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09242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06-09-15
목차
서론
1. 이사야서는 어떤 책인가?
2. 이사야는 누구인가?
3. 저자와 책 단일성의 문제
1) 전통적인 견해
2) 역사 비평학의 견해
3) 신 비평학의 견해
4) 이사야서의 단일성 증거들
5) 소결론
4. 이사야의 역사적 배경
1) 주변의 정세(앗수르 왕국)
2) 북 이스라엘 왕국
3) 남 유다 왕국
4) 산헤립의 침입, 한 번인가 두 번인가?
5. 제1부 이사야의 세부적인 구분
제1장 이사야의 서론적 메시지(사 1-6장)
1. 서론 중의 서론
2. 첫째 단락
1) 하늘 법정에서의 고소
2) 징계
3) 메시아 통치의 회복
3. 둘째 단락
1) 죄악을 꾸짖음
2) 징계
3) 메시아 시대의 회복
4. 셋째 단락
1) 죄에 대한 책망
2) 징계 : 적군의 침입
3) 하늘 법정의 심판
5. 소결론
제2장 이사야의 첫 번째 메시지 : 임마누엘 메시아 예언(사 7-12)
1. 임마누엘의 예언
1) 예언의 배경
2) 첫 번째 임마누엘의 예언
3) 이스라엘과 유다에 내리는 징계
4) 두 번째 임마누엘의 예언
5) 세 번째 임마누엘의 예언
6) 피난처가 될 반석
7) 징조로 준 "나와 내 자녀들"
2. 아이를 통한 회복
1) 죄를 책망함
2) 전쟁으로 인한 징계
3) 전쟁의 승리로 회복됨
4) 아이가 주는 회복
5) 아이의 이름들
6) 메시아 왕의 통치
3. 앗수르 군대와 이새의 줄기
1) 죄악을 꾸짖음
2) 앗수르에 대한 분노
3) 미래의 완전한 회복
4) 송영
제3장 이사야의 두 번째 메시지 : 이방 나라들에 대한 신탁들(사 13-27장)
1. 서론적 고찰
1) 전체적인 개요
2) 저자와 저작시기
2. 바벨론과 바벨론 왕에 대한 신탁
1) 바벨론 신탁의 내용분석
2) 바벨론 신탁의 예언이 언제 성취된(될) 것인가?
3) 소결론
3. 모압에 대한 신탁
1) 모압에 대한 개요
2) 신탁의 주제
3) 문제의 구절들
4) 해방의 메시지
5) 재난과 슬픔
6) 소결론
4. 다메섹에 대한 신탁
1) 다메섹 신탁의 개요
2) 다메섹이 이스라엘과 함께 멸망함
3) 이스라엘에 남은 자를 둠
4) 이스라엘의 멸망
5) 앗수르를 징계함
5. 이집트와 에티오피아(구스)에 대한 신탁
1) 에티오피아에 대한 신탁
2) 이집트에 대한 신탁
3) 이집트와 에티오피아에 대한 신탁
6. 네 개의 신탁들
1) 해변 광야에 관한 경고
2) 두마에 관한 경고
3) 아라비아에 관한 경고
4) 이상골짜기에 관한 경고
7. 두로에 관한 신탁
1) 두로의 멸망
2) 멸망케 한 자
3) 회복의 약속
8. 이사야의 묵시록
1) 이사야 24장
2) 이사야 25장
3) 이사야 26:1-27:1
4) 이사야 27:2-13
5) 소결론
제4장 이사야의 세 번째 메시지 : 예루살렘의 구원(사 28-35장)
1. 앗수르를 향하는 유다에게 주는 경고
1) 에브라임의 교만한 면류관
2) 독주에 비틀거리는 유다
3) 징계로 사용되는 방언
4) 사망과 기초석
5) 농부의 교훈
6) 아리엘에 대한 애가
2. 기이하고 기이한 일들
1) 묵시를 거절한 백성들
2) 기이한 일들
3) 이스라엘 백성이 행하는 이상한 일
4) 하나님께서 행하시는 기이한 일
5) 가장 기이한 일
3. 이집트를 향하는 유다에게 주는 경고
1) 이집트로 도움을 구하러 감
2) 남방 짐승이 지고 가는 짐
3) 경고를 듣지 않는 백성에 대한 징계
4) 예루살렘의 회복
5) 앗수르를 심판함
4. 이집트가 아닌 여호와의 보호
1) 도움을 구하는 자나 돕는 자가 함께 망함
2) 앗수르의 침입과 여호와의 보호
3) 한 의로운 왕의 통치
5. 앗수르의 침입과 미래의 회복
1) 부녀들을 꾸짖음
2) 아직도 징계(?)
3) 회복의 메시지
6. 앗수르에 의한 징계와 완전한 회복
1) 구원을 비는 기도
2) 앗수르의 흥함과 쇠함
3) 회복된 왕의 영광
4) 열국을 심판함
5) 이사야 34:16-17의 해석
6) 회복된 하나님의 나라
제5장 역사를 진술함 : 앗수르의 침입과 하나님의 보호하심(사 36-39장)
1. 서론적 고찰 : 사 36-39장의 구성요서와 문제점
2. 산헤립의 침입
1) 전쟁의 서술적 진술
2) 예루살렘을 공격함
3)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은 유다
4) 이집트의 출정소식
5) 히스기야의 기도
6) 하나님의 응답
7) 징조와 회복의 약속
8) 대단원의 결론 : 약속을 성취함
3. 히스기야의 병
1) 서론적 고찰
2) 히스기야의 병과 회복의 약속
3) 징조의 의미
4. 바벨론 포로의 예언
1) 히스기야의 잘못
2) 바벨론 포로의 예언
3) 히스기야의 회개
책을 끝맺으면서
1. 제1부 이사야의 중심 메시지
2. 중간 고리 역할로서의 36-39장
1) 제1부 이사야의 결론으로서의 36-37장
2) 제2부 이사야의 서론으로서의 38-39장
3. 제2부와 제3부 이사야의 중심 메시지
각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