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3031916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1-08-31
책 소개
목차
간행사
『동여비고(東輿備攷)』의 제작 경위와 지도사적 의의 [정은주]
1. 들어가며
2. 『동여비고』의 저본(底本) : 정경흠의 『동여고실(東輿攷實)』
3. 『동여비고』의 구성 체제와 주요 내용
1) 고대 및 삼국지도
2) 고려지도
3) 조선지도
4) 일본지도
4. 나오며
『동여비고(東輿備攷)』에 수록된 사찰(寺刹) 자료에 대한 검토 - 지리지(地理誌)와 『조선강역총도(朝鮮疆域摠圖)』에 수록된 자료 비교를 중심으로 - [홍성익, 김근태]
1. 머리말
2. 『동여비고』의 편찬시기와 수록된 전국 사찰
1) 『동여비고』의 편찬시기
2) 『동여비고』에 수록된 전국 사찰
3. 1700년 전 · 후기 지리지에 수록된 강원 지역 사찰 검토
1) 『東國輿地志』
2) 『여지도서』 지리지 편
4. 1700년 전 · 후기 지도에 수록된 강원 지역 사찰 검토
1) 『동여비고』
2) 『조선강역총도』
3) 『해동지도』
4) 『여지도서』 지도 편
5. 『동여비고』와 『조선강역총도』에 수록된 강원 지역 사찰 검토
6. 맺음말
『동여비고(東輿備攷)』의 산 인식체계에 대한 풍수적 접근 - ‘진산(鎭山)’ 개념을 중심으로 - [권선정]
1. 『동여비고』에 대한 풍수적 접근
2. 전통적 공간인식체계이자 지리(학)로서 풍수
3. 『동여비고』에 재현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진산(鎭山)’ 개념
1) 『동여비고』에 투영된 강원도 지역 군·현의 진산 상황
2) 『동여비고』에 투영된 경기도 지역 군·현의 진산 상황
3) 『동여비고』에 투영된 경상도 지역 군·현의 진산 상황
4) 『동여비고』에 투영된 전라도 지역 군·현의 진산 상황
5) 『동여비고』에 투영된 충청도 지역 군·현의 진산 상황
6) 『동여비고』에 투영된 평안도 지역 군·현의 진산 상황
7) 『동여비고』에 투영된 함경도 지역 군·현의 진산 상황
8) 『동여비고』에 투영된 황해도 지역 군·현의 진산 상황
4. 『동여비고』의 산 인식체계의 특징
『동여비고(東輿備攷)』 안 「제주도도(濟州島圖)」의 제주(濟州) 지명(地名) [오창명]
1. 들어가는 말
2. 『동여비고』와 제주 지명
3. 제주 지명 분석
1) 오롬[岳]·뫼[山]
2) 개[浦]
3) 내[川]
4) 셤>섬[島]
5) 못[池]·소[湫]·물[水]
6) 제주도의 옛 이름
7) 읍치(邑治)와 현(県), 성(城)
8) 리[橋]
9) 기타
4. 결론
한국의 고지도에 나타난 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 - 후나스기 리키노부의 한국 고지도(古地圖) 분석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김화경]
1. 머리말
2. 『동여비고』의 「강원도 동서주군 총도 – 울진현도」 연구의 문제점
3. 안용복의 도일과 자산도 및 지도상의 그 위치 문제
4. <소위 우산도>와 <우산도>의 문제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