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32822730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4-08-26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성경 공부를 위한 제안
1과 창조주 하나님
2과 샬롬과 인간의 책임
3과 죄는 어떻게 샬롬을 무너뜨리는가
4과 개인적 불의와 제도적 불의
5과 하나님의 정의
6과 샬롬의 회복
7과 하나님 나라를 보여 주는 장면들
8과 정의와 그리스도의 십자가
9과 교회와 정의
10과 정의를 위한 간구
11과 불의에 대한 이해
12과 목소리 없는 이들의 목소리
주
정의에 관한 성경 구절
정의와 그리스도인의 삶에 관한 추가 자료
진행자 가이드
감사의 말
책속에서
“이건 불공평해!” 아이들이 이렇게 외치는 소리를 들을 때마다 아주 어린 아이들도 공정(fairness)이나 정의(justice)에 대해 선천적 감각을 가지고 태어난 것 같아 깜짝 놀랍니다. 공정과 정의는 보통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을 얻고 있는가?’ ‘당신이 나보다 많이 얻고 있는가?’의 문제로 표현됩니다. 그리고 이런 격분에는 무언가, 분명 하나님을 반영하는 무언가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_“1과 창조주 하나님” 중에서
‘불의’는 IJM이 맞서 싸우는 다양한 형태의 악에서 매우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현대판 노예의 경우, 일에서 기쁨과 영광을 누리는 대신 한 개인의 사적 이익을 위해 고된 노동을 강제당하는, 강자의 권력 행사로 전락합니다. 강제 매춘의 경우, 인간 관계에서 가장 깊은 신뢰에 기반한 행위로 하나님이 계획하신 것이, 두 사람이 서로를 고양시키는 대신 강자가 약자를 탈취하는 권력 행사가 됩니다. 재산 강탈의 경우에는 인간과 땅의 관계가 손상됩니다. 땅은 과부와 그 자녀들을 위한 자양분의 원천이기보다 다른 가정을 위한 이익의 원천으로 바뀌고, 인간과 땅의 관계는 깨집니다. 이 모든 사례에서 우리는 상호 지원을 위해 마련된 관계가 약자에 대한 강자의 권력 행사로 변질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_“3과 죄는 어떻게 샬롬을 무너뜨리는가” 중에서
사회와 문화 속의 제도가 불의를 조장할 수 있습니다. 이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배경을 알아야 합니다. 히브리 전통에서 가족은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과부가 되어 홀로 남겨진다는 것은 사회에서 설 자리가 전혀 없다는 뜻이었습니다. 다말은 가족과 멀리 떨어져 있었고, 일자리를 구할 수도 없었고, 전에 결혼한 경력이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어떤 남자도 그녀를 신부로 선택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습니다. 다말과 같은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죽은 남편의 형제는 미망인이 된 형수와 결혼하여 가족의 보호 아래 머물게 할 의무가 있었습니다.…이 본문에서 우리는 다말이 단순히 한 사람이 저지른 죄의 희생자가 아니라 문화적 불의의 희생자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_“4과 개인적 불의와 제도적 불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