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32119724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5-08-20
책 소개
목차
05 머리말
07 입문
*한글 - 히브리어
22 가련한(불쌍한) 아니(ynI[')
26 감사하다 야다(hd'y")
29 거룩함 코데스(vd,qo)
32 구(원)하다 야샤([v;y")
35 기도 터필라(hL'piT.)
38 기뻐하다 사마흐(xm;f')
41 길 데렉(%r,D,)
45 다윗 다윗(dwiD'/dywID")
51 돕다(~의 도움을 받다) 아잘(rz:[')
54 두려워하다 야레(arey")
57 듣다 샤마([m;v')
60 마음 렙=레밥(ble=bb'le)
63 말씀 다바르(rb'D')
66 백성 암(~[;/~[')
72 법(법률) 토라(hr'AT)
75 부르다(┈에게 부르짖다) 카라(ar'q')
78 사랑(자애·한결같은 사랑) 헤셋(ds,x,)
81 살(몸) 바살(rf'B')
84 살다 하야(hy"x')
87 숨 루아흐(x;Wr)
90 시온 치온(!AYci)
93 시편 미즈모르(rAmz>mi)
96 신뢰(하다) 바타흐(xj;B')
99 악한 라샤([v'r')
105 연민(자비) 라하밈(~ymix]r;)
108 영광 카봇(dAbK')
111 올바름 찻딕(qyDic;)
117 은총(호의·용서·자비를 베풀다) 하난(!n:x')
120 인간(존재) 아담(~d'a')
126 임금 멜렉(%l,m,)
129 죄(죄를 짓다) 하타(aj'x')
132 죽은 이들의 처소 셔올(lAav.)
135 진실 에메트(tm,a/)
138 찬양하다 할렐(lLeh;)
141 찾다 빅퀘스(vQeBi)
144 축복하다 바락(%r;B')
147 평화 샬롬(~Alv')
150 하느님(의 이름)
159 행복한 아스레이(yrev.a;)
162 혼(영혼) 네페스(vp,n<)
*히브리어-한글
120 아담(~d'a') 인간(존재)
159 아스레이(yrev.a;) 행복한
135 에메트(tm,a/) 진실
96 바타흐(xj;B') 신뢰(하다)
141 빅퀘스(vQeBi) 찾다
144 바락(%r;B') 축복하다
81 바살(rf'B') 살(몸)
63 다바르(rb'D') 말씀
45 다윗(dwiD'/dywID") 다윗
41 데렉(%r,D,) 길
150 하느님(의 이름)
138 할렐(lLeh;) 찬양하다
129 하타(aj'x') 죄(죄를 짓다)
84 하야(hy"x') 살다
117 하난(!n:x') 은총(호의·용서·자비를 베풀다)
78 헤셋(ds,x,) 사랑(자애·한결같은 사랑)
26 야다(hd'y") 감사하다
54 야레(arey") 두려워하다
32 야샤([v;y") 구(원)하다
108 카봇(dAbK') 영광
60 렙=레밥(ble=bb'le) 마음
126 멜렉(%l,m,) 임금
93 미즈모르(rAmz>mi) 시편
162 네페스(vp,n<) 혼(영혼)
51 아잘(rz:[') 돕다(┈의 도움을 받다)
66 암(~[;/~[') 백성
22 아니(ynI[') 가련한(불쌍한)
29 코데스(vd,qo) 거룩함
75 카라(ar'q') 부르다(┈에게 부르짖다)
87 루아흐(x;Wr) 숨
105 라하밈(~ymix]r;) 연민(자비)
99 라샤([v'r') 악한
38 사마흐(xm;f') 기뻐하다
132 셔올(lAav.) 죽은 이들의 처소
147 샬롬(~Alv') 평화
57 샤마([m;v') 듣다
111 찻딕(qyDic;) 올바름
90 치온(!AYci) 시온
72 토라(hr'AT) 법(법률)
35 터필라(hL'piT.) 기도
시편 기도에 대한 일곱 가지 제안
테두리를 둘러친 목록
48 시편의 집성 연대
69 진정한 의미의 시편: ‘우리 아버지(주님의 기도)’
102 과연 시편은 너무 폭력적인가?
114 시편에 등장하는 ‘원수들’ 문제
123 시편은 남성의 기도인가?
180 참고 문헌
184 옮긴이의 말
186 개정판을 내면서
책속에서
우리 가운데 시편 기도를 통해 깊은 감명을 받지 않은 사람이 과연 있을까? 우리는 삶의 중요한 순간마다 그분과 하나가 되어 동행하기 위하여 시편 기도를 바친다. 즐거울 때는 ‘할렐루야’ 노래와 감사의 환호가 아주 자연스럽게 우리 입술에서 흘러나온다.
이 책은 ‘시편의 특징적인 어휘’를 구성하는 특수한 낱말의 문門을 통하여 시편의 세계로 들어가도록 도움을 주려고 한다. 이 아이디어는 시편을 제대로 음미하고, 각 시편이 지닌 고유한 차이를 쉽게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는 단순하면서도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가련한 사람은 모욕을 당한 사람, 곧 폭력의 희생물이 된 사람과 사회 변두리 인생을 지칭한다. 여기서 가난이 금욕주의적 이상처럼 칭송되지 않는다면, 실제로 가난은 무력감, 비참함, 불행을 동반한다. 아울러 시편은 인간의 불행에 속하는 가련함의 파란곡절을 회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