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사상가/인문학자
· ISBN : 9788930082938
· 출판일 : 2008-03-25
책 소개
목차
幾堂 玄相允 全集 1 : 원전 朝鮮儒學史
序
第一章 序 論
第二章 羅麗時代의 儒學
第三章 李朝 初期의 儒學
第四章 至治主義의 儒學
第五章 性理學
第六章 退栗 前後의 一般 名儒
第七章 禮學 中心의 儒學
第八章 慕華思想의 鼓吹
第九章 黨爭時代의 儒學
第十章 陽明學의 流入과 그 排斥
第十一章 湖洛學派의 分裂
第十二章 經濟學派의 出現과 風動
第十三章 性理學의 再燃
第十四章 西學 感染의 騷動
第十五章 斥邪衛正의 運動
第十六章 近世 以降의 一般 儒學界
第十七章 結 論
幾堂 玄相允 全集 2 : 조선유학사
서 문
제1장 서 론
제2장 나려(羅麗)시대의 유학
제3장 조선조 초기의 유학
제4장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유학
제5장 성리학
제6장 퇴율(退栗) 전후의 일반 명유(名儒)
제7장 예학(禮學)중심의 유학
제8장 모화(慕華)사상의 고취
제9장 당쟁(黨爭)시대의 유학
제10장 양명학의 유입과 그 배척
제11장 호락(湖洛)학파의 분열
제12장 경제학파의 출현과 풍동(風動)
제13장 성리학의 재연
제14장 서학(西學)감염의 소동
제15장 척사위정(斥邪衛正)의 운동
제16장 근세(近世)이강(以降)의 일반 유학계
제17장 결 론
교주자 참고문헌
幾堂 玄相允 全集 3 : 조선사상사
序
서론
제1편 상고(上古)
제1장 신도사상(神道思想)
제2장 화랑도(花郞道)
제3장 유학사상(儒學思想)의 수입과 그 해득(解得)
제4장 불교사상의 전래와 그 홍포(弘布)
제5장 삼국시대의 불법(佛法)경향과 명승(名僧)
제6장 신라통일 이후의 불법(佛法)과 명승(名僧)
제7장 도교사상의 유입
제8장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제반문화사상
제2편 중고(中古)
제1장 고려시대의 사상생활과 불교
제2장 고려시대의 명승(名僧)과 그 사상
제3장 고려불교의 말폐(末弊)
제4장 고려시대의 유교사상
제5장 고려시대의 신도(神道)사상과 그 변천
제6장 고려시대의 도교사상과 그 추이
제7장 참위(讖緯)사상의 유행
제8장 고려시대의 제반문화사상
제3편 근세(近世)
제15장 조선시대 불교의 총설(總說)
제16장 조선시대의 고승(高僧)과 그 사상
한국사상
우리史上에 나타난 戰功과 勳業
李朝儒學史上의 丁茶山과 그 位置
栗谷李珥先生
李朝儒學과 丁茶山先生
栗谷의 思想
원전 朝鮮思想史
교주자 참고문헌
幾堂 玄相允 全集 4 : 사상편
거듭나자 / 考選餘感 / 孔子와 그 思想 / 過去 一周甲間의 世界政局 /
官紀更張과 吏道振興 / 敎育界에 바라는 일 / 敎育의 根本義 /
校主와 校友 熱誠에 感謝 / 國旗拜禮問題 / 國民의 忠僕이 되라 /
內的 生活을 充實히 / 團結하자, 다른 길은 업다 /
東西文明의 差異와 及 其將來 / 몬져 理想을 셔우라 /
文藝復興과 宗敎改革의 史的 價値를 論하야 朝鮮當面의 風氣問題에 及함 /
美蘇와 共時 解決의 問題 /
民族 總團結의 秋, 學生은 惡條件을 克服코 勉學하라 /
바라는 것 數件事 / 반가운 諸現狀 / 100年 後의 世界觀―人生篇 /
悲慘한 現狀과 應急의 對策 /
사모친 獨立의 悲願, 죽엄으로 正義의 抗拒, 記憶도 生生 31年 前壯擧 /
사회생활과 중등공민 공동생활 / 産業에 關한 私見 /
三一運動 勃發의 槪略 / 三?一運動의 意義 / 三一運動의 回想 /
生長과 建設의 煩悶 / 生活에 接觸하고 修養에 努力하라 / 選手를 職業化 /
成人及未就學兒童 敎育의 普及方針 / 世 態 / 淳厚한 氣風 /
陽明學과 日本思想界 / 外的으로 一致協調 /
우리의 自覺과 生活의 新原理 / ‘優心學的’ 種族改良論 / 維新의 原動力 /
李光洙君의 [우리의 理想]을 讀함 / 李朝文學과 金農巖
理化學硏究所 設立의 必要 / 人口增殖必要論 / 一院制는 獨裁誘導 /
自己表彰과 文明 / 政變頻發은 杞憂, 改憲으로 責任政治 確立 /
精神上으로 필요 / 朝鮮 大學의 使徒 金性洙氏 /
朝鮮 女學生에게 보내는 글 / 朝鮮人의 몸과 마음 /
朝鮮中等生徒에게 對한 感想과 勸勉 / 朝鮮靑年과 覺醒의 第一步 /
朝鮮學이라는 ‘名辭’에 反對 / 中庸과 極端 /
中庸을 取하라 一時的 極端을 버리고 / 指導者들에게 告함 /
漢文不可廢論 / 漢字全廢는 아직 不能, 贊否 兩側이 여기엔 肯定 /
漢字制限論議 / 玄相允氏 談 / 現下 朝鮮靑年의 心理와 一轉機의 必要
幾堂 玄相允 全集5 : 문학편
各士諸氏의 學生時代 回顧 / 覺醒하라 靑年學徒여! /
各學校 學生界 打診 中央高普 / 各學校校長 學生時代의 逸話 中央高普 /
各學校校長의 抱負 中央高普 / 强力主義와 朝鮮靑年 / 京城小感 /
高麗文宗 / 高麗太祖 / 公營勞?者 住宅 / 關北行 / 曠 野 /
求하는 바 靑年이 그 누구냐? / 國家建設의 礎石되여 統一에 邁進하라 /
歸故鄕有感 / 歸鄕하는 學生諸君에게 / 그날 그때의 아버님 / 幾堂漫筆 /
金剛山 中에도 萬瀑洞의 月景 / 나의 保健法 / 나의 處世信條 /
나의 處世訓 / 내가 좋아하는 山水 / 내가 지금 다시 學生이 된다면 /
녀름의 野色 / 녯 사람으로 새 사람에 / 뉘 집으로서 / 님 생각 /
다섯 가지 問答記 그 분들의 대답은 이러하다 / 다섯 가지 비는 말 /
달 아레서 / 大端히 遺憾되다 / 東京 留學生 生活 / 뒷자취가 寂寞 /
馬山中學校歌 / 말을 半島靑年의게 붓침 / 妙香山 瞥見記 / 無 題 /
薄 命 / 跋 / 방학과 여학생 / 不可能이다 / 비 오는 져녁 /
社會의 批判과 밋 標準 / 산아희로 생겨나서 /
年의 勳業赫赫, 民族과 더부러 一蓮托生 / 商工業?勵가 必要 /
새 벽 / 새해를 맞는 나의 心境 / 생각나는 대로 /
생활을 위한 지식의 큰 힘 / 序 文 / 書鎭菴先生文集後 / 瀟湘斑竹 /
스사로 속이지 마라 / 申 朝君을 보냄 / 新式으로는 耶蘇敎式 /
新女性들에게 / 信條, 主張, 排斥 / 失樂園 /
十年 以內에 日米가 對戰 / 兒亡後有感 / 良心의 價格 / 어듸로 갈고 /
어머니 驚句 / 戀愛?結婚?離婚 一人一言 / 嗚呼 雪山兄이어 /
왜 그러냐 / 요게 무어야? / 勇敢하라 文弱을 避하라 / 偶 感 /
웅커리로서 / 遠大한 理想을 가집시다 / 有 感 /
醫師로서 不治病者에게 죽음을 줌이 可할까? / 李光洙兄의게 /
2932年 記念塔 / 日光浴과 散步 / 日米衝突과 獨의 英本土 上陸 可能性 /
잊을 수 없는 어머니 말슴 / 自重 奮鬪하라 / 在京監督者가 必要 /
再逢春 / 전조선남녀전문학교 졸업생 대간담회 / 絶對로 必要한 것이다 /
絶望에 ?진 肺病으로 新生을 엇기?지 / 정직하라 /
正直한 버너드 쇼 翁을 / 朝鮮에 태여난 것이 幸福한가 不幸한가 /
朝鮮義務敎育實施運動 具體案 / 朝鮮靑年임을 알라 /
卒業生諸君를 보내며 / 卒業證書를 밧는 날에(日記에서) /
'周易'과 ‘에머슨’의 論文集 / 죽움이 왜 미서우냐 /
重大事變의 裏面과 影響 / 地方朋黨論 / 淸流壁 / 聰明이 不足 /
秋 楓 / 恥堂白彛行先生挽 / 친구야 아느냐 / 打破策 五條目 /
太平洋會議는 어떠케 利用할까? 在滿同胞는 어떠케 해야 살까? / 逼 迫 /
寒 菊 / 恨의 一生 / 向 上 / 洪景來
원본
幾堂漫筆
小星의 漫筆
廷州玄氏淵源世系(定州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