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30083164
· 쪽수 : 459쪽
· 출판일 : 2008-06-25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서문
제1장 소유의 의미
1. 고대의 소유제도
2. 중세시대
3. "고결한 야인"의 발견
4. 초기 근대사회
5. 17세기 영국: 소유의 신성화
6. 18세기 프랑스: 소유에 대한 본격적 공격이 시작되다
7. 사회주의, 공산주의, 무정부주의
8. 20세기
제2장 소유제도
1. 동물의 소유
2. 아이의 소유욕
3. 원시인의 소유
4. 수렵채집사회
5. 사유토지의 등장
6. 농경사회
7. 정치조직의 발달
8. 고대의 사적 소유
9. 봉건유럽
10. 중세 도시
11. 초기 근대 유럽
12. 요약
제3장 영국과 의회민주주의의 탄생
1. 노르만 정복 이전의 시대
2. 노르만 왕조
3. 보통법(common law)의 역할
4. 조세제도
5. 튜더 왕조
6. 초기 스튜어트 왕조
7. 잉글랜드 공화국
8. 후기 스튜어트 왕조
9. 명예혁명
10. 유렵대륙
제4장 세습 러시아
1. 무스코비 왕조 이전의 러시아
2. 노브고로트 공국
3. 모스코비 왕조
4. 러시아의 도시
5. 러시아의 시골
6. 피터 대제
7. 예카테리나 예제
8. 농노해방
9. 화폐경제의 탄생
10. 결론
제5장 20세기의 소유
1. 공산주의
2. 파시즘과 민족적 사회주의
3. 복지국가
4. 현대의 기업과 소유
5. 조세제도
6. 국가권력의 성장
7. 환경보호와 사적 소유
8. 몰수
9. 권원(entitlement)
10. 계약
11. 고용차별 철폐조치
12. 고등교육기관의 인종 및 성차별 금지
13. 버스통학 혼합학군제(school busing)
14. 결론
맺음말
찾아보기
책속에서
민주주의와 소유는 함께 발전했다. 15세기 말 노브고로트가 모스크바 공국에 함락되기 직전 노브고로트의 토지 중 약 60%가 개인의 소유였다. 여성도 남성과 더불어 토지를 소유했으며 이는 개인의 소유개념이 상당히 발전했음을 말해준다. 개인의 소유가 아닌 토지는 교회와 국가에 속해 있었다. 사유지의 대부분은 귀족가문의 소유로 이들은 공국의 선출 관료직을 대부분 차지했다. 이들의 영지는 곡물을 비롯한 식량을 생산하기도 했지만 주요 기능은 수출물자를 공급하는 것이었다.
중세 서부유럽의 시민들처럼 노브고로트 주민들은 사법적 독립성을 누렸다. 노브고로트의 판사들은 모든 시민은 법앞에 평등하다는 전제하에 피고인의 사회적 지위에 상관없이 판결했다. 15세기 중반경에 완성된 노브고로트 헌법은 법원에게 "귀족이든 중산층이든 하층민이든 간에 상관없이 모두에게 동등한 정의를 실현"할 것을 명령했다. (273쪽, '제4장 세습 러시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