대책사업위원회의 활동과 사건공동체의 구성 전략
3. 체제의 감시와 억압, 새로운 공동체 운동의 가능성
현대 농촌 공동체의 주도적 활동가 유형과 활성화의 동력∥박선미
1. 주도적 활동가의 속성과 정착과정
2. 주도적 활동가의 유형과 활동내용
3. 주도적 활동가와 공동체 활성화의 동력
<부록>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도적 활동가별 활동내용
무위당 장일순의 생명의 사상과 공생의 사회운동∥김기섭
1. 연구 대상과 목적
2. 원주 사람 장일순: 원주의 지리적 특징
3. 교육자 겸 정치가 장일순: 1950년대 초반~1960년대 초반
4. 지역의 사회운동가 장일순: 1960년대 중반~1970년대
5. 생명의 사회운동가 장일순: 1980년대~1994년(서거)
6. 장일순의 사상과 운동이 갖는 시대적 의미
기대리 선애빌 마을을 통해서 본 현대 공동체 구성의 한 단면과 지속성의 윤리∥한정훈
1. 공동체 구성의 계기들, 사람들의 삶과 이야기
2. 공동체의 일상을 통한 공동성과 윤리 구성
3. 공동체의 현재 유지 가능성과 미래 지속 가능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집필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