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3370553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8-10-25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옮긴이의 글
저자서문
서 론
1. 제국주의 모델: 독점 지향의 자본주의화
2. 시장균형 모델
3.‘국부적 자본주의화’와 복수의 생산양식의 공존
4. 가정경작식 농업의 ‘연속’
5. 주변부 자본주의?
1장 상품화와 가정경작식 근대농업의 형성
1. 대만총독부와 상품화의 기초 작업
2. 토지제도의 보존과 개조
3. 농업생산의 상품화와 일본자본의 침투 및 지배
서양자본의 구축과 대만 토착자본의 순화
농업생산의 상품화
일본 당업자본의 침투와 집중화
상품화 및 그 한계
4. 상품화와 농업의 자본주의적 전환
2장 당업자본과 대만농민
1. 자본주의 경제하의 가정농장
2. 토지 집중의 걸림돌
3. 농촌의 생산관계
4. 가정농장의 강인한 생존능력
5. 당업자본이 농업잉여를 착취하는 기제
사탕수수 수매가격의 형성
제당회사의 자농에 대한 지배
제당회사의 곤경
6. 결론
3장 미당상극
1. 이른바 ‘미당상극’
조화설
쟁지 문제 | 상대가격 문제 | 정치 문제
적대설
2. 생산양식의 연속과 민족모순
3. 주변부 자본주의하에서의 부문간 불평등분업과 생산력의 불균등발전
4. 결론
4장 미당체제의 위기와 대만 계급구조의 재편
1.‘균형적이고 균혜적인 발전’ : 대만은 식민지 발전의 특수사례인가?
2. 계급지배의 구조
토지분배의 형태와 변화의 장기적 추세
토지수익의 분배, 소작료율
대만 지주의 맹우, 토롱간
미·당 부문 계급지배 구조의 비교
계급지배와 경제적 이익의 분배
3. 불평등한 노동보수
4. 계급의 연합과 충돌
5. 대만 지주제의 약화와 가정경작식 농업의 자작농화
6. 결론
결론 - 미당상극, 발전, 그리고 종속
부록1: 쌀·사탕수수·설탕의 가격·수입과 토지생산력(1910~1939)
부록2: 남·북 자전 면적 및 전도 자전에서 차지하는 비율
부록3: 자전·미전의 면적·생산량 및 생산력>(1905~1942)
부록4: 지역 및 1·2모작별 수전 소작료율(%)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상의 현상을 통해 볼 때 1925년 이전 대만의 식민지적 발전은 주변부 자본주의 모델과 꽤 합치된다. 하지만 1925년 이후 대만의 경험은 이 모델과 상당히 다른 면모를 보인다. 제1차 세계대전 이래 일본에서 가속화된 공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값싸고 품질 좋은 식민지 미곡에 대한 모국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고 이는 대만 미작 생산의 확대로 이어졌다. 그 결과 중에는 1930년대 농민 생활수준의 실질적 상승이라는 괄목할 만한 현상도 포함된다.
1925년 이후 대만 미곡 생산·수출의 확대는 본래의 탈절된 경제와 생산력의 불균등발전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미곡생산의 확대 과정에서 대만인 미곡생산자들은 일본 기업가와 토지·노동력을 경쟁했고 이는 지가와 임금의 동반상승을 가져왔다. 당업자본의 입장에서 더욱 치명적인 것은 식민정책의 의도와 상반되게 미농의 수입수준이 상승하여 사탕수수 수매가격을 높임으로써 미작부문의 낮은 수입수준에 기초해 수립된 가격결정 기제가 위기를 맞게 된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당시 일본 설탕업자와 농업경제에 종사하던 일본학자들이 즐겨 말해온 ‘미당상극 문제’에 가장 가까운 실제 상황이다. - 296-297쪽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서구 열강이 라틴 아메리카와 남태평양의 열대식민지에 플랜테이션을 대거 확장할 때, 어째서 일본 자본주의 지배하의 대만 토착 가정농장은 보존될 수 있었으며, 심지어는 생산력을 개선하여 농업혁명의 주역이 될 수 있었을까? 대만의 사례를 서구의 식민지와 비교해보면, 자본주의의 확대가 필연적으로 비자본주의 생산방식의 분해와 동화를 초래한다는 일방적인 주장을 피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된다. 농촌 노동력의 상품화가 일제시대 대만에서 결코 완성되지 못했다는 사실은 가정경작식 농업이 장기간 존속한 원인, 그리고 소농생산과 외래 자본주의 생산방식의 병존의 의미를 재검토하게 만든다. - 44쪽
대만의 미당상극은 1920년대 후반부터 첨예화되어 ‘문제’가 되기 시작하는데, 이는 쌀 이출의 확대로 미가의 상승과 미전 생산력의 제고로 이어졌고 쌀 이출은 일본 국내의 식량문제에 기인한다. 일본은 식민지의 값싼 쌀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앙등하는 미가를 억제했고, 이는 공업자본가가 임금비용을 절감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도리어 대만 현지에서 사탕수수의 대항 작물(쌀)의 급속한 발전과 미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당업의 원료 수매비용을 상승시켜 그 이윤을 위협하게 된다. - 19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