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3126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3-09-10
책 소개
목차
♠ 서문 _ 5 ♠ 주요 주석서 _ 15
♠ 한국 독자들을 위한 저자 서문 _ 6 ♠ 연대표 _ 19
♠ 역자 서문 _ 8 ♠ 서론 _ 20
♠ 약어표 _ 13
1부 자료
01 느헤미야 회고록 … 27
02 에스라 자료 … 37
03 느헤미야서의 기타 자료들 … 49
04 에스라 1-6장 … 57
2부 형성과 연대
01 역대기 사가와
에스라-느헤미야서 … 73
02 에스드라 1서 … 75
03 새로운 접근 … 83
04 연대 … 89
3부 역사
01 유다 지역의 정치적 상황 … 97
02 제2 성전 건축 … 103
03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연대적 순서 … 111
04 에스라 파견 … 139
4부 신학
01 구속사의 발전 … 157
02 연속성과 정당성 … 163
03 하나님, 왕, 민족 … 173
04 율법책 … 181
책속에서
7:6-73에 나오는 명단은 훨씬 더 논쟁이 되고 있다. 이 구절들 바로 직전에서 느헤미야는 예루살렘에 좀 더 많은 유대인들이 살도록 독려하기 위해 ‘처음으로 돌아온 자의 보계’를 얻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서 이 명단이 따라 나오는데, 이것은 에스라 2장 에 나오는 명단과 동일한 것으로 판명이 나 있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느헤미야가 그것을 자신의 기사 안에 포함시켰을 가능성에 대해 의심을 제기하는 것 같다. 반면, 현대의 문학적 감수성을 고대의 작가에게도 대입하지 말아야 하며, 7:5b는 우리에게 명단을 기대하게끔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주제는 좀 더 많이 논의되어야 할 문제이다.
그러면 그러한 자료를 에스라는 애초에 왜 완성했는가? 느헤미야 8장이 원래 에스라 8장과 9장 사이에 속했었다고 본다면, 에스라에 관한 자료의 기간은 정확히 12개월에 고르게 걸쳐 있다고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앞에서 살펴본 대로 아닥사스다의 칙령의 내용이 실제로 수행되었음을 보여 주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기사에 반영되어 있다.
느헤미야서 안의 기타 자료들의 두 번째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이것들과 느헤미야의 개인적 업적-세속적인 것과 신앙적인 것 모두-에 대한 기록과 많은 곳에서 평행 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느헤미야 개인 회고록뿐 아니라 제사장적 리더십 하에 온 백성이 뚜렷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기록하는 기사들 모두, 성벽재건, 예루살렘으로의 주민 이주, 방만한 신앙에 대한 교정과 성벽 봉헌 등의 각각의 사건을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느헤미야 회고록의 두 단계 성장에 대해 우리가 앞에서 내린 결론과도 잘 들어맞는다. 즉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자신의 공헌이 과소평가 되어서는 안되겠다는 느헤미야의 판단은 단호했고, 그래서 이 영역들에서 자신이 기여한 점들에 주위를 환기시키기 위해 자기의 초기 보고서를 재술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