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송군의 역사와 문화

청송군의 역사와 문화

조범환, 하문식, 김희만, 홍영의, 박인호, 권선정 (지은이)
온샘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청송군의 역사와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송군의 역사와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92062280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23-12-16

책 소개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청송군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고대 청송 지역의 역사적 변천과 영역’ ‘고려시대 청송의 역사와 위상’, 역사 지리학적 점근을 통해 ‘조선시대 청송의 행정구역 변천과 사회발전 양상’, ‘청송 지역의 역사 지리적 변천’을 연구하였다.

목차

총설 : 청송군의 역사와 문화❚조범환
Ⅰ. 선사시대의 청송 지역과 고인돌 9
Ⅱ. 고대 청송 지역의 영역 변천과 문화 11
Ⅲ. 고려시대 청송 지역의 변천과 문화 14
Ⅳ. 조선시대 청송군의 탄생과 문화 17
Ⅴ. 근현대 청송군의 변화와 문화 22

청송지역의 선사문화 : 청동기시대❚하문식
Ⅰ. 머리말 29
Ⅱ. 청동기시대 고인돌 유적 32
Ⅲ. 청동기시대 유물 포함층 53
Ⅳ. 맺음말 57

고대 청송 지역의 역사적 변천과 영역(領域)❚김희만
Ⅰ. 머리말 71
Ⅱ. 진한(辰韓) 12국의 판도와 청송 지역 72
Ⅲ. ��삼국사기�� 지리지의 ‘본고구려군현(本高句麗郡縣)’과 청송 지역 82
Ⅵ. ��삼국사기�� 직관지의 ‘이화혜정(伊火兮停)’과 청송 지역 91
Ⅴ. ��삼국사기��・��고려사�� 지리지의 보성부(甫城府)와 청송 지역 105
Ⅵ. 맺음말 118

고려시대 청송(靑松)의 역사와 위상❚홍영의
Ⅰ. 머리말 135
Ⅱ. 고려시대 청송의 영역과 변화과정 137
Ⅲ. 고려시대 청송의 인물과 문화유적 148
Ⅵ. 맺음말 167

조선시대 청송의 행정구역 변천과 사회발전 양상❚박인호
Ⅰ. 머리말 173
Ⅱ. 청송 관련 지리서의 편찬 174
Ⅲ. 조선시대 청송의 행정구역 변천 187
Ⅳ. 조선시대 청송의 사회발전 양상 197
Ⅴ. 맺음말 208

청송(靑松) 지역의 역사지리적 변천-지명・행정구역・읍치를 중심으로-❚권선정
Ⅰ. 들어가며 215
Ⅱ. ‘청송(靑松)’ 지명의 역사적 연원 217
Ⅲ. 행정구역 변화를 통해 본 청송 223
Ⅳ. 나가며 242

부록 : 청송군의 지지류(紙誌類) 자료집 247
찾아보기 277

저자소개

박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사와 사학사를 전공하였다. 현재 금오공과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사학사대요』,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등이 있다.
펼치기
하문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 파른기념교수로 재직 중이다. 충북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와 숭실대 대학원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는 『古朝鮮 地域의 고인돌 硏究』(1999년)와 『고조선 사람들이 잠든 무덤』(2016년)이 있고, 『中國東北地區石棚硏究』(2019년), 『평양 호남리 고구려 무덤』(2020년)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조범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재학 중 부전공으로 선택한 역사학에 매료되어 1986년 같은 대학 사학과 대학원에 입학하였다. 한국고대사를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강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부를 시작하면서 나말여초 선종 불교 사상에 관심을 두어 ��新羅禪宗硏究��(一潮閣, 2001),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創 硏究��(景仁文化社, 2008), ��羅末麗初 南宗禪 硏究��(一潮閣, 2013) 등의 저서를 발간하였다. 그리고 나말여초 정치사와 관련한��중세로 가는 길목 신라하대사��(새문사, 2018)도 세상에 보탰다. 최근에는 고대 삼국의 정치 및 사회사 등의 연구에 치중하고 있으며, 특히 재당 유이민 묘지명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학술지에 처음으로 「新羅末 朴氏 王의 登場과 그 政治的 性格」을 발표한 이후 다수의 논문을 저술하였다.
펼치기
홍영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 군산 옥구 출생.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졸업.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연구원, 국민대 박물관 연구원과 국민대·가톨릭대·한신대·명지대 강사, 한신대, 숙명여대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국민대 한국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시대를 전공으로 하고, 저서로는 『고려말 정치사 연구』 『여원대의 농정과 농상집요 연구』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2)』 『고려의 황도 개경』 『개경의 생활사』 『한국생활사박물관(고려편 7·8)』 『역사문화 수첩』 『세계사 연대기』 『한국사 탐험대(교통·통신)』 『안산의 옛 경관』 『보수주의자의 삶과 죽음』 『글로벌 한국사 2』 『고전 문학으로 떠나는 역사 여행 2』 등과 고려시대 관련 70여 편의 논문이 있다. 2007년 개성 궁성 만월대 발굴에 참여했으며, 한국중세사학회 회장(2021), 경기도사 편찬위원(2020)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 섬 역사연구소 소장(2015), 한국중세고고학회 부회장(2017), 농업문화유산 자문위원(2022), 경기도문화유산위원(2024), 디지털인문지식유산학회 부회장(2024)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김희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디지털역사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및 논문으로 『신라의 왕권과 관료제』(경인문화사, 2019), 『신라사의 재구성』(경인문화사, 2019), 「한국사 디지털 자료의 활용 현황과 과제」(『한국사학사학보』 48, 2023), 「『연경재전집』의 辨·跋·筆記類를 통해 본 한국고대사의 신자료 발굴」(『국학연구』 52, 2023), 「『삼국유사』의 편목과 일연(一然)의 신라 불교 인식」(『한국사상사학』 73, 2023), 「신라의 ‘水旱之災’와 국가의 대응 전략」(『신라사학보』 56, 2022), 「『연경재전집』의 지리 류(地理類)와 한국고대 영토 인식」(『동북아역사논총』 77,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