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33707760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0-08-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해방과 분단
1. 38선 분할과 미소 협상의 실패
2. 미군정과 좌우파의 대결
3. 6·25전쟁과 분단 고착
제2장 대한민국 수립과 민주주의 도입
1. 정부 수립과 민주주의 도입
2. 이승만 정부와 민주주의의 타락
제3장 4·19와 민주주의의 시련
1. 4·19의 성격과 쟁점들
2. 민주당 정부와 민주주의의 시련
제4장 군부 권위주의 정권의 탄생과 변모
1. 쿠데타와 정권 변화
2. 통치의 기반
3. 정치적 저항과 국가의 진압
4. 권력의 개인화와 일인 지배 체제
제5장 유신 체제의 탄생과 소멸
1. 유신 체제 탄생의 원인
2. 유신 체제의 특징
3. 저항 세력의 성장
4. 유신 체제의 붕괴
제6장 군부의 재집권과 전두환 정권
1. 군부 재집권의 과정과 원인
2. 잉여 군사 정권: 전두환 정권의 성격
3. 민주화의 정치 동학
제7장 노태우 정부와 민주주의의 부활
1. 민주화의 과도기
2. 시민 사회의 분출과 국가의 보수 회귀
3. 민주화의 한계
제8장 민주화의 진전과 지역 붕당 체제: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
1. 김영삼 정부: 민간화의 완성과 지역 붕당 체제의 확립
2. 김대중 정부: 민주주의 정착과 지역 붕당 체제의 심화
제9장 민주주의의 발전과 후퇴: 노무현 정부 이후
1. 노무현 정부: 일인 지배 체제의 종식과 새로운 문제
2. 이명박 정부: 보수 회귀의 문제점
3. 촛불 혁명인가 장기 발전인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민족은 35년에 걸친 일본 제국주의의 핍박 속에서 마침내 해방되었다. 그러나 통일 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두 개의 적대적인 나라로 쪼개지고 말았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우리가 우리 힘으로 독립을 쟁취하지 못하고 강대국들이 해방을 가져다주었다는 사실에 있을 것이다. 민족 분단은 여러 국내외적인 요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졌다.
이 정권의 통치 구조는 가부장주의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이승만 개인에 의해 지배되고 이승만의 개인적 특질에 의해 좌우된 정권 구조였다. 후기에 이승만이 늙어 자유당 과두 세력이 실제 권력을 행사하게 되었으나, 그들은 여전히 이승만에게 개인적 충성을 바치고 있었다. 자유당 과두 세력은 이승만 개인의 흥망에 정치 생명을 걸고 있었다. 이승만과 부하들 사이에는 충성과 은덕, 혹은 물질, 지위의 보상이 교환되는 일종의 후원-피후원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다.
4·19는 해방 이후 한국에 도입된 한국 민주주의가 이승만의 개인적 통치로 시들어 가던 현실에서 이를 되살릴 기회를 제공하였고, 더 나아가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민의 힘으로 집권자를 교체한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또 이러한 성공이 이후 독재 권력 앞에서 민주화 투쟁이 끊임없이 지속되게 한 중요한 정신적 원동력이었고 역사적 교훈이자 정치적 토대가 되었다. 이런 점에서 4·19운동의 정치사적 의미는 지대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