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3291611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3-03-05
책 소개
목차
서론
1. 지형
서막: 과학과 예술의 차이는 무엇인가?
교육 내 예술의 사례들
교육 내 예술 반대론에 대한 대응: 학교 밖에서 얻은 교훈들
2. 교육 내 예술 찬성론
서막: 왜 예술을 비예술 학습의 관점에서 정당화해야 하는가?
예술의 독특한 특성과 학생들이 배우는 것
3. 교육 내 예술 옹호
서막: 실패가 교육 내 예술 옹호를 위한 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을까?
무엇이 옹호인가
현실적인 도전 과제들
옹호자들이 해서는 안 될 일과 해야 할 일
4. 미래를 생각하며
서막: 어린아이와 그림 그리기
요약
감사의 말
교육 내 예술 옹호 기관
예술 교육 용어 해설
주
책속에서
예술은 교육의 전면과 중심에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여러 다양한 예술 관련 학과에서 이루어지는 의미 만들기의 다양성과 미묘한 차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예술 그 자체의 권리로 예술을 가르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우리가 예술 학습이 교육 과정 전반에서 학생들의 경험과 성장, 생산성을 풍요롭게 하고 확장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다 하더라도, 반드시 이 점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학교 내 예술은 필수적이다. 예술은 과학이 제공하는 기반들에 빛을 비추고 방향을 제시한다.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 그리고 그 위에 세우고 상상하는 것, 그것은 과학이다. 그 주어진 것을 넘어서 상상하는 것, 세우는 것, 보는 것, 그것은 예술이다.
어린아이들이 아무렇게나 낙서한 어지러운 선들과는 거리가 먼 사실적인 그림에서조차 그것이 무엇을 나타내고 의미하는지에 대한 정답은 없다. 마크 스트랜드의 절제된 시어이든, 허먼 멜빌의 난해한 산문이든, 마크 로드코의 색면이든, 진정으로 성공한 예술 작품은 모호하다. 예술 작품의 모호성을 다루면서 교육 내 예술은 아이들에게 상호 존중할 만한 가치가 있는 해석의 다양성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