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용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베를린 자유대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지금까지 울산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울산대 인문대학 학장을 지냈다.
2000년 이전에는 의사소통 공동체 이론과 관련된 주제로 글을 썼고, 그후로는 동아시아 및 한국 현실의 변화상과 관련된 글을 발표해왔다. 최근 십 년간은 한국 및 동아시아 근대의 특징들을 철학적으로 개념화하는 작업과 공동체 관련 이론들을 재구성하는 일과 씨름하고 있다. 넓게 보자면 사회 현실을 대상으로 철학화하는 일을 주업으로 삼아왔다. 학문적 관심 영역은 사회철학, 정치철학, 실천윤리학 등이며, '사회와 철학 연구회'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다(사회와 철학 연구회 회장 역임).
주요 저서로는 『홉스의 개인주의 비판』(1991), 『이성과 사회』(1998), 『철학과 현실』(2004), 『한국 가족, 철학으로 바라보다』(2012), 『한중일 사회에서의 다문화가족』(공저, 2014), 『열린 공동체를 꿈꾸며』(2020)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민주주의와 소수자」(2010), 「개인과 공동체」(2012),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2013), 「국민국가 시대의 민주주의」(2014), 「가족과 열린 공동체」(2015), 「근대성 탐구」(2016), 「한국의 근대화와 근대성」(2017), 「공동체의 미래」(2019) 등이 있다.
펼치기
한승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식론적 맥락에서 본 마르크스』로 독일 브레멘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사회철학에 대해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에서 유럽 지역, 국제관계, 북한 사상 등에 대해 연구했다.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이후 한국 근현대의 공론장 형성과 그 한계 등에 대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현대 한국 국민정체성과 개인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역서로 『공론장의 구조변동』, 저서로 『공동체란 무엇인가』(공저), 『한중일 시민사회를 말한다』(공저), 연구보고서로 『유럽내 우익민족주의 확산동향 전망』, 『유럽의 ‘전략적 자율성’ 논의와 시사점』 등이 있다.
펼치기
선우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연세대 철학과와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합리성이론으로서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된 관심 분야는 한국 사회의 현실을 제대로 읽어낼 ‘자생적 실천철학 모델’을 구축하는 과제이다. 주요 저서로는 『사회비판과 정치적 실천』, 『우리시대의 북한철학』, 『위기시대의 사회철학』, 『한국사회의 현실과 사회철학』, 『자생적 철학체계로서 인간중심철학』, 『평등』, 『도덕 판단의 보편적 잣대는 존재하는가』, 『철학은 현실과 무관한 공리공담의 학문인가』, 『홉스의 리바이어던: 국가의 힘은 개인들의 힘에서 나온다』, 『한반도시민론(공동 편저)』, 『한반도의 분단, 평화, 통일 그리고 민족(기획·편집)』, 『왜 지금 다시 마르크스인가(기획·편집)』, 『한국사회의 현실과 하버마스의 사회철학(기획·편집)』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의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충북 옥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동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보쿰대학교(Ruhr-Universitaet Bochum)에서“Anthropologie und Hermeneutik”(인간학과 해석학)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전북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했다. 제18회 한국철학자대회(2005) 조직위원장, 범한철학회 회장, 세계철학대회 조직위원(2008)을 역임했다. 호남사회연구회장, 민교협 공동의장, 전국대학교수회 정책위원장, 지방분권국민운동공동대표, 월간『열린전북』발행인, 전주 CBS, KBS시사프로 진행자, 전주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에는『해석학과 사회철학의 제 문제』(공저,1990), 『현실과 철학 사이』(1997), 『그래, 너희 뜻대로 해라』(공저,1999)가 있고, 역서로는『철학적 인간학』(1996)이 있다. 논문으로는「한국사회의 위기에 대처할 철학적 원리 들」(1995), 「문화다원주의와 21세기 인류의 철학적 지향」(1999), 「민족주의의 양면성과 한민족 공동체」(2002), 「신문명을 창조해야 한다 ─ 세계철학자들에게 고함」(2008), 「한국인의 종교생활 1 ─ 상식철학으로 읽는 기독교의 문제들과 대안들」(2010) 등이 있다.
펼치기
김원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하버마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배제, 무시, 물화』 『하버마스 읽기』가 있으며, 『프랑크푸르트학파의 테제들』 『포스트모던의 테제들』 『현대 정치철학의 테제들』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등을 공저했다. 역서로 『이성의 힘』 『지구화 시대의 정의』 『분배냐, 인정이냐?』(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 한국 예수회에 입회하여 1996년 사제로 서품 받았다. 한국, 오스트리아, 독일에서 법학, 철학, 사회학, 신학을 공부하고 2002년 독일 뮌헨의 Hochschule fur Philosophie S.J.에서 「인간 존엄성과 인권의 근거 짓기」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3년부터 서강대학교 신학 대학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윤리학, 사회 철학, 인간학, 생태 철학, 철학적 신학, 비교 철학 분야를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학생 문화처장, 신학 대학원장, 교목처장, 생명 문화 연구소장, 신학 연구소장, 동학 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푸르메 재단 이사로 봉사하고 있다. 『일반 윤리학』, 『젊은이의 행복학』, 『알프레드 델프』, 『인간 존엄성의 철학』, 『왜 인격들에 대해 말하는가』, 『동학의 재해석과 신문명의 모색』 등의 저·역서와 사회 철학, 윤리학, 생태·생명 철학, 종교 철학 분야에서 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윌리엄 데스먼드의 사이론 철학에 주목하면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나종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헤겔과 비코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와철학연구회 회장과 한국헤겔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대한철학회 부회장으로 있으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및 한국학협동과정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독일 관념론, 현대 서구 정치철학, 동아시아 유학사상 그리고 한국 현대사상 등이다. 저서로 『차이와 연대: 현대 세계와 헤겔의 사회・정치철학』(2007), 『삶으로서의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2007),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서구 현대성과 복수의 현대성 사이』(2012), 『대동민주 유학과 21세기 실학: 한국민주주의론의 재정립』(2017), 『대동민주주의와 21세기 유가적 비판이론의 모색』(2023), 『유학과 동아시아』(편저, 2018),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 2011), 『한국 인문학의 형성』(공저, 2011),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공저, 2014),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공저, 2014), 『디아스포라: 민족 정체성, 문학과 역사』(공저,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비토리오 회슬레의 『비토리오 회슬레, 21세기의 객관적 관념론』(2007), 미하엘 토이니센의 『존재와 가상: 헤겔 논리학의 비판적 기능』(2008), 카를 슈미트의 『현대 의회주의의 정신사적 상황』(2012), 기무라 에이이치의 『공자와 ≪논어≫』(2020)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