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5866710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2-06
책 소개
목차
제1부 지역 사회의 화합과 안정을 도모하다
○ 조선 후기 밀양 엘리트 집단의 결혼망과 분재 | 정수환
Ⅰ. 머리말
Ⅱ. 토착 기반 재지사족의 분재: 밀성박씨 모선재 후손가
Ⅲ. 학연과 입향 그리고 가화 대응:의령남씨 침류정 후손가
Ⅳ. 혈연과 입향 그리고 토지 집적: 창녕조씨 취원당 후손가
Ⅴ. 맺음말
○ 조선시대 밀양 지역 성황신앙의 위상과 종교에 미친 문화적 영향력 – 삼한벽상공신 손긍훈 장군 성황을 중심으로 | 최진아
Ⅰ. 머리말
Ⅱ. 지역수호신으로서 손긍훈 성황의 추존 배경과 그 위상
Ⅲ. 손긍훈 성황신앙이 밀양 지역 종교에 미친 문화적 영향력
Ⅳ. 맺음말
제2부 공간, 인물과 장소의 상징적 표상이 되다
○ 밀양 재지사족의 《칠탄정십육경화첩》 제작과 문화적 함의 | 정은주
Ⅰ. 머리말
Ⅱ. 밀양의 재지사족 손기양과 칠리탄
Ⅲ. 손기양 학맥의 현창과 《칠탄정십육경화첩》의 제작
Ⅳ. 맺음말
○ 『오한집』 간행과 칠탄서원 건립의 역사적 의미 | 이남옥
Ⅰ. 머리말
Ⅱ. 손기양과 퇴계학파의 관계
Ⅲ. 『오한집』 간행 과정
Ⅳ. 유허 정비와 칠탄서원 건립
Ⅴ. 맺음말
○ 『조선시대 밀양 지역의 명승 형성 양상 – 「밀양십경」과 「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 | 김지현
Ⅰ. 머리말
Ⅱ. 서거정이 읊은 「밀양십경」과 밀양 제1경 영남루
Ⅲ. 「금시당십이경」과 밀양 제4경 월연정
Ⅳ. 맺음말
제3부 지역 공동체의 삶과 정서를 구전하다
○ 『밀양 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 – 19세기 말 20세기 초 사례를 중심으로 | 이래호
Ⅰ. 머리말
Ⅱ. 밀양 지역의 언어를 보여주는 자료
Ⅲ. 19세기 말 20세기 초 밀양 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
Ⅳ. 맺음말
○ 밀양 향토민요의 분포 양상과 음악적 특징 | 이윤정
Ⅰ. 머리말
Ⅱ. 밀양 향토민요의 분포 양상
Ⅲ. 밀양 향토민요의 음악적 특징
Ⅳ.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