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9115866746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11-24
책 소개
목차
○ 1부 왕세자 교육과 후계 확립
<경종춘궁일기>로 본 왕세자의 서연과 독서_김은정
1. 머리말
2. 보양청 신설과 세자 책봉
3. 경종춘궁 서연의 전개 과정
4. 진강 교재 및 서연의 특징
5. 맺음말
숙종의 온행과 세자(경종)의 후계 확립_윤정
1. 머리말
2. 숙종의 온행과 현종 사적 부각
3. 세자의 감국과 위상 확립
4. 연령군의 수가와 세자 후계의 모색
5. 맺음말
○ 2부 왕실 여성의 정치적 역할과 의례적 위상
경종 대 인원왕후와 선의왕후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_임혜련
1. 머리말
2. 경종 대 인원왕후와 선의왕후의 위호 변화
3. 건저를 둘러싼 인원왕후와 선의왕후의 입장
4. 세제 모해 사건과 인원왕후의 연잉군 보호
5. 경종 사후 인원왕후와 선의왕후의 위상
6. 맺음말
경종 대 사친 추보와 그 의례적 위상_김윤정
1. 머리말
2. 사친 추보 논의의 전개와 쟁점
3. 사친 추보 의례의 성립과 위상
4. 맺음말
○ 3부 사신 왕래의 정치·문화사적 영향력
이이명·이기지 부자의 연행과 북학의 성격_신익철
1. 머리말
2. 만주족에 대한 이기지의 인식과 서양 선교사와의 접촉
3. <일암연기>에 보이는 북학의 사례
4. 맺음말
왕세제 책봉과 사신 왕래의 정치적 함의_정은주
1. 머리말
2. 1721년 9월 왕세제 책봉 경과
3. 1721년 10월 왕세제 책봉 주청사 파견
4. 1722년 4월 청의 왕세제 책봉사 파견
5. 맺음말
○ 4부 정파적 이해와 사화
경종 대 신임옥사와 충역 의리의 귀결_최성환
1. 머리말
2. 신임옥사 연구의 시각과 관련 자료의 취사 선택
3. 경종의 후계 문제와 신축년의 환국
4. 임인옥사와 소론의 동향
5. 맺음말: 신임옥사 평가와 충역 의리
노론사대신의 유배 한시 연구_김덕수
1. 머리말
2. 김창집·이이명·이건명의 유배 한시
3. 조태채의 유배 한시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