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31003857
· 쪽수 : 602쪽
· 출판일 : 1999-09-10
책 소개
목차
종교를 초월한 대지혜 / 실상반야 / 경계반야 / 문자반야 / 방편반야 / 권속반야 / 꺠뜨리지 못하는 것이 없다 / 구마라습과 측천무후
제1품 법회가 열리게 된 원인
부처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 그 때 / 사위국의 강당 / 1250명 / 세간과 대천세계 / 밥 먹고 옷 입는 것 / 걸사(乞士) 생활의 위의
제2품 수보리가 일어나 법을 청하다
선현수보리 / 여래와 보살 / 육조와 <금강경> / 선호념 / 아무 이유도 없이 근심스럽고 원망스럽다 / 금강의 눈과 발심(發心) / 권위를 갖지고 않고 주재하지도 않는다 / 어떻게 해야 마음을 머물러 있게 할 수 있을까요 / 그쳐 머물게 하는 지명(持名) 염불 / 온갖 삼매의 정경(定境) / 세 박자 / 어떻게 머물며, 어떻게 머무는 바가 없도록 하는가
제3품 대승의 바른 종지
일체 중생 / 담자의 <화서> / 유색 무색의 중생 / 유상 무상의 중생 / 홍복(洪福)과 청복(淸福) / 나한의 열반 / 부처의 열반 / 사상(四相)과 아(我)의 관념 / 삼륜체공(三輪體空)의 보시 / 쾌락과 고통은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다 / 열두 종류 생명의 전화(轉化) / 32품 게송에 대한 설명 / 제1품 게송 / 제2품 게송 / 제3품 게송
제4품 불법의 수행은 머무름이 없는 것이다
1등과 2등 / 머무는 바가 없다 / 색에 머물지 않다 / 소리와 향기에 머물지 않다 / 내적으로 오묘한 쾌감에 접하는 보살 / 기러기가 긴 허공을 가르다 / 공덕과 복덕 / 동방의 부처와 서방의 부처 / 아육왕의 모래 / 주리반타가의 빗자루 / 제4품 게송
제5품 여래를 보다
비상(非相)과 공(空) / 법신.보신.화신과 체(體) 상(相) 용(用) / 연화생(蓮花生) / 신상(身相)에 대한 집착 / 제5품 게송
제6품 바른 믿음이 드물다
문희와 문수 / 부처를 태우는 스님 / 오백 년 후 / 선행 공덕 지혜 / 깨끗한 믿음과 머무는 바가 없음 / 참됨과 참되지 못함 / 어느 곳이 피안인가 / 제6품 게송
제7품 얻은 것도 없고 말한 것도 없다
얻을 것이 무엇이며 말할 것이 무엇인가 / 정도의 차이 / 입세(入世)와 출세(出世)는 평등하다 / 성현의 구별 / 제7품 게송
제8품 일체의 부처가 이 법으로부터 나온다
일체의 부처와 <금강경> / 불법은 불법이 아니다 / 제8품 게송
제9품 어떤 깨달음도 상이 없다
견혹(見惑)과 사혹(思惑) / 누가 성내지 않는가, 누가 어리석지 않고 오만하지 않으며 의심하지 않는가 / 다시 오는 사람 / 오지 않아도 되는가 / 삼계의 천인 / 혹(惑)을 해결하여 제거하다 / 초과(初果)의 나한 / 가섭이 춤을 추고, 필릉이 자만하다 / 이과(二果)와 삼과(三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나한의 앞길 / 세상에서 제일 뛰어난 사람 / 제9품 게송 / 좀도둑과 탈옥수
제10품 장엄한 정토
마음을 비워 급제해서 돌아가다 / 장엄한 불토(佛土)는 어디에 있는가 / 라이터 / 스승 때문에 멀어버린 눈 / 제10품 게송
제11품 무위의 복이 더 낫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복 / 사구게를 수지하라 / 자량(資糧) / 제11품 게송
제12품 바른 가르침을 존중하다
<금강경>이 놓인 곳 / <금강경>을 어느 곳에 놓아둘 것인가 / 제12품 게송
제13품 법대로 수지하다
다시 대지혜를 말하다 / 황산곡과 회당 / 황산곡과 황룡사심오신 / 미진(微塵) 외색진(外色塵) 내색진(內色塵) / 그대와 나의 32상 / 협산대사 / 협산이 선자를 만나다 / 큰 공덕 / 제13품 게송
제14품 상을 떠난 적멸
깨친 후 기쁨이 극에 이르러 눈물이 흐르다 / 신심의 청정 / 세상에 드문 공덕 / 오백 년 후 세상의 드문 사람은 누구인가 / 나는 왜 내가 아닌가 / 어떻게 하면 부처를 볼 것인가 / 얻기 힘든 사람 / 무엇인 인욕인가 / 인욕의 표본 / 달마와 소크라테스 / 인욕의 공부 / 머무름이 없는 마음 / 어떻게 보시할 것인가 / 부처는 어떻게 말하는가 / 아무것도 얻은 것이 없지만 공허한 것은 아니다 / 무량무변의 공덕 / 제14품 게송
제15품 경을 지니는 공덕
제일 어려운 보시 / 노인의 구명튜브 / 신심을 거스르지 않는 복보 / 여래는 누구에게 말해 주는가 / 여러분은 작은 법을 좋아하십니까 / 제15품 게송
제16품 업장을 깨끗이 할 수 있다
경시당하고 천시당하는 원인과 결과 / 성실하고 공경스럽게 노력하는 사람 / 불가사의한 과보(果報) / 제16품 게송
제17품 궁극의 경지엔 내가 없다
무슨 원(願)을 발하는가 / 연등불에게서 얻은 것이 무엇인가 / 연등불이 왜 수기(授記)했을까 / 일체는 모두 불법이다 / 어떤 것도 없는 보살 / 무아의 보살 / 제17품 게송
제18품 일체를 똑같이 보다
눈은 마음의 기미 / 천안(天眼)이란 무엇인가 / 혜안(慧眼) 법안(法眼) 불안(佛眼) /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우주 세계 /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마음 / 너의 마음 / 영원히 얻을 수 없는 마음 / 제18품 게송
제19품 법계를 두루 교화하다
복덕은 얻을 수 없다 / 아무도 소중히 여기지 않는 복 / 제19품 게송
제20품 형체를 떠나고 상을 떠나다
대장부 상(相) / 세상의 육신보살 / 제20품 게송
제21품 어떤 법도 말로써 설명할 수 없다
아무것도 말하지 않았다 / 가섭이 웃다 / 수보리와 부처의 대답 / 왜 바위가 고개를 끄덕거렸을까 / 중생과 부처 / 제21품 게송
제22품 아무 법도 얻을 것이 없다
일지선(一指禪) / 제22품 게송
제23품 깨끗한 마음으로 선을 행하다
일체의 선법(善法)을 닦다 / 남쪽 산은 높고 북쪽 산은 낮다 / 제23품 게송
제24품 복과 지혜는 비교할 수 없다
자량(資糧)을 닦다 / 수지독송(受持讀誦) / 진정한 교화의 공덕 / 제24품 게송
제25품 교화함이 없는 교화
가르침은 대상을 가리지 않는다 / 자기의 해탈 / 무아 이후 / 제25품 게송
제26품 법신은 상이 아니다
견불(見佛)과 관불(觀佛) / 성색(聲色)과 사도(邪道) / 전륜성왕 / 십지보살과 전륜성왕 / 제26품 게송 / 낭떠러지에서 손을 놓아버리다
제27품 끊음도 없고 멸함도 없다
삼계(三界) 육도(六道)의 바깥 / 단멸견(斷滅見) / 단멸상을 말하지 않다 / 제27품 게송
제28품 받지도 않고 탐하지도 않는다
일체의 법은 무아 / 정(定)과 인(忍) / 장졸의 고사 / 구하는 것은 곧 머무는 것인가 / 제28품 게송
제29품 위의가 고요하다
오지도 않고 가지도 않다 / 여래의 경계 / 제29품 게송
제30품 이치와 현상의 일합상
작은 먼지로 분쇄된 이후 / 무엇이 합상(合相)인가 / 제8식과 종성(種性) / 심념(心念)과 폭류(暴流) / 진공(眞空)이 어떻게 묘유(妙有)를 낳는가 / 제30품 게송
제31품 지견이 생기지 않는다
견(見)은 견(見)이 아니다 / 아는 것은 무명의 근본이다 /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본다 / 우리 자신의 법상(法相) / 내가 지나갈테니 자네가 이리 오게 / 제31품 게송
제32품 모든 교화는 참된 것이 아니다
모든 교화는 참된 것이 아니다 / 내성외왕(內聖外王)의 보리심 / 불법을 배우는 게으른 사람 / 경전을 떠난 사구게(四句偈) / 몽환 중의 여여부동(如如不動) / 제32품 게송
총결론
후기
남회근 저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