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민지 시대 대만은 발전했는가

식민지 시대 대만은 발전했는가

(쌀과 설탕의 상극, 1895-1945)

커즈밍 (지은이), 문명기 (옮긴이)
일조각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식민지 시대 대만은 발전했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민지 시대 대만은 발전했는가 (쌀과 설탕의 상극, 1895-1945)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3370553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8-10-25

책 소개

우리와 비슷한 시기에 일제의 식민지였던 대만에서도 식민지 경험에 대해 국내외 학자들이 다양한 시각으로 논쟁을 진행하고 있다. 대만은 1895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치하에 있으면서 각 시기별 식민정부의 정책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었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옮긴이의 글
저자서문

서 론
1. 제국주의 모델: 독점 지향의 자본주의화
2. 시장균형 모델
3.‘국부적 자본주의화’와 복수의 생산양식의 공존
4. 가정경작식 농업의 ‘연속’
5. 주변부 자본주의?

1장 상품화와 가정경작식 근대농업의 형성
1. 대만총독부와 상품화의 기초 작업
2. 토지제도의 보존과 개조
3. 농업생산의 상품화와 일본자본의 침투 및 지배
서양자본의 구축과 대만 토착자본의 순화
농업생산의 상품화
일본 당업자본의 침투와 집중화
상품화 및 그 한계
4. 상품화와 농업의 자본주의적 전환

2장 당업자본과 대만농민
1. 자본주의 경제하의 가정농장
2. 토지 집중의 걸림돌
3. 농촌의 생산관계
4. 가정농장의 강인한 생존능력
5. 당업자본이 농업잉여를 착취하는 기제
사탕수수 수매가격의 형성
제당회사의 자농에 대한 지배
제당회사의 곤경
6. 결론

3장 미당상극
1. 이른바 ‘미당상극’
조화설
쟁지 문제 | 상대가격 문제 | 정치 문제
적대설
2. 생산양식의 연속과 민족모순
3. 주변부 자본주의하에서의 부문간 불평등분업과 생산력의 불균등발전
4. 결론

4장 미당체제의 위기와 대만 계급구조의 재편
1.‘균형적이고 균혜적인 발전’ : 대만은 식민지 발전의 특수사례인가?
2. 계급지배의 구조
토지분배의 형태와 변화의 장기적 추세
토지수익의 분배, 소작료율
대만 지주의 맹우, 토롱간
미·당 부문 계급지배 구조의 비교
계급지배와 경제적 이익의 분배
3. 불평등한 노동보수
4. 계급의 연합과 충돌
5. 대만 지주제의 약화와 가정경작식 농업의 자작농화
6. 결론

결론 - 미당상극, 발전, 그리고 종속

부록1: 쌀·사탕수수·설탕의 가격·수입과 토지생산력(1910~1939)
부록2: 남·북 자전 면적 및 전도 자전에서 차지하는 비율
부록3: 자전·미전의 면적·생산량 및 생산력>(1905~1942)
부록4: 지역 및 1·2모작별 수전 소작료율(%)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커즈밍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8년 미국 뉴욕주립대학에서 「Land Tenure, Development and Dependency in Colonial Taiwan, 1895-1945」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대만 중앙연구원 민족학연구소와 사회학연구소 소장이자 국립대만대학 사회학과 겸임교수이다. 대만 사회와 대만 근현대사에 관련된 연구를 정력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본서의 영문판인 Japanese Colonialism in Taiwan: Land Tenure, Development, and Dependency, 1895-1945 (Colorado: Westview Press, 1995) 외에도 청대 대만의 족군정치ethnic politics의 역사를 근본적으로 재해석한 『番頭家:淸代臺灣族群政治與熟番地權』 (臺北市:中央硏究院社會學究硏所, 2001)과 20세기 후반 대만 ‘경제 기적’의 원인을 대만 중소기업의 조직 및 경영원리에서 포착하여 심도 있게 분석한 『臺灣都市小型製造業的創業, 經營與生産組織 ― 以五分?成衣製造業爲案例的分析』(臺北市:中央硏究院民族學硏究所, 1993) 등이 있다.
펼치기
문명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된 연구 영역은 타이완 근현대사와 한국-타이완 식민지사 비교 연구이다. 주요 논저로 『식민지시대 대만은 발전했는가-쌀과 설탕의 상극, 1895~1945』(역서, 커즈밍 지음, 일조각, 2008), 「일제하 대만 경찰력의 재검토-번지 경찰력과 평지 경찰력의 통합적 이해」(『동양사학연구』 159, 2022)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상의 현상을 통해 볼 때 1925년 이전 대만의 식민지적 발전은 주변부 자본주의 모델과 꽤 합치된다. 하지만 1925년 이후 대만의 경험은 이 모델과 상당히 다른 면모를 보인다. 제1차 세계대전 이래 일본에서 가속화된 공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값싸고 품질 좋은 식민지 미곡에 대한 모국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고 이는 대만 미작 생산의 확대로 이어졌다. 그 결과 중에는 1930년대 농민 생활수준의 실질적 상승이라는 괄목할 만한 현상도 포함된다.
1925년 이후 대만 미곡 생산·수출의 확대는 본래의 탈절된 경제와 생산력의 불균등발전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미곡생산의 확대 과정에서 대만인 미곡생산자들은 일본 기업가와 토지·노동력을 경쟁했고 이는 지가와 임금의 동반상승을 가져왔다. 당업자본의 입장에서 더욱 치명적인 것은 식민정책의 의도와 상반되게 미농의 수입수준이 상승하여 사탕수수 수매가격을 높임으로써 미작부문의 낮은 수입수준에 기초해 수립된 가격결정 기제가 위기를 맞게 된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당시 일본 설탕업자와 농업경제에 종사하던 일본학자들이 즐겨 말해온 ‘미당상극 문제’에 가장 가까운 실제 상황이다. - 296-297쪽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서구 열강이 라틴 아메리카와 남태평양의 열대식민지에 플랜테이션을 대거 확장할 때, 어째서 일본 자본주의 지배하의 대만 토착 가정농장은 보존될 수 있었으며, 심지어는 생산력을 개선하여 농업혁명의 주역이 될 수 있었을까? 대만의 사례를 서구의 식민지와 비교해보면, 자본주의의 확대가 필연적으로 비자본주의 생산방식의 분해와 동화를 초래한다는 일방적인 주장을 피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된다. 농촌 노동력의 상품화가 일제시대 대만에서 결코 완성되지 못했다는 사실은 가정경작식 농업이 장기간 존속한 원인, 그리고 소농생산과 외래 자본주의 생산방식의 병존의 의미를 재검토하게 만든다. - 44쪽

대만의 미당상극은 1920년대 후반부터 첨예화되어 ‘문제’가 되기 시작하는데, 이는 쌀 이출의 확대로 미가의 상승과 미전 생산력의 제고로 이어졌고 쌀 이출은 일본 국내의 식량문제에 기인한다. 일본은 식민지의 값싼 쌀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앙등하는 미가를 억제했고, 이는 공업자본가가 임금비용을 절감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지만, 도리어 대만 현지에서 사탕수수의 대항 작물(쌀)의 급속한 발전과 미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당업의 원료 수매비용을 상승시켜 그 이윤을 위협하게 된다. - 196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