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28516612
· 쪽수 : 335쪽
· 출판일 : 2021-10-25
목차
서장
동해와 독도 이야기
1. 역사적 성격
2. 유사점과 상이점
01 동해 지명의 역사
1. 한국의 전통지명 동해
2. 일본의 전통지명과 외래지명
3. 서양에서 발생한 다양한 외래지명
4. 근대 한국에서 일본해와 동해
5. 한국의 동해 지명 찾기 운동
Q&A. 국제수로국의 S-23에 일본해가 표기된 배경은?
02 독도의 지리적 환경
1. 위치의 특성
2. 형성과 지형
3. 기후와 생태계
4. 주변 바다의 천연자원
5. 주민과 독도 순례
Q&A. 독도 천연보호구역의 관리는?
03 전근대 한국의 독도 인지
1. 신라 시대의 우산국
2. 고려 시대의 우산도
3. 조선 전기의 울릉제도
4. 안용복의 영토 수호 활동
5. 조선 후기의 독도 지식
Q&A. 영유권 문제에서 지도의 증거력은?
04 전근대 일본의 독도 인지
1. 산인지방 사람들의 도해 활동
2. 독도가 최초로 등장하는 은주시청합기
3. 안용복 사건과 울릉도도해금지령
4. 이마즈야 하치에몬 사건과 울릉도도해금지령
5. 고지도에 표현된 독도
Q&A. 영유권 문제에서 공문의 증명력은?
05 전근대서양의 독도 인지
1. 최초로 등장하는 울릉도와 독도
2. 라페루즈의 동해 탐사와 울릉도 발견
3. 콜넷의 동해 탐사와 가상의 섬 아르고노트
4. 포경선 리앙쿠르호의 독도 발견
5. 올리부차호의 동해 탐사와 독도 발견
Q&A. 독도의 명칭 혼란과 그 영향은?
06 근대 일본의독도 인식과 침탈
1. 외무성의 독도 인식
2. 태정관의 독도 인식
3. 러일전쟁과 독도 침탈
4. 고지도에 표현된 독도
5. 지리교과서에 기술된 독도
Q&A. 독도가 일본령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일본의 학자는?
07 근대 한국의 독도 인식과 대응
1. 울릉도의 개척과 일본인 문제
2. 대한제국 관보의 칙령 제41호
3. 일본의 독도 편입과 한국의 대응
4. 지리교과서에 기술된 독도
5. 일본 식민지기의 지도와 독도
Q&A. 한국의 옛 자료에 나오는 우산도, 석도는 독도인가?
08 현대 초기의독도 이슈와 대응
1. 한국에서 독도 수호의 첫걸음
2. 독도의 소속을 둘러싼 국제정치
3. 일본의 독도 침입과 한국의 대응
4. 독도 수호를 위한 지리교육
5. 한일어업협정과 독도
Q&A. 미군의 독도폭격사건에 대한 한국의 대응은?
09 21세기 전후의 독도 이슈와 대응
1. 신한일어업협정과 독도
2. 일본의 독도 기념일 제정과 파문
3. 일본의 독도교육 도발
4. 한국의 독도교육 강화
5. 한일 대학생들의 독도 인식
Q&A.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상륙에 대한 반응은?
10 독도 영유권의 쟁점
1. 무주지선점론
2. 고유영토설
3.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4. 한국의 불법점거
5.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Q&A. 유엔해양법협약과 독도 현안은?
종장 동해와 독도 이슈의전망
1. 동해/일본해 표기
2. 독도 영유권 논쟁
참고문헌
지도 및 사진출처
독도연표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