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28516308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1-08-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이승과 저승의 경계 넘어서기
1장 제주도 특수신본풀이 개요
1. 문제제기
2. 연구대상과 범위
3. 선행연구 검토
2장 특수신본풀이의 분류
1. 본풀이의 개관
2. 특수신본풀이의 범주와 체계
3장 대표적인 특수신본풀이
1. 개별 작품의 서사적 면모
2. 특수신본풀이 서사의 공통 특징
4장 특수신본풀이의 민담적 특징
1. 서사의 공유와 활용
2. 양립적 공존
5장 특수신본풀이와 유사 신화 비교
1. 특수신본풀이와 <차사본풀이>
2. 특수신본풀이와 <바리덕이> 무가
3. 특수신본풀이와 이난나 신화․길가메쉬 서사시
6장 특수신본풀이의 순환적 세계관
1. 나와 너의 경계 넘어서기
2. 이곳과 저곳의 경계 넘어서기
3. 분리와 화합의 원리
4. 결론
제2부 원천강본풀이의 제문제
특수신본풀이의 세계
7장 <원천강본풀이>의 시간과 존재
1. 서론
2. ‘원천강’의 의미
3. 존재의 발견과 탄생
4. 결론
8장 <원천강본풀이>의 교육적 접근
1. 서론
2. 교과서 수록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견해
3. 대안적 방안
4. 결론
9장 조술생본 <원천강본풀이>의 성격
1. 들어가는 말
2. 전설적 속성
3. 전설 속의 신화적 속성
4. 신화의 탄생과 소멸
5. 나오는 말
일반신본풀이의 세계
10장 <초공본풀이>의 서사적․제의적 의미
1. 서론
2. <초공본풀이>의 서사적 의미
3. <초공본풀이>의 제의적 의미
4. 결론
11장 <이공본풀이>와 <삼승할망본풀이>의 모순된 서사의 문제
1. 서론
2. <삼승할망본풀이>에서 충돌하는 인물과 공간
3. 중첩된 세계관의 제의적 반영 사례와 의미
4. 결론
12장 <삼공본풀이>의 신직神職과 전상놀이
1. 서론
2. <삼공본풀이>에 담긴 선금과 <지장본풀이>에 담긴 새의 의미
3. 사록邪祿과 전상놀이
4.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