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3222191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0-12-30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제2장 중앙아시아 자원개발 현황과 에너지 수요 전망
1. 중앙아시아 자원개발 동향
가. 총괄
나. 카자흐스탄
다. 아제르바이잔
라. 우즈베키스탄
마. 투르크메니스탄
2. 중앙아시아 자원개발 및 석유자원 공급 전망
가. 카자흐스탄
나. 아제르바이잔
다. 우즈베키스탄
라.투르크메니스탄
3. 중앙아시아 에너지 수요 전망
제3장 중아아시아 국가별 에너지 플랜트시장 환경과 전망
1. 카자흐스탄
가. 주요 발전 에너지원 현황
나. 카자흐스탄 전력산업 분석
다. 카자흐스탄 전력플랜트 투자 장애요인
라. 한국의 카자흐스탄 발전플랜트 참여방안
2.우즈베키스탄
가. 주요 발전 에너지원 현황
나. 우즈베키스탄 전력산업 분석
다. 우즈베키스탄 전력플랜트 투자 장애요인
라. 한국의 우즈베키스탄 발전플랜트 참여방안
3. 아제르바이잔
가. 아제르바이잔 경제와 에너지시장 전망
나. 아제르바이잔 전력산업 현황과 전망
다. 재생에너지원 개발 현황과 발전 전망
라. 아제르바이잔 전력플랜트 산업 발전과 한국의 참여 전망
4.투르크메니스탄
가. 최근 경제와 에너지 부문 개황
나. 전력산업 현황 및 개발계획
다. 한국의 투르크메니스탄 발전플래튼 협력 방안
5.키르키스스탄과 타지키스탄
가. 최근 경제 동향 및 전망
나. 전력구조 및 전력생산 현황
다. 수력발전 현황 및 전망
라. 화석연료와 신재생에너지 동향
마. 중앙아시아의 물과 에너지 위기
바. 한국적 4대강 사업의 적용가능성과 진출 전망
제4장 한국의 중앙아시아 에너지 플랜트시장 참여전략
1. 중앙아이사 6개국의 에너지수급과 전력시장 구조
가. 중앙아시아 6개국의 에너지 수급구조
나. 중앙아시아 6개국의 전력시장 수급구조
다. 중앙아시아 6개국의 송배전망
라. 중앙아시아 6개국의 전력 수급구조 특성
2. 중앙아시아 6개국의 전력시장 투자환경
가. 중앙아시아 6개국의 전력시장 투자기회
나. 전력수요량 전망과 진출대상시장 지위의 DPM 분석
다. 역내 지역협력관계와 한국과의 통상관계
라. 중앙아시아 6개국의 PESTLE 분석
3. 중앙아시아 6개국의 대한 진출전략
가. 진출사업의 현지 환경 필수확보요인과 이상적 요인
나. 중앙아시아 6개국 발전 플랜트 진출전략
제5장 결 론
1.한국의 대중앙아시아 국가별 에너지 플랜트 진출방안
2. 종합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