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30310512
· 쪽수 : 534쪽
· 출판일 : 2015-04-25
책 소개
목차
제1장 머리말
제1절 연구 목적
제2절 연구사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광대 집단의 존재와 의의
제1절 본서의 ‘광대’에 대하여
제2절 광대 집단의 존재와 그 역사
제3절 광대 집단들
1. 경기 이남의 화랑이 집단
2. 경기 이북의 재인촌 사람들
제4절 광대 집단의 의의
제3장 광대의 소리 갈래들
제1절 광대 고사 소리
1. 고사 소리의 종류
2. 산천제와 광대 고사 소리
3. 광대 고사 소리의 전승
제2절 타령
1. ‘타령’(打令)에의 접근
2. ‘타령’(打令)의 어원(語源)
3. 노래 갈래의 하나로서의 ‘타령’
제3절 영산(靈山)
1. 판소리 허두가와 영산(靈山)
2. 영산(靈山)의 정체(正體)
제4절 재담 소리
1. 재담 소리의 존재와 그 역사
2. 광대 소리의 하나로서의 재담 소리
제5절 판소리
1. 타령과 판소리
2. 영산(靈山)과 판소리
3. 재담 소리와 판소리
4. 판소리와 성립
제6절 판소리 단가
제4장 광대의 활동 공간들
제1절 중앙의 산대희와 나례희
1. 중앙의 산대희
2. 궁궐의 나례희
제2절 지방의 산대희와 나례희
1. 지방의 산대희
2. 지방 관아의 나례희
제3절 과거 급제자의 행사
1. 은영연(恩榮宴)?유가(遊街)?영친의(榮親儀)
2. 홍패 고사(紅牌告祀)?소분(掃墳)
3. 문희연(聞喜宴)
제4절 민간의 축제
1. 정초의 집돌이
2. 고을굿?마을굿
3. 세시 놀이
제5절 일반 연희
제5장 광대의 가창 문화의 가창 문화사적 의의
제6장 맺음말
-참고 자료
-참고 논저
-Abstract
-감사의 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