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3904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08-07
책 소개
목차
추천사(이동휘 목사, 바울선교회 대표) _ 5
추천사(아더 글라서 박사, 풀러신학교 선교대학원 교수) _ 7
저자 서문 _ 17
한국어판을 위한 저자 서문 _ 23
역자 서문 _ 25
서론 _ 27
제1부 지역 교회: 하나님의 선교적 교회
1 새로운 관점으로 보는 지역 교회 _ 35
2 현대 교회론이 지역 교회에 미친 영향 _ 53
3 에베소서에 나타난 지역 교회의 참모습 _ 73
4 역사적 관점에 나타난 지역 교회의 참모습 _ 97
5 지역 교회의 선교적 의도 _ 121
제2부 지역 교회: 하나님의 선교적 교회를 향한 새로운 비전
6 지역 교회의 존재목적 _ 145
7 하나님 나라와 지역 교회 _ 171
8 선교적 교회의 역할 _ 205
제3부 지역 교회: 선교적 교회가 되어가는 지역 교회
9 선교적 교회의 선교적 목표 _ 227
10 선교적 교회의 성도 _ 251
11 선교적 교회의 지도자 _ 275
12 선교적 교회의 행정 _ 303
참고문헌 _ 333
주제색인 _ 361
성경색인 _ 364
책속에서
선교에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한다. 선교는 우리가 언젠가는 해야 할 사역으로 여러 ‘희망사항들’ 중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경우가 태반이다. 선교사들과 목회자들도 선교라는 ‘새 용어’에 큰 무게를 두지 않는다. 서구 선교사들은 자기 기준으로 판단하여 새로 일어나는 제3세계 교회들이 어느 정도 성숙해지기 전 까지는 선교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선교적 교회를 도처에 일으키고 계신다. 북미와 유럽의 교회들은 교회 내부적인 사역에 우선순위를 두고 ‘선교’는 뒷전으로 밀어 놓는 경우가 많다. 선교는 교회의 사역을 철저하게 성찰하게 한다. 만일 선교가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의 본질이라면 선교는 교회 모든 사역들 중에서 최우선 순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교회에 주신 성령의 은사를 살펴보면 그 은사들이 세상에서 교회가 감당해야 할 사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에 우리는 상당히 놀란다. 교회를 통하여 세상에서 이런 성령의 은사들이 계발되고 쓰여 질 때 교회는 예수님처럼 맡겨진 직분을 잘 감당하게 된다.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작별하실 때 제자들에게 세상에서 하시던 당신의 사역을 계속하라고 분명히 위탁하셨다.
린드그렌과 쇼우척이 쓴 『교회의 관리』라는 책은 ‘교회 관리자로서의 목회자’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교회의 행정과 조직이 주위 환경만이 아니라 성도들의 삶의 변화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세속적인 환경에 맞게 조직과 행정 구조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린드그렌과 쇼우척은 경고하여 말하기를 사실상 세속적인 방법들은 종교 기관에 대부분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