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고와 여신

마고와 여신

박성혜, 칭기스 아하야노프, 김화경, 조민환, 이유라, 넬리 루스, 난디타 크리슈나, 로밀라 수다카르, 후지노 나오타카 (지은이)
상생출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250원
20,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고와 여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고와 여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증산도
· ISBN : 9791191329445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3-02-07

목차

간행사 / 4
추천사 / 8

한국의 마고여신
박성혜
1. 머리말
2. 마고와 땅 창조
3. 마고와 인류창조
4. 마고의 최고신적 속성
5. 맺음말

시베리아의 마고문화
칭기스 아하냐노프
1. 머리말
2. 야쿠티아 지역의 일반 정보
3. 빌류이저수지 근처 죽음의 계곡
4. 부랴티아의 마고여신 숭배의 고고학 유물
5. 알타이의 마고여신 숭배의 고고학 유물
6. 맺는 말

한국의 여신 문화
김화경
1. 머리말
2. 지모신 신앙의 성립
3. 지모신 신앙과 출현 신화
4. 산악신앙과 성모 신화
5. 맺음말

음양론 관점에서 본 서왕모 인식 변화 고찰
조민환
1. 들어가는 말
2. 유가와 도가의 음양론에 관한 개괄적 이해
3. 음양론 관점에서 이해된 서왕모
4. 절세미인으로서 장식미인인 서왕모의 음유지미
5. 나오는 말

중국 여와女 신화와 생명원리
이유라
1. 들어가는 말
2. 창조신
3. 지모신
4. 문화영웅
5. 마치는 말

트라키아의 대모신 숭배 전통과 동아시아 마고 숭배 간의 유사성 고찰
넬리 루스
1. 들어가는 말
2. 대모신의 역할
3. 벤디스, 그리고 트라키아 대모신의 여러 다른 이름
4. 성스러운 혼인을 통한 권력 획득
5. 트라키아 내세관에서의 대모신: 통치자의 영웅화
6. 그리스 예술에서 나타난 벤디스: 아르테미스, 그리고 아르테미스 모니치아와의 관계
7. 트라키아 예술에 나타난 벤디스
8. 유라시아 대모신 숭배 전통에서 본 트라키아 대모신 숭배

인도의 성모와 여신문화
난디타 크리슈나
1. 들어가기
2. 인도의 샥티 숭배
3. 다양한 성모 여신
4. 샥티의 원리
5. 결론

마하락쉬미 여신의 신성과 영적 의미 및 주요 경전
로밀라 수다카르
1. 들어가는 말
2. 도상학적 표현
3. 락쉬미 관련 경전
4. 라마누자와 마다바차르야의 저술 속의 마하락쉬미
5. 맺는 말

쿠메 쿠니타케의 일선동조론에 표상된 스사노오와 이자나미
후지노 나오타카
1. 들어가며はじめに
2. 『고사기』 해석의 계보『古事記』解の系譜
3. 쿠메 쿠니타케의 『고사기』 해석과 고대 역사관久米邦武の『古事記』みと古代史
4. 나가며おわりに

저자소개

조민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교수 겸 유학대학원장, 풍수명리철학회, 동양예술학회, 도가철학회, 도교문화학회, 간재학회, 서예학회 회장,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인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철학연구회 논문상과 원곡 서예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동양 문인의 예술적 삶과 철학』 『조선조 서예미학』 『동양의 광기와 예술』 『동양 예술 미학 산책』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 『중국철학과 예술정신』등이 있다. 공저로는 『강좌 한국철학』등 20여 권이 있으며, 역서로는 『도덕지귀道德指歸』 『이서李漵「필결筆訣」역주譯註』 『태현경太玄經』등이 있다. 학술논문 160여 편과 서화잡지에 실린 100여 편의 서화평론글이 있다. 동양의 그림과 글씨 및 유물에는 유가철학과 도가철학이 담겨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양철학과 동양예술의 경계 허물기에 주력하면서 예술작품을 철학적으로 이해하는 새로운 눈을 제시하고 있다.
펼치기
김화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경상북도 상주에서 태어났다. 197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81년 일본 쓰쿠바대학 대학원에서 「한ㆍ일 설화의 비교연구―한국의 야래자 설화와 일본의 실꾸리형 뱀사위 영입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고찰」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88년 같은 곳에서 「한국 설화의 형태론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남대학교에서 30여 년 동안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영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제25회 두계학술상과 제57회 3ㆍ1문화상 인문사회부문 학술상을 수상했다. 대표 저서로 『한국 설화의 연구』, 『북한 설화의 연구』, 『한국의 설화』, 『일본의 신화』, 『한국 신화의 원류』, 『한국 왕권 신화의 전개』, 『한국 왕권 신화의 계보』, 『독도의 역사』, 『독도의 역사 지리학적 연구』, 『신화에 그려진 여신들』, 『얘들아, 한국 신화 찾아가자』, 『한국의 신화, 세계의 신화』 등이 있다.
펼치기
이유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 학사(복수전공)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 석사 중국 남개南開대학교 중국고대문학 박사 연구논문 「試論張良女性化外貌描寫的內涵」, 社會科學究, 2012 「張良俠士形象的文化內涵」, 學術交流, 2013 「張良故事俠主題演變及其文化內涵」, 天中刊, 2014 「張良故事의 한국에서의 수용」, 道文化究, 2014 「明代 情小說에 대한 再認識—『金梅』를 중심으로」, 道文化究, 2018 「身體布施 本生譚의 유교적 專有와 인식의 변화」, 中國文化究, 2020 저서 (공저)『중화명승』, 소소의책, 2021
펼치기
넬리 루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불가리아 출생 러시아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미술사학과 졸업 상트페트르부르크 소재 유럽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 한국학 중앙연구원 미술사학 석사 및 박사 현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러시아어 강사 현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초빙교수 저서 및 논문 『Two Aspects of Immortalism in Korean Painting』 (김명국 사선도 (1600- ?) : 한국화의 仙敎 의 두 가지 측면)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in Late Joseon Painting』 (조선 후기 회화의 西王母) 『고려 왕조의 밀교 불공 예식의 제구 : 금강저와 금강종』 『Images of Daoist Immortals in Korean Buddhist Temples Wall Painting』(한국 불교 사원 벽화의 신선도) 『Paintings of Immortals from the Mid. Joseon Period: An Album by Jo Segeol (1636 –1706)』 (조선 중기 신선도 회화 : 조세걸曺世傑의 화첩) 『The Buddha of the Blazing Light: An Esoteric Buddhist Painting from the Goryeo Dynasty』 (타오르는 빛의 부처 : 고려 시대의 밀교 회화) 『신라와 당나라의 12개의 궁도의 형상에 대한 고찰』 『조선 시대 사찰 종의 실담(悉曇) 비문』 특이사항 한국어에 능통한 학자, 한국 도교 불교 미술사 전문가 제5회 한국학세계학술대회 최고의 논문상 수상 프로젝트 “한국불교의 예식”의 발굴업무 책임자
펼치기
박성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경기대학교 강사 현 한밭대학교 강사 논문 의례를 통한 단군신화의 와해 근대계몽기 단군 이야기의 양상과 의미 연구 자식생존형 곰신화에 나타난 타자에 대한 인식
펼치기
칭기스 아하야노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러시아 울란우데 출생 동시베리아 문화예술대학 졸업 (박물관학 및 역사학) 부리야트 주립대학교 역사학 박사 울란우데 역사박물관 소장 브리야트공화국 바이칼 관광정보센터 소장 현 대전 상생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 현 브리야트 주립대학교 겸임교수 저서 및 논문 『Archaeological monuments of Baikal for inspection from the water』 (바이칼호의 고고학적 기념비) 『Merkit fortress on the territory of Buryatia - myths and reality』 (부리야티아 메르킷요새: 신화와 현실) 『Cultural, Archaeological and Genetic Ties of the Ancient Peoples of the Baikal Region with the Population of Korean Peninsula』 (고대 바이칼 지역인과 한반도인의 문화적, 고고학적, 유전학전 연관성) 『The Shamanist Tradition of Siberia and Samsin Culture』 (시베리아의 샤머니즘 전통과 삼신문화)『Connection between the Peoples of Siberia and Korean People based on the Hwandangogi』 (환단고기를통해 본시베리아 민족들과한민족의 관련) 외 다수 특이사항 종교집단 텡게리의 샤머니즘 연구가 바이칼과 시베리아 고대 민족의 역사 고고학 전문가 바이칼 지역의 근세와 현대 제 영성운동 연구가
펼치기
난디타 크리슈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출생 뭄바이 엘핀스톤 대학 졸업 봄베이 대학교 종교미술 박사 비드야사가르 대학교 명예 문학 박사 인도 역사 연구위원회 자문위원 인도 정부 앙코르와트 복원 프로젝트 대표 현 라마스와미 아이야르 재단 이사장 현 라마스와미 아이야르 인도학 연구소 소장 저서 『Hinduism and Nature』 (힌두교와 자연) 『Believe in Yourself 』 (스와미 비베카난다 생애와 가르침) 『Sacred Plants of India』 (인도의 성스런 식물들) 『Book of Vishnu』 (비슈누의 서書) 『Book of Avatars and Divinities』 (화신과 신성의 서書) 『You are the Supreme Light - Life Lessons from Adi Sankara』 (아디 샹카라의 생애와 가르침) 『The Art and Iconography of Vishnu-Narayana』(비슈누 나라야나의 예술과 도상학) 외 다수 특이사항 연구분야: 인도 미술사, 인도 환경 역사 환경운동가, 동물보호운동가, 교육학자 나리샥티 대통령상, 평화대사상, 국제 사회운동가상 수상 문화유산 보호 프로젝트 설립 및 집행자 각종 학교, 특수교육 학교의 설립자
펼치기
로밀라 수다카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도 출생 인도 로욜라대학 시각 커뮤니케이션학과 졸업 인도 마드라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바라티다산 대학교, 언론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폰디체리 중앙대학교 매스미디어학과 겸임교수 엠오피 바시쉬나바대학 조교수 맥거핀 영화제작사 설립 및 운영자 힌두 언론그룹의 프론트라인 편집인 현 로욜라대학 시각 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저서 및 논문 『Cinema as a source to study Freedom Movement』 (자유운동을 연구하는 원천으로서 영화) 『ITES in Tier-II Cities』 (2단계 도시에서의 ITES) 『A compilation of 25 years of Frontline』 (프론트라인 25년의 합본) 『Sources for Development Communication: The Role of THMRC』 (개발적 소통의 원천 THMRC의 역할) 특이사항 독실한 힌두 싯다 브라흐만 가정환경 –요가, 비파사나, 주문수행, 성지순례, 전생회귀훈련 등 영성전문가 다큐멘터리 제작자 - 로스앤젤레스의 인도국제영화제와 코펜하겐의 기후변화대회에서 상영 인도 첸나이의 청년리더쉽훈련소인 본투윈의 지도사
펼치기
후지노 나오타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리츠메이칸대학 대학원 일본사전공 박사과정 수료 전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전 리츠메이칸 사료센터 조사연구원 현 동의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일본어학과 조교수 藤野真挙 立命館大学大学院 日本史専攻 博士課程 修了 前・日本学術振興会 特別研究員 前・立命館史資料センター 調査研究員 現・東義大学校 人文社会科学大学 日本語学科 助教授 代表論文 藤野真挙「天人関係の明治維新」『史創』9、2019 藤野真挙「明治ナショナリズムと中川小十郎のキャリア形成(二)—東北地方 小学校教員の統計調査経験—」『立命館 史資料センター紀要』創刊号、2018 藤野真挙「井上毅と教育勅語—文明の「親愛」ユートピアへ—」『日本近代学 研究』59、2018 藤野真挙「西周の法思想と教思想—「思慮」ある「激怒」が蠢く秩序—」『立命 館史学』38、2017
펼치기

책속에서

인류문명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만나게 되는 최초의 신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마고麻姑입니다. 한국인과 인류의 시원역사가 발원한 2만 5천 년 전 ‘마고신’은 여(성)신이라는 한계를 넘어 인류 수행문화와 선문화의 근원이며 무병장수문화의 바탕이었습니다. 특히 이번에 출간하는 『마고와 여신』은 동양의 여신관에 한정되었던 ‘마고’를 동서 여신문화의 공통 분모로 조명했다는 면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수부 · 태모 · 마고 · 지모신’은 오늘날 인류가 온갖 대립과 갈등을 넘어 마침내 뭇 생명이 조화와 화합과 통일을 이루는 후천개벽시대, 그리고 후천의 선仙문화 원류를 제대로 깨우치게 하는 핵심주제입니다. - 간행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