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세전 교장 에비슨 자료집 6

연·세전 교장 에비슨 자료집 6

(교육·선교 서한집 4 : 1922~292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학연구소 (엮은이), 문백란 (옮긴이), 김도형 (감수), 최재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6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8,000원 -0% 0원
0원
68,000원 >
61,200원 -10% 0원
0원
61,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연·세전 교장 에비슨 자료집 6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연·세전 교장 에비슨 자료집 6 (교육·선교 서한집 4 : 1922~2923)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자
· ISBN : 9791160687583
· 쪽수 : 618쪽
· 출판일 : 2022-12-30

목차

책머리에 / 5
일러두기 / 8
해제 / 15
사진/33

[1922년]
1. 서덜랜드(협력이사회 회계)가 에비슨에게 (1922년 1월 7일)
2. 에비슨이 버터필드(매사추세츠 농업대학 학장)에게 (1922년 1월 12일)
3. 에비슨이 케네디(아펜젤러관 건축 후원자)에게 (1922년 1월 13일)
4. 에비슨이 맥케이(캐나다장로회 선교부 총무)에게 (1922년 2월 16일)
5. 스코트(협력이사회 총무)가 에비슨에게 (1922년 3월 1일)
6. 스코트가 세브란스의전·연희전문 관계자들에게 (1922년 3월 8일)
7. 세브란스의전의 서울 선교지회 제출 보고서 (1922년 3월 14일)
8. 세브란스의전 이사회 연례회의에 제출한 교장 보고서 (1922년 3월 16일)
9. 연희전문 이사회 교장 보고서 (1922년 3월 16일)
10. 에비슨이 멕케이에게 (1922년 3월 20일)
11. 에비슨이 노스(북감리회 선교부 총무)에게 (1922년 3월 20일)
12. 에비슨이 노스에게 (1922년 3월 21일)
13. 에비슨이 멕케이에게 (1922년 3월 22일)
14. 멕케이가 오웬스(세의전·연전 회계)에게 (1922년 3월 25일)
15. 멕케이가 에비슨에게 (1922년 3월 28일)
16. 멕케이가 에비슨에게 (1922년 4월 17일)
17. 에비슨이 맥케이에게 (1922년 4월 25일)
18. 에비슨이 코프(캐나다 국무장관)에게 (1922년 4월 25일)
19. 맥케이가 에비슨에게 (1922년 5월 4일)
20. 스코트가 에비슨에게 (1922년 5월 16일)
21. 연희전문 교장보고서 (1922년 5월 22일)
22. 에비슨이 맥케이에게 (1922년 5월 30일)
23.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922년 6월 10일)
24. 에비슨이 스코트에게 (1922년 7월 3일)
25. 한국 내 미션계 대학과 중등학교의 관계 (1922년)
26.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922년 7월 10일)
27. 맥케이가 에비슨에게 (1922년 7월 11일)
28. 노스가 에비슨에게 (1922년 7월 13일)
29.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2년 8월 22일)
30. 에비슨이 맥케이에게 (1922년 9월 2일)
31. 노스가 에비슨에게 (1922년 9월 5일)
32. 연희전문 이사회 교장 보고서 (1922년 9월 21일)
33. 연희전문 교장, 학감, 자산위원회의 협력이사회 제출 보고서 발췌문 (1922년 9월 21일)
34.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이사회 교장 보고서 (1922년 9월 21일)
35. 에비슨이 맥케이에게 (1922년 9월 29일)
36. 노스가 에비슨에게 (1922년 10월 3일)
37. 에비슨이 존 T. 언더우드(협력이사회 이사장)에게 (1922년 10월 18일)
38. 암스트롱(캐나다장로회 선교부 총무)이 에비슨에게 (1922년 10월 27일)
39. 세브란스의전의 서울 선교지회 제출 보고서 (1922년 12월 12일)
40.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2년 12월 21일)
41.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922년 12월 22일)
42. 에비슨이 맥케이에게 (1922년 12월 23일)
43. 에비슨이 노스에게 (1922년 12월 23일)
44. 에비슨이 맥켄지(농과 교수 지원자)에게 (1922년 12월 29일)
45. 스코트가 협력이사회 집행위원들에게 (에비슨 전보 포함) (1922년 12월 29일)

[1923년]
46. 브라운(북장로회 선교부 총무)이 에비슨에게 (1923년 1월 4일)
47. 에비슨이 존 T. 언더우드에게 (1923년 1월 8일)
48. 협력이사회 집행위원회 회의록 (에비슨의 미국행 문제) (1923년 1월 17일)
49.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3년 1월 18일)
50.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 (1923년 1월 19일)
51.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2) (1923년 1월 19일)
52. 스코트가 에비슨에게 (1923년 1월 19일)
53.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3년 1월 26일)
54. 에비슨이 존 T. 언더우드에게 (1923년 2월 21일)
55.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923년 2월 21일)
56. 에비슨이 세브란스에게 (1923년 2월 22일)
57. 스코트가 협력이사회 이사들에게 (에비슨 전보 포함) (1923년 2월 27일)
58. 하긴(연경대 서기)이 에비슨에게 (1923년 3월 2일)
59.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923년 3월 7일)
60. 에비슨이 브라운에게 (1923년 3월 8일)
61.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923년 3월 10일)
62. 보웬(금릉대 교장)이 에비슨에게 (1923년 3월 13일)
63. 발미(산동 제로대 교장)가 에비슨에게 (1923년 3월 14일)
64. 헨리(광동 영남대 부교장)가 에비슨에게 (1923년 3월 27일)
65. 세브란스의전 연례보고서 (1922년 4월 ~ 1923년 3월)
66. 에비슨이 스코트에게 (1923년 3월 30일)
67. 에비슨의 개인 연례보고서 (1922년 4월 1일 ~ 1923년 3월 31일)
68. 에비슨 부인의 개인 연례보고서 (1923년)
69.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1923년 4월 3일)
70. 에비슨이 스코트에게 (1923년 4월 6일)
71. 에비슨이 존 T. 언더우드에게 (1923년 4월 10일)
72. 세브란스의전의 서울 선교지회 제출 보고서 (1923년 4월 10일)
73. 에비슨이 스코트에게 (1923년 4월 18일)
74.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3년 4월 25일)
75.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3년 4월 30일)
76.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3년 5월 12일)
77.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3년 5월 18일)
78. 서덜랜드가 에비슨에게 (전보) (1923년 5월 23일)
79. 에비슨이 스코트에게 (1923년 6월 29일)
80. 에비슨이 스코트에게 (1923년 8월 29일)
81. 세브란스의전 이사회 교장 보고서 (1923년 9월 14일)
82. 연희전문 이사회 교장 보고서 (1923년 9월 15일)
83. 에비슨이 맥케이에게 (1923년 9월 27일)
84. 에비슨이 맥케이에게 (1923년 9월 28일)
85.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923년 9월 28일)
86. 에비슨이 윌러(협력이사회 총무)에게 (1923년 10월 9일)
87. 에비슨이 브라운에게 (1923년 11월 15일)
88. 세브란스의전의 서울 선교지회 제출 보고서 (1923년 12월)
89. 에비슨이 서덜랜드에게 (1923년 12월 19일)
90. 맥케이가 에비슨에게 (1923년 12월 20일)

찾아보기 / 609

저자소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학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학연구소는 연세 역사 속에서 축적된 연세정신, 연세 학풍, 학문적 성과 등을 정리하고, 한국의 근대 학술, 고등교육의 역사와 성격을 살펴보기 위해 설립되었다. 일제 강점하 민족교육을 통해 천명된 “동서고근 사상의 화충(和衷)”의 학풍을 계승, 재창조하는 “연세학”의 정립을 지향한다. <연세학풍연구총서>, <연세사료총서>를 간행하고 있다.
펼치기
문백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사학과, 연세대학교 대학원(문학박사)에서 수학하였으며, 현재 연세학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언더우드와 에비슨의 신앙관 비교」 등의 논문들을 썼고, 본 연구소에서 간행한 『연·세전 교장 에비슨 자료집』 (Ⅰ)과 (Ⅲ)~(Ⅵ)를 번역하였다.
펼치기
최재건 ()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Yale University의 Graduate School과 Divinity School, Harvard University의 The Graduate School of Arts & Science(문학박사)에서 수학하였고, 본 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한국성결대학교 석좌교수이다. 『언더우드의 대학설립』과 『한국교회사론』을 비롯한 다수의 국·영문 저서 및 역서가 있다.
펼치기
김도형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연세대학교 대학원(문학박사)에서 수학하였으며, 연세대학교 교수, 한국사연구회 회장, 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민족문화와 대학: 연희전문학교의 학풍과 학문』과 『근대한국의 문명전환과 개혁론: 유교비판과 변통』, 『국권과 문명: 근대 한국 계몽운동의 기원』, 『민족과 지역: 근대 개혁기의 대구·경북』을 비롯한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에비슨(Oliver R. Avison, 1860~1956)은 제중원에서 시작한 세브란스병원과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에서 40여 년간, 1915년 개교한 연희전문학교에서 거의 20년간, 두 기관의 운영 책임자였다. 연희전문의 설립자이자 초대 교장 언더우드(Horace G. Underwood, 1859~ 1916)의 가장 친한 동료로서 그의 대학 설립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그 일의 하나로서 세브란스의전을 연희전문의 의과로 만들어 하나의 종합대학을 세우기 위해서도 노심초사하였다.
이 책은 에비슨 교장이 두 학교와 병원을 운영하면서 대외적으로 주고 받은 편지를 번역한 네 번째 자료집으로, 『에비슨자료집』으로는 여섯 번째이다. 연세의 역사 자료를 정리한다는 차원에서 시작한 “에비슨자료집”은 2017년부터 총장 정책과제로 시작하였다. 이 작업은 국학연구원 산하 “연세학풍연구소”에서 시작하였는데, 2021년 말에 “연세학연구소”로 개편되어 이 작업을 계속하였다. 에비슨 자료집은 2020년까지 (I)~(V)권을 간행하였는데, (III)권부터는 “교육·선교 서한집”이란 부제를 붙였다.
이 자료집에 수록된 문서들은 1922년과 1923년에 작성된 것이다. 이때는 세브란스병원·의전과 연희전문이 1919년 3.1운동 후의 어려움을 딛고 일어나 도약의 발판을 다지던 시기였다. 두 학교 모두 총독부의 제2차 조선교육령에 따라 1923년 전문학교 인가를 갱신하여 더 나은 입지에 올라섰다. (책머리에 中)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