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2259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2-10-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주해와 텍스트 언어학
1장_서론 및 문제 제기
1. 숲과 나무(부분과 전체)
2. 해석의 필연성
2장_문법적·역사적, 알레고리적 그리고 모형론적 해석
1. 알레고리적 해석
2. 알레고리와 알레고리적 해석
3. 문자적 해석
4. 모형론적 해석
5. 역사 비평주의
3장_텍스트 언어학
1. 미시 구조와 거시 구조
2. 전달방식에 주목
4장_주해
1. 주해의 정의와 목적
2. 주해의 단계
1) 본문에 대한 연구
2) 배경적 연구
3) 전체 내에서의 본문의 의미
4) 종합 및 발전 단계
참고문헌
2부 텍스트 언어학과 히브리어
1장_예비적 고찰
1. 텍스트 중심의 접근
2. 텍스트에 대한 세 가지 전제
2장_텍스트 언어학 접근에 관한 고찰들
1. 텍스트와 구조에 관한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2. 뼈대와 ‘관함’으로서의 화제
3. 담화 주제와 문장 주제
4. 연속적·계층적 관계로서의 담화 주제
1) 연속적 구조로서의 주제 모델
5. 부분적·광범위의 구성
6. 램브레트의 정보 구조 이론
1) 정보 구조를 위한 네 가지 주요 화용론적 범주
2) 화제
3) 초점
7. 텍스트의 세 가지 주요한 구조: 구문론적, 주제적 그리고 총체적 구조
3장_텍스트 분석 방법 고찰: 세 가지 주요 구조를 중심으로
1. 구문론적 구조
1) 구문론적 특징들
2) 전경과 배경
3) 구획들 사이의 주제적 관계
2. 주제적 구조
1) 구획의 경계 나누기
2) 잠재적 주제의 실마리 조사하기
3) 구획에서의 부분적 주제 추론하기
3. 총체적 구조
4장_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역사 비평주의에 가까운 혹은 문예적 접근에 가까운 다양한 스펙트럼의 접근들이 있지만, 정경적 맥락(canonical context)에서 있는 그대로의 본문(text as it is)을 대하자는 목소리도 있어왔다. 본문 배후에 대한 관심보다 본문 자체에 대한 관심, 본문의 문예적 특징들을 주목하여 신학적 메시지(theology)에 도달하고자 하는 문예적 접근도 비평주의에 대한 반성에서 나온 것이다. 여기에 일반 언어학 내에서도 텍스트(text)에 주목하는 텍스트 언어학(text-linguistics)도 본문 자체에 집중하는데 일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반성은 파편화의 문제, 역사성에 대한 과도한 강조로 인하여 본래 정경으로서의 성경에 접근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는 우리의 현재의 관심인 주해와 관련하여 볼 때에도, 본문을 주해함에 있어서 부분과 전체의 균형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다시 한 번 보여주는 것이다.
신학(조직신학)은 본문을 보다 넓은 문맥으로 확장시키는 작업이기도 하며, 성경신학적인 작업과 조직신학적인 작업의 조화를 도모하는 것이기도 하다. 선택된 본문이 때로 조직신학의 주요 범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 본문의 의미 및 역할이 신학적 측면에서도 구체화되는 것이다. 어떤 본문의 경우는 신론 혹은 종말론, 나아가서 메시아 개념의 발전을 통하여 기독론과의 관계 속에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본문이 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선택된 본문을 신학이라는 보다 넓은 문맥에서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앞에서 예를 든 야곱의 이야기는 신학적인 측면에서도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을 보여주며, 그 가운데 성경적 인간론을 정립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하나님 앞에서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