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3370577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09-11-20
책 소개
목차
서문 / 5
서장 인도음악을 이해하는 길
1부 인도음악의 역사
1장 고대의 음악_베다 낭송과 극예술 전통
2장 중세의 음악_라가 이론의 전개와 음악이론의 활성화
3장 근대의 음악_북부 인도음악과 남부 인도음악
4장 현대의 음악_인도음악 시장의 다양화
2부 인도음악의 구조론
1장 음악적 줄기_라가
2장 음악적 맥박_딸라
3장 음악적 공간_라야·지속음·시각적 표현
4장 음악적 설계_연주형식·양식
5장 음악적 색채_연주의 음향적 구성
6장 구조론에서 의미론으로_음악구조의 총체적 인식
3부 인도음악의 의미론
1장 인도음악이 지향하는 사유
2장 소리의 근원_나다
3장 미학적 정서_라사
4장 시간이론_자연의 순환
5장 음악_인간의 모습
6장 순환_의미론과 구조론의 체계
4부 인도음악이 나아가는 길
1장 인도음악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
2장 20세기 이전의 인도음악학
3장 20세기 이후의 인도음악학
4장 자국의 음악학_서양의 논리를 넘어서
종장 글을 맺으며
다시 시작하는 글
참고문헌
그림, 표 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긴 호흡의 순환으로 이루어진 기다림의 음악, 인도음악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악이론만을 다루는 책이 아니라 인도만의 음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인도의 전통문화와 음악이 어떠한 관계로 맺어지는지 인도음악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적절한지 등에 대한 음악과 문화에 관한 바를 포괄적인 시각으로 다룬 것이다. 여느 나라보다 음악의 이론과 실제 그리고 전통문화가 밀접하게 성찰되어왔고 베다로부터 연면히 이어져온 음악의 역사와 의미가 현재 음악에도 여전히 담겨져 있는 인도음악. 우리가 이 책에서 함께 이야기할 내용이다.
- 「서문」 중에서
인도음악의 대표적인 이론적 용어에는 라가, 딸라, 라야 등이 있는데 이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하면 자칫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서양음악 개념인 선율, 리듬, 속도 등과 동일시할 위험성이 있다. 라가, 딸라, 라야 등은 여러 요소에 의한 구성논리가 축적된 개념으로서 용어의 뜻보다는 개념이 만들어진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인도음악의 요소들을 단편적으로 나열하고 설명하기보다는 음악구조에 먼저 총체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여 파악한 뒤에 여러 이론적인 용어와 개념을 단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도의 음악은 제의로부터 시작되었고 이로부터 발전된 음악은 일종의 뿌자(예배), 헌신, 명상 등과 같이 신성한 가르침을 전달하며 성찰하고 깨달아가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종의 수행으로 인식되어왔다. 따라서 영적인 수행이라는 뜻인 사다하나는 인도음악 연주 자체로 여겨진다. 전통적인 사유체계는 단지 음악구조에 내재하는 이론적 기반만이 아니라 음악을 논리화하고, 감상하고, 이해하고, 연주하고 그리고 분석하는 데에 역동적인 사고를 부여한다. 그러므로 사다하나는 인도음악의 이론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목적이자 의미론의 시작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