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교회개척/성장론
· ISBN : 9788934108825
· 쪽수 : 660쪽
· 출판일 : 2005-07-30
목차
한국어판 서문 역자 서문 감사의 말 서문 제1부 기원들 제1장 유럽의 팽창과 가톨릭 교인들의 정착 1. 뉴스페인의 로마가톨릭 2. 뉴프랑스의 가톨릭 선교 3. 프랑스- 가톨릭 사회의 출현 4. 메릴랜드의 로마가톨릭 제2장 영국의 종교개혁과 청교도들 1. 영국의 청교도주의 2. 신세계 정착지들 1) 버지니아 2) 플리머스 3. 미국 청교도의 생활과 신앙 1) 청교도의 길 2) 내부 갈등 4. 매사추세츠와 버지니아: 비교 제3장 다른 기원들 1. 청교도들에 대한 대안들 1) 초기 미국의 침례교인들 2) 로저 윌리암스 3) 앤 허친슨 2. 모자이크가 이룬 형체: 뉴잉글랜드 밖의 개신교 1) 영국 국교회 2) 퀘이커들과 펜실베이니아 3) 장로교인들 4) 개혁주의와 대륙의 경건주의자들 5) 캐나다의 초기 개신교인들 3. 토착 아메리칸들과 노예들 1) 토착 아메리칸들 2) 노예들 제2부 미국화 제4장 경건의 갱신(1770-1750) 1. 18세기 초 1) 솔로몬 스토다드와 코튼 매더 2) 지역적인 발전들 2. 대각성운동 1) 조지 휫필드 2) 조나단 에드워즈 3. 부흥의 발생 1) 지역적인 효과들 2) 대각성운동과 침례교인들 3) 영국 청교도에서 미국 복음주의로 4) 하층계급으로의 전파 4. 대각성운동과 미국 제5장 혁명 속의 교회 1.기독교인 애국자들 1) 공화주의 2) 대의에 대한 공헌 2. 충성주의자 1) 캐나다의 충성주의: 퀘벡 2) 캐나다의 충성주의: 연해주 3) 캐나다의 충성주의: 어퍼 캐나다 3. 평화주의자들 4. 건국자들의 신앙 5. 미국 혁명에서의 노예제에 관한 종교적인 문제 제6장 교회 안의 혁명 1. 교회와 국가의 분리 1) 헌법수정 제1조의 해석 2. 새로운 대중 민주주의 시대 1) 신조가 아니라 성경으로 2) 대중 민주주의의 영향 3. 미국의 신학의 열쇠 1) 미국 기독교 계몽운동 2) 신학적 발전 4. 상쇄시키는 동향들 제3부 개신교의 세기 제7장 복음주의의 총동원 1. 제2차 대각성운동 1) 서부지역 2) 동부지역 3) 제1차 대각성운동과 제2차 대각성운동의 비교 2. 대표적인 지도자들 1) 프란시스 애스버리와 감리교의 부상 2) 찰스 피니와 현대 부흥운동 사상 3. 침례교회의 총동원 4. 여성들의 새로운 등장 1) 포에브 팔머와 성결에 대한 주장 2) 공적 활동 5. 선교사의 비전 1) 체로키 인디언들에 대한 애매한 선교 6. 해석 제8장 아웃사이더들 1. 밀러라이트들과 몰몬교인들 1) 윌리엄 밀러의 재림사상 2) 조셉 스미스의 새 종교 2. 대안적인 공동체들 3. 아프리칸 미국인들이 그들만의 교회를 설립하다 1) 리차드 앨런과 흑인 감리교회 2) 조직하는 북무, 인내하는 남부 4. 로마가톨릭 1) 존 캐롤과 미국 가톨릭교회 2) 개신교의 반대 3) 가톨릭 여성들 5. 개신교 이민자들 1) 루터교인들 제9장 복음주의적인 미국(1800-1865) 1. 외국인들의 시각에서 2. 기독교의 미국에서의 개신교인의 삶 1) 회심하는 서부와 남부 2) 매스컴과 대중의 생각 3. 교육 4. 번성하는 개신교 신학 1) 칼빈주의 후예들 2) 중재하는 신학들 5. 정치 제10장 그의 자치령: 기독교 캐나다 1. 캐나다의 정치적 상황 2. 가톨릭 이야기 1) 퀘벡에서의 교황권지상주의의 승리 2) 퀘벡 외부 지역에서의 가톨릭과 개신교- 가톨릭의 적대감 3) 가톨릭- 개신교 긴장의 의미 3. 대서양 연안 주들에서의 개신교 이야기 4. 온타리오와 서부의 개신교 역사 1) 반대자들의 결집 2) 영국과 미국 사이에서 3) 1867년 이후의 조정국면 4) 개신교의 전교회적인 국가주의의 발흥과 한계 제11장 개신교의 미국의 마지막 시대(1865-1918) 1. 국내외의 복음 전도자들 1) 드와이트 L. 무디 2) 선교 중계자들 3) 땅끝으로 나아가는 미국 개신교인들 2. 사회의 도덕적 개혁 1) 금주법 3. 개신교 정치의 전성기 1)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2) 우드로우 윌슨 4. 도시들과 사회복음 5. 에큐메니컬 운동과 제1차 세계대전 제4부 종교적 다원주의의 출현 제12장 남북전쟁 1. 종교전쟁으로서의 남북전쟁 1) 전쟁 중의 기독교인의 활동 2) 아브라함 링컨 2. 전환점으로서의 남북전쟁 1) 노예제 폐지 2) 서부 진출 3) 공화주의의 장점 4) 시민 종교 제13장 비백인, 비개신교인 1. 스스로 운명을 지배한 미국 흑인들 1) 교파의 주도권 2) 다른 종교 기관들 3) 교회와 사회 2. 미국 정교회 3. 가톨릭 교인들 1) 이민 교회 2) 로마를 향한 여정: 아이작 해커 3) 미국주의 4) 성숙해가는 가톨릭교회 4. 변화하는 풍경 제14장 요동하는 개신교 1. 지적 도전들 1) 새로운 대학 2) 성경에 대한 역사적 비평 3) 온건주의, 중재자, 의외의 결과 2. 개신교 신학의 분열 1) 현대주의 2) 근본주의와 세대주의 신학의 등장 3) 성결파 3.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 4. 오순절주의: 새 출발 제15장 기독교 미국의 유산들 1. 청교도- 복음주의적 정치, 대안적 정치형태들 10 대안들: 분리, 자연법, 캐나다 2. 미국의 책, 미국의 상징: 성경 1) 인쇄, 번역, 배포 2) 문화적인 힘 3. 하나님에게 심취한 문학 1) 기독교 도덕을 지향한 문학 2) 문학의 표준 안의 기독교 제5부 다시 광야로? 제16장 격동의 수십 년 1. 1920년대의 유산들 2. 힘든 시간들(1929-1939) 3. 전쟁과 그 여파(1939-1960) 4. 혁명과 반혁명(1960-1980) 1) 제2차 바티칸공의회 2) 조용한 혁명 3) 은사주의 운동의 부흥 4) 교회의 지위 5. 레이건 시대와 그 이후 제17장 동향들 1. 1920년대 기독교인들의 판도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부침 1) 대부분의 백인 교파들 2) 흑인 교파들 3) 캐나다 4) 지역별 교세 3. 일반 동향 제18장 공동체들 1. 유럽 인종 집단 1) 화란 개신교인들 2) 루터교인들 2. 남침례교 3. 히스패닉들 4. 아프리칸 미국인들 제19장 명사들, 지도자들, 대표적 인물들 1. 인물들, 지도자들 1) 마틴 루터 킹 주니어 2) 풀턴 J. 쉰 주교 3) 빌리 그래함 2. 여성들의 공적인 역할 1) 에이미 셈플 맥퍼슨 2) 도로시 데이 3) 마할리아 잭슨 4) 플래너리 오코너 5) 캐더린 마샬 3. 신학 분야의 인물들 1) 라인홀드 니버 2) H. 리차드 니버 제20장 미국인의 기독교, 미국의 기독교 1. 20세기 선교 2. 에큐메니즘 3. 역사를 이해하기 1) 흑인과 백인 2) 미국과 캐나다 3) 세속화의 다양한 속도(와 여러 의미) 4. 다시 광야로? 원문과 일반 연구서 표 목록 표 6.1 교파별 교인 분포: 미국, 1776년과 1850년 표 13.1 미국 교인수 비율, 1860-1926년 표 17.1 미국과 캐나다의 1920년대 교인수 비율 표 17.2 미국 교단들의 규모, 1940-1988년 표 17.3 캐나다의 교파 점유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