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미디어 디바이드

디지털 미디어 디바이드

(참여와 통합의 디지털 미디어 정책)

고삼석 (지은이)
나남출판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190원
18,8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7개 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미디어 디바이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미디어 디바이드 (참여와 통합의 디지털 미디어 정책)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30085748
· 쪽수 : 378쪽
· 출판일 : 2011-10-15

책 소개

국내적으로 2012년 12월 31일 아날로그 지상파방송이 중단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1980년대 컬러TV 도입이 방송산업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했다고 한다면, 1990년대 후반 이후 추진되고 있는 지상파방송의 디지털 전환은 방송정책과 산업, 그리고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올 방송패러다임의 일대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5

제1장 방송의 디지털화와 미디어 지형의 변화 19
1. 디지털화에 따른 미디어 시장의 변화 19
2.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 29
3. 방송의 디지털화와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 36
4. 디지털 방송과 수용자 능동성 개념의 재정립 44

제2장 이론적 논의: 디지털 방송과 정보격차 53
1. 매스미디어와 지식격차확대 연구 54
2. 인터넷과 정보격차 연구 64
3. 디지털 방송과 정보격차에 관한 논의 105
4. 정보격차와 방송의 보편적 서비스 제도 도입 논의 140

제3장 해외사례: 디지털 방송 전환 및 정보격차 해소 정책 171
1. 해외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추진현황 172
2. 방송의 디지털화와 정보격차 해소 정책 196
3. 국내 디지털 전환 정책 및 해외사례 시사점 218

제4장 디지털 방송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실증연구 233
1. 방송통신 정책전문가 대상 심층인터뷰 233
2. 수용자 대상 디지털 방송에서의 정보격차 연구 276
3. 정책방안: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방송의 보편적
서비스 제도 도입 304

후기 327

참고문헌 337
찾아보기 371

저자소개

고삼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동국대학교 AI융합대학 석좌교수이자 국회엔터테크포럼 상임대표를 맡고 있다. 조선대, 서강대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전공했고, 중앙대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디지털 정책 전공)를 받았다. 서울대 행정대학원 AIC 과정을 이수했으며, 중국 북경대 방문학자(Visiting Scholar)를 역임했다. 국회 보좌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혁신담당관,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으로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일을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직속 글로벌책임강국위원회 산하 K-컬처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지난 30년 동안 정부와 대학에서 콘텐츠(한류), 미디어와 IT 분야 정책과 행정, 연구와 강연을 통해 우리나라를 문화강국, IT강국으로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저서로 ‘디지털 미디어 디바이드’(나남), ‘스마트 미디어의 이해’(공저, 미래인), ‘5G 초연결사회, 완전히 새로운 미래가 온다’(메디치미디어), ‘崭新的未来: 5G超链接社会’(北京: 中国广播影视出版社) 등을 출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디지털 방송의 다채널화, 고화질?고음질과 다양한 부가서비스 등은 디지털화가 갖는 기술의 고도화에 의해 가능한 서비스들이다. 사업자 측면에서 볼 때, 기술의 고도화는 예외 없이 비용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이러한 비용은 대부분의 경우 회수가능성을 전제로 한 대규모 투자와 연결되어 있다(김도연 외, 1999). 따라서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은 그 혜택을 받는 수용자에게도 일정한 비용부담을 요구하게 된다.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투자비용이 증가할수록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비용부담이 가능한 일부 수용자만이 서비스를 향유하게 될 것이다. 특히 민간사업자가 주도하는 유료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수용자의 경제적 부담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주정민, 2003). 이러한 상황에서는 공익성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이나 보편적 서비스 제공보다는 수익성이라는 경제논리에 기반을 둔 서비스가 보편화될 가능성이 높다.
수용자 측면에서 볼 때,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비용의 문제는 단말기를 구입하는 과정에서부터 발생한다. 위성 및 지상파 DMB의 경우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고가의 휴대폰 단말기를 구입해야 하고, 지상파 DMB는 물론, IPTV나 케이블TV도 다양한 디지털 방송서비스를 완벽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입해야 한다. 그런데 단말기나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입행위는 결코 동시에 발생되지 않는다. 즉, 경제적 지불능력에 의해 구입자와 비구입자로 수용자군이 자연스럽게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지역에서 같은 시기에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초기 수용자군에 편입될 수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후기 수용자군에도 편입되지 못하는 사람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김도연 외, 1999).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