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30317351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6-10-10
책 소개
목차
서문
디지털 정보기술 기반 사회에서 창의성과 예술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예술적 재능발달
책의 구성
제1장 예술의 특성과 예술재능발달
인간발달과 예술
예술재능발달 개념
재능발달에서 상황-특정성과 영역-특수성에 대한 논의
예술재능발달 특성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미술재능에 대한 인식
미술재능에 대한 미술교사들의 인식
미술재능과 지원 환경에 대한 예술 분야 전문가들의 인식
미술재능에 대한 교육계와 예술계의 인식 비교
미술재능발달 지원 환경에 대한 교육자들의 인식
미술재능발달 지원 환경 조성을 위한 과제
제2장 1990년대 이후 한국의 현대미술
국제사회의 변화와 현대미술
한국 현대미술 지형의 변화
한국 현대미술의 특징
예술 분야 전문가들의 견해
2000년 이후 한국 현대미술 현장의 변화
현시대의 성장하는 작가들의 특성
제3장 한국 현대미술가 5인의 여정
예술적 성장과 창작 환경 탐색
작가 선정
범위와 초점
자료 수집과 분석
내용 구성
진기종: 현실 이야기를 소재로 한 아날로그식 연출
주요 작품 비평
작업 특성
예술적 성장
예술, 재능, 교육에 대한 시각
예술적 성장 과정의 특징
전소정: 개인 인생 이야기의 극적 연출
주요 작품 비평
작업 특성
예술적 성장
예술, 재능, 교육에 대한 시각
예술적 성장 과정의 특징
안정주: 소리와 이미지의 교란을 통한 사회적 규범 재조명
주요 작품 비평
작업 특성
예술적 성장
예술, 재능, 교육에 대한 시각
예술적 성장 과정의 특징
정연두: 사실과 허구의 관계 탐색
주요 작품 비평
작업 특성
예술적 성장
예술, 재능, 교육에 대한 시각
예술적 성장 과정의 특징
김승영: 일상 관찰, 삶에 대한 성찰
주요 작품 비평
작업 특성
예술적 성장
예술, 재능, 교육에 대한 시각
예술적 성장 과정의 특징
제4장 창의적 인재양성에 대한 시사점
예술적 재능발달 특성
일상에 대한 관찰과 낯선 문화에 대한 호기심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복잡한 작업 과정을 즐기는 성향
매체를 가로지르는 사고능력 계발 의지
예술적 신념과 열의를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적인 성향
완성도 있는 작업 수행을 위한 성실함과 책임감
예술적 재능발달 지원 환경
예술적 성장의 기반, 집중 탐구 시기
집중 탐구 시기의 작업 환경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예술교육 환경 구성
비평적인 문화 탐구 기회 확대
자기주도적인 심화 학습 확대
학습자들의 교류와 협력 확대
질문과 토론을 통한 탐구 활성화
결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