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야망의 대가

야망의 대가

(우월해지려는 열망이 우리를 어떻게 망가뜨리는가)

미로슬라브 볼프 (지은이), 노종문 (옮긴이)
두란노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300원 -10% 660원 11,310원 >

책 이미지

야망의 대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야망의 대가 (우월해지려는 열망이 우리를 어떻게 망가뜨리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53151277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7-28

책 소개

미로슬라브 볼프는 이 책에서 ‘타인보다 나아지려는 야망’이 개인과 사회를 발전시키기보다 오히려 우리를 소진시키고 쇠퇴하게 만든다고 말한다. 또한 예수님의 가르침과 창세기의 이야기들이 이 문제에 어떤 대안을 제시하는지도 탐색한다.

목차

서문_ ‘더 높이, 더 깊이, 더 앞서기’를 외치는 시대정신

PART 1. 남보다 나아지려는 야망, 그 끝에 남은 허기

1. “솔로몬이여, 내가 그대를 능가했노라!”

2. 쇠렌 키르케고르
비교의 불안, 내 영혼을 마르게 하는 독

3. 존 밀턴
가장 높이 오르려다 끝없이 추락하다

PART 2. 비교와 경쟁 너머, 탁월함을 향하여

4. 사도 바울Ⅰ
타인을 자신보다 낫게 여기며

5. 사도 바울Ⅱ
은혜의 자각, 욕망을 멈추게 하다

6. 예수와 성경
우월함 추구에서 소명으로 시선을 돌리다

결론_ 우월성 추구에 반대하는 24가지 논제

참고문헌

저자소개

미로슬라브 볼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에 대해 기독교 신앙이 어떤 답을 줄 수 있는지 깊이 성찰하며, 정의 · 용서 · 화해 · 번영 등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는 영향력 있는 신학자이자 윤리학자이다. 크로아티아 출신으로, 크로아티아 자그레브대학교(University of Zagreb)에서 고전 그리스어와 철학을, 크로아티아 오시예크의 복음주의신학교(Evangelical-Theological Faculty)에서 신학을 공부했다(B.A.). 이후 미국 풀러신학교(Full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석사 학위(M.A.)를 받았고, 독일 튀빙겐대학교(University of T?bingen)에서 위르겐 몰트만의 지도 아래 신학 박사 학위(Dr. Theol.)와 교수 자격(Dr. Theol. habil.)을 취득했다. 풀러신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쳤고, 현재 예일신학대학원(Yale Divinity School) 헨리 B. 라이트(Henry B. Wright) 조직신학 교수이자,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있는 예일신앙과문화연구소(Yale Center for Faith and Culture)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예일신앙과문화연구소는 종교와 인류 공영의 문제, 세계화, 화해, 일과 영성 등의 문제를 연구한다. 2002년 그라베마이어 상(종교 분야)을 수상하고 〈크리스채너티 투데이〉에서 20세기 가장 중요한 100권의 종교 서적으로도 선정된 《배제와 포용》, 2007년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기독교와 문화’ 부문 올해의 책으로 선정된 《기억의 종말》을 비롯해 《베풂과 용서》, 《광장에 선 기독교》, 《일과 성령》, 《행동하는 기독교》(공저) 등의 책을 집필했다. 또한 전 세계를 다니며 정기적으로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노종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과 예일신학대학원(S.T.M.)에서 공부했으며, IVP 대표와 편집장으로 일했다. 현재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발행하는 웹진 〈좋은 나무〉의 편집 주간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하나님 나라 복음과 제자도》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히브리 성서를 열다》, 《하나님 나라의 스캔들》, 《요한계시록, 오늘을 위한 미래》, 《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정의》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매년 5월, 나는 예일대학교의 졸업식 풍경을 마주한다. 수천 명의 학생들이 학위를 받고, 밝은 미래를 꿈꾸며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장엄한 순간이다. 그들의 눈빛에는 희망과 열정이 가득하지만, 동시에 알 수 없는 불안감과 무게감이 드리워져 있다. 이 불안감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이들은 이미 최고 수준의 교육을 받았고, 사회에서 성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여겨지는 젊은이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마음속 깊은 곳에는 '과연 내가 남들보다 더 나은 존재인가?', '내 삶이 정말 성공적인가?'라는 질문이 자리 잡고 있다.



그들은 아마도 지난 몇 년간 끊임없이 자신을 다른 학생들과 비교하며 살아왔을 것이다. 학점, 인턴십, 동아리 활동, 졸업 후 진로 등 모든 것이 비교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비교는 때로는 더 나은 성취를 위한 동기가 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깊은 불만족과 우울감, 그리고 '나만 뒤처지는 것은 아닐까?' 하는 불안감을 낳는다. 예일대학교 학생들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이러한 비교의 굴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소셜 미디어는 이러한 비교를 더욱 증폭시켜, 끊임없이 타인의 화려한 삶과 자신의 초라한 현실을 대비하게 만든다.

이 책은 이러한 보편적인 인간의 경험, 즉 '남보다 우월해지려는 욕망'의 본질과 그로 인한 대가를 탐구한다. 우리는 왜 끊임없이 자신을 증명하려 애쓰는가? 왜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 그토록 민감한가? 그리고 이 끝없는 경쟁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잃어버리고 있는가? 예일대학교 학생들의 불안감은 단지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월성 추구라는 현대 사회의 보편적인 병리 현상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우월성을 향한 맹목적인 추구가 얼마나 허망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깨닫고, 그 대가로부터 우리 자신을 해방시킬 진정한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서문 중에서)


"527년에 동로마 제국의 황제로 즉위한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는 광활한 지중해 세계를 재건하려는 거대한 야망을 품고 있었다. 그는 로마 제국의 영광을 되찾고, 자신이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황제로 기억되기를 열망했다. 그의 야망은 건축물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특히 콘스탄티노플에 세운 하기아 소피아 성당은 그의 건축적 야망의 정점이었다. 532년에 착공하여 537년에 완공된 이 거대한 성당은 당시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규모와 화려함을 자랑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이 성당을 완공한 후, 봉헌식에서 이렇게 외쳤다고 전해진다. "솔로몬이여, 내가 그대를 능가했노라!" 이 외침은 단순히 성당의 웅장함을 넘어, 자신이 고대 이스라엘의 가장 위대한 왕인 솔로몬의 지혜와 영광마저 넘어섰다는 그의 강렬한 우월 의식을 보여준다.
하지만 유스티니아누스의 야망에는 또 다른 인물이 그림자처럼 드리워져 있었다. 바로 아니키아 율리아나였다. 율리아나는 당시 콘스탄티노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귀족 여성이자 막대한 부를 소유한 인물이었다. 그녀는 유스티니아누스가 황제가 되기 훨씬 전인 526년에 콘스탄티노플에 '성 폴리에욱토스 교회'를 건축했다. 이 교회는 당시까지 지어진 건물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며, 화려함 또한 비할 데 없었다. 율리아나는 이 교회를 통해 자신의 부와 권력, 그리고 신앙심을 과시하고자 했다. 그녀는 교회의 서문에 솔로몬의 성전과 비교하는 글귀를 새겨 넣음으로써, 자신이 솔로몬을 능가하는 건축가임을 선언했다.
유스티니아누스의 하기아 소피아 건축은 단순히 신앙심의 발현을 넘어, 율리아나의 성 폴리에욱토스 교회를 능가하려는 암묵적인 경쟁 의식도 내포하고 있었다. 두 거대한 건축물은 단순히 신앙의 상징이 아니라, 당시 최고 권력자들의 우월성 추구와 서로를 능가하려는 야망의 거대한 기념비였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하기아 소피아는 비록 역사에 길이 남을 걸작이 되었지만, 그 안에는 인간의 끝없는 야망과 그로 인한 대가가 아로새겨져 있다. 그들은 영광을 추구했지만, 그 영광의 이면에는 인간적인 교만과 경쟁 의식이 깊이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우리에게 남보다 나아지려는 야망이 어떻게 인간의 본질과 신앙의 순수성을 왜곡시킬 수 있는지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1장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3151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