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30314114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09-10-19
책 소개
목차
제1부
제1장 인종의 개념
1. 인종 개념의 태동
2. 인종의 의미
3. 종족집단과 종족성
제2장 인종주의의 개념과 양상
1. 인종주의에 대한 시각
2. 제도적 인종주의
3. 문화적 인종주의
4. 상징적 인종주의
제3장 인종의 의미망: 성.계급.민족과 관련하여
1. 인종과 성
2. 인종과 계급
3. 인종과 민족
제4장 근대성.인종.문학
1. 근대성에 대한 반성적 이해
2. 인종 개념의 정립
3. 문학의 제도화
제5장 미국 흑인 타자화 약사
1. 인종적 노예제도를 향하여
2. 독립혁명기: 노예제도 모순의 노정
3. 토마스 제퍼슨의 흑인관
4. 남부 플랜테이션 경제와 노예제도의 공고화
5. 과학적 인종주의
6. 노예제도를 둘러싼 남북의 대립
7. 노예해방과 재건시대
8. 짐 크로우의 시대: 실망의 세월
9. 진화론과 사회적 다위니즘
10. 북부로의 대이주
11. 산업 현장의 인종차별
12. 민권운동을 향하여
제6장 서양 회화 속의 흑인의 이미지
1. 회화적 이미지와 인종주의
2. 고대에서 르네상스 초기까지
3.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4. 노예제 시대
5. 성적 타자로서 흑인 여성의 이미지
제2부
제7장 이국적 타자와의 만남: 콜럼버스.롤리.몽테뉴의 신세계
1. <콜럼버스의 편지>
2. 월터 롤리의『기아나의 발견』
3. 몽테뉴의 <식인종에 관하여>
제8장 인종과 젠더:『오루노코』와『메리 로울랜슨의 포로 수기』
1. 인종.젠더.식민주의
2.『오루노코』: 인종과 여성 주체성
3.『메리 로울랜슨의 포로 수기』: 신의 섭리와 통문화적 개안
제9장 프런티어의 인종:『최후의 모히칸족』
1. 문학과 인종주의
2. 인디언을 보는 백인의 시각
3. 인물의 전형성: 일탈과 재확인
제10장 인종분리의 우화:『아서 고돈 핌의 이야기』
1. 포 문학의 재평가
2. 사회문화적 배경
3. 인식 기제로서의 식민주의와 그 한계
4. 포의 고딕적 상상력과 그 밑뿌리
5. 백색의 극한으로의 여정과 그 의미
제11장 눈멂과 망각:『베니토 세레노』
1. 노예제도에 대한 멜빌의 시각
2. 백인 선장 들라노의 의구심과 자기미망
3. 당대의 지배적인 흑인관
4. 인종주의와 선민의식
제12장 제국주의와 인종:『암흑의 핵심』
1. 콘라드의 아프리카 여정과 역사적 배경
2. 제국주의 비판
3. 제국주의와 인종주의
4. 콘라드의 인종주의와 그 수용의 문제
제13장 동방의 타자:『한국과 그 이웃나라들』
1. 한국 사회에 대한 비숍의 시각
2. 과학적 탐구와 그 이면
3. 문화상대주의적 시선과 그 함의
제14장 시장의 타자 만들기:『새파란 눈』
1. 백인과의 동일시 욕망과 그 사회적 뿌리
2. 일상문화에 스며 있는 인종주의
3. 백인 지배 사회에서 정체성 지키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