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18029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2-12-14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머리말
원림(院林)마을 생태와 역사_ 강윤정
1. 들어가는 말
2. 마을의 형성과 확장
3. 원림마을의 행정 공간 변화
4. 1910년대 및 일제강점기 원림마을
5. 원림마을 현대의 이모저모
엔데믹,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하는 농촌마을 사회의 양상_ 이상현
1. 엔데믹과 마을사회의 변동
2. 마을의 기반: 동총회(洞總會)와 노인회
3. 행정 기반의 조직과 비공식 조직
4. 결론
마을사회의 재편과 풍속의 변환_ 강석민
1. 머리말
2. 세시풍속의 전승 환경과 마을사회의 동향
3. 세시풍속의 층위들과 그 특징
4. 맺음말
믿음과 생활, 원림1리 종교실천의 변화_ 안솔잎
1. 원림리 종교생활 개관
2. 세 마을이 한 날 따로 지낸 동제
3. 집안의 대소사를 함께한 가신신앙
4. 주민들의 삶과 함께한 원림교회
원림의 축제와 놀이_ 한양명
1. 원림의 축제 전통
2. 새해를 맞이하며 벌인 윷놀이
3. 여성들의 축제, 화전놀이
4. 학연 기반의 축제, 한마음체육대회
5. 맺음말
원림마을의 농업조직과 작물재배 변화_ 이한승
1. 마을의 농업 환경
2. 농업조직의 현황과 특성
3. 작물재배의 변화
4. 농촌의 현실문제
원림1리 주민들의 식생활 양상과 변화_ 박선미
1. 생업환경과 식생활 조건
2. 식량부족 시기의 주식과 서열의식
3. 식량부족 시기의 계절음식과 밀 소비
4. 식량부족 시기의 잔치음식과 육류 소비
5. 식량풍족 시기의 식생활 양상과 변화
마을 및 가옥의 공간 구성과 구조_ 정연상
1. 마을의 형성 및 공간구조
2. 주거유형 및 형태
원림마을과 전설_ 신호림
1. 마을과 전설
2. 전설 자료의 존재 양상
3. 원림마을 전설의 특징
4. 원림마을의 전설과 이야기 문화
1960~70년대 농민들의 근대화 경험과 농촌사회 변화_ 이중구
1. 1960~70년대 농촌사회의 근대화
2. 청년세대의 부상과 마을 운영의 변화
3. 환경개선과 소득증대사업의 확산
4. 외부세계와 접촉면의 확대
5. 근대화 경험을 통해 본 농촌사회의 변화
귀촌인의 생활과 이야기_ 김정현
1. 귀농ㆍ귀촌 현상과 원림1리
2. 같고도 다른 귀촌 생활들
3. 귀촌인이 말하는 원림1리의 내일
원림1리의 일생의례 기억과 공동체적 의미_ 공다해
1. 들어가며
2. 원림1리의 혼례 경험과 기억
3. 원림1리의 출산 경험
4. 원림1리의 환갑의례 경험
5. 원림1리의 장례 경험
6. 원림1리 일생의례의 특징과 공동체적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