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31360752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0-12-10
책 소개
목차
작가의 말
1장 교실 수업에 놀이와 연극이 필요한 이유
2장 놀이와 함께 하는 수업
학습 내용을 정리하는 놀이 수업
짝 빙고 | 환상의 커플 | 오르락내리락 골든벨 | 텔레파시 빙고 | 스피드 퀴즈 | 탱탱볼 교실 야구 | 둘이서 한 단어 | 줄줄이 말해요 | ○× 교실 야구 | 같은 그림 카드 찾기 | 할리갈리 | 종이 공 농구 | 찾아라, 찾았다! | 말판 놀이(학습 놀이 편) | 벽치기 피구 | 때려! 피해! | 눈치 게임 | 책 펼치기 놀이 | 초성 일심동체 | 진진가 | 끝말잇기 | 도둑 잡기 | 젠가(블록 쌓기)
표현력을 길러주는 놀이 수업
몸으로 말해요 | 거울 놀이 | 일으켜 세워 | 오버 왕 | 달라진 모습 찾기 | 황홀한 입장 | 택배 왔어요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표현 특공대 | 동작 일심동체
어휘력을 길러주는 놀이 수업
릴레이 박수 | 왕밤빵 놀이 | 이구동성 | 아이 앰 그라운드 | 시장 놀이 | 글자 모아 단어 | 단어 로또 | 가위바위보 카드 뺏기 | 책상 볼링 | 책상 농구 | 내 자리를 찾아라 | 탕수육 게임 | 병뚜껑 놀이
사고력을 길러주는 놀이 수업
릴레이 그림 그리기 | 마피아 게임 | 아무 말 대잔치(단어) | 아무 말 대잔치(그림, 초성) | 인디언 포커 | 탐정 놀이 | 사랑합니다. 왜요? | 8칸 그림 그리기 | 과일 바구니 | 스무고개 | 두 문장 탐정 놀이 | 말판 놀이(창작 편)
기타 놀이 수업
단어 찾기 퍼즐 | 게임 기반 학습 플랫폼 퀴즈 앤 | 미리 캔버스를 활용한 디자인 놀이 | 빙고 놀이(창작) | 띵커벨(Think bell) | 동문서답
3장 연극과 함께 하는 수업
타블로 활동과 함께 하는 수업
- 타블로 기법이란
정지 장면 만들기 | 정지 동작 보태기 | 인과관계에 따른 장면 만들기
- 타블로 기법을 활용한 수업
첫 번째 수업 | 두 번째 수업 | 세 번째 수업
빈 의자 활동과 함께 하는 수업
- 빈 의자 활동이란
빈 의자 활동 방법
- 빈 의자 활동을 활용한 수업
첫 번째 수업 | 두 번째 수업
- 빈 의자 활동을 활용한 학교 폭력 사건 처리
사건의 개요 | 피해 학생의 마음 열기 | 피해 학생과 공감하기 | 마음속에 감춰두었던 말
쏟아내기 | 듣고 싶었던 말 듣기 | 과거의 나를 위로하기 | 이후의 활동
핫시팅 활동과 함께 하는 수업
- 핫시팅 활동이란
활동 분위기 조성 | 분위기 조성을 위해 교사가 할 일 | 핫시팅 활동 운영 방법
- 핫시팅 활동을 활용한 수업
첫 번째 수업 | 두 번째 수업
소리 터널 기법과 함께 하는 수업
- 소리 터널 활동이란
소리 터널의 세 가지 유형
- 소리 터널을 활용한 수업
첫 번째 수업 | 두 번째 수업 | 세 번째 수업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업 적용 방법
1. 사회 역사 단원에서 신·구석기, 삼국 시대, 통일신라와 발해, 고려, 조선, 일제 강점기 등의 시대로 구분해 카드를 제작한다.
2. 시대별로 핵심 단어 5장, 그림 5장씩 총 80장의 카드를 만든다.
3. 나눠 받은 카드를 보이지 않게 뒤집어놓고 놀이를 시작한다.
4. 펼쳐진 카드에서 같은 시대의 그림 카드와 낱말 카드가 있으면 종을 친다.
5. 세 명 이상 놀이 시, 세 장의 카드가 같은 시대이면 종을 친다.
6. 이때, 단어 카드와 그림 카드가 각각 한 장씩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7. ‘같은 그림 카드 찾기’에서 만든 교과 카드를 활용하면 좋다.
--‘할리갈리’ 중에서
두 가지 활동으로 아빠와 엄마의 삶의 모습을 알아보았다. 이제 빈 의자 활동만 하면 된다. 이번 빈 의자 활동은 조금 특별한 대상으로 진행해 본다.
“빈 의자에 여러분과 아주 특별한 관계에 있는 인물을 모셔보겠습니다. 바로 20년 후 여러분과 결혼한 남편과 아내입니다. 그런데 남편과 아내가 피곳 씨처럼 행동한다고 합니다.”
반응이 폭발적이었다. ‘난 절대 피곳 씨 같은 사람과 결혼하지 않는다.’부터 ‘당장 이혼한다.’까지 다양한 반응이 나왔다.
“같이 살아보기 전에는 절대 모르는 게 사람입니다. 이혼이라는 극단적인 선택 대신 관계 회복을 위한 대화의 시간을 먼저 가져보면 어떨까요?”
대화의 시간을 위해 남편 또는 아내에게 할 것 같은 이야기를 포스트잇에 적도록 한다. 내용은 내가 지금 어떤 마음인지, 남편 또는 아내가 관계 회복을 위해 어떻게 해줬으면 좋겠는지 등이 구체적으로 들어가게 적는다.
--‘빈 의자 활동과 함께 하는 수업’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