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30625432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06-06-30
책 소개
목차
한국 독자를 위한 서문
초판 서문
개정판 서문
역자 서문 - 윤리의 보편성을 기초 짓는 탐구서
1부 윤리학의 정의의 과제
1장 출발에 관한 문제
2장 윤리와 철학 이전의 도덕의식
3장 윤리와 신학
2부 도덕적 명제와 근거 지을 가능성의 주장
1장 전통상대주의
2장 비인식주의적 이론
3장 인식주의 이론
4장 '좋다'(선)의 의미
3부 도덕적 행위의 개념
1장 행위와 발생
2장 귀책 가능성과 목적 관련
3장 공리적 차이
4부 보편화와 언어화용론적 규범 근거
1장 칸트의 정언명법
2장 의미론적 보편화 개념 · R. M. Hare
3장 일반화의 주장 · M. G. Singer
4장 언어화용론적 규범 근거 · K. O. Apel, J. Habermas
5부 도덕법칙으로서 인간의 자기목적성
1장 인간과 인격
2장 이성의 사실
3장 도덕 감정의 분석
4장 자기목적성의 형식적 요구
5장 자기목적성의 내용적 요구
6장 숙고하는 이성
1장 실천적 판단
2장 덕
3장 선들
4장 정의와 법
5장 폭력과 양심의 자유
7장 결과주의
1장 의무론적 이론과 목적론적 이론
2장 결과주의
참고문헌
이름 찾기
내용 찾기
책속에서
우리가 가치 평가적이고 의무론적인 명제를 분석하고 이 술어들의 의미를 설명하기를 원한다면, 이 명제의 논리적으로 올바른 형태에 대해 물음을 제기해야 한다. 무어는 너무 단순하고 또한 우리가 보게 되겠지만 틀린 모델을 생각했다. 예컨대 그는 가치 명제가 색에 관한 술어를 가진 명제처럼 단순한 서술적인 명제라고 생각했다.
우리가 "이 꽃은 노랗다"라고 말할 수 있는 것처럼 "쾌락은 좋다", "이 톱은 좋다"라고 말할 수 있다고 그는 생각한다. 예를 들어 "생명은 선이다"와 같이 명사적 술어로서의 용례와 "그는 그 소나타를 잘 연주했다"와 같이 부사적 용례를, "이것은 좋은 톱이다"와 같이 수식적 형용사의 용례를 문법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의미 분석은 따라서 단순히 '좋다(gut)'에서 출발할 것이 아니라 여러 상이한 용법들에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 - 본문 108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