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4291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5-02-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정인찬 박사, 백석신학교 학장)/ 4
추천사 2 (김상구 박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6
추천사 3 (정영근 목사 외 4명)/ 8
머리말 /16
제1부 한국인의 전통적인 장례예식 이해
제1장 한국인의 죽음관과 내세관/ 22
1. 무속/ 23
2. 불교/ 27
3. 유교/ 30
제2장 한국 전통 장례예식의 이해/ 36
1. 한국 전통 장례예식의 변천과정/ 36
2. 한국 전통 장례예식 절차/ 42
3. 한국 전통 장례예식의 문제점/ 58
제2부 기독교 장례예식의 이론적 이해
제1장 죽음에 대한 성경적 이해/ 64
1. 구약에서의 죽음 이해/ 64
2. 신약에서의 죽음 이해/ 68
제2장 장례예식의 성경적 이해/ 71
1. 구약에서의 장례예식/ 72
2. 신약에서의 장례예식/ 79
제3장 장례예식의 신학적 이해/ 82
1. 장례예식의 중요성/ 82
2. 장례절차에 대한 신학적 이해/ 84
제4장 장례예식의 역사적 이해/ 90
1. 초대 교회/ 90
2. 중세 교회 93
3. 종교개혁 이후/ 98
4. 근·현대 교회/ 102
제3부 한국 기독교 장례예식의 실제적 이해
제1장 한국 기독교 장례예식의 문제점/ 106
1. 전통예식과의 관련성/ 106
2. 장례예식에 대한 이해도/ 107
3. 목회현장에서 나타난 문제/ 110
4. 요약 및 평가/ 118
제2장 예식서에 나타난 장례예식/ 121
1. 장례예식서의 활용과 그 의의/ 121
2 기독교 장례예식의 일반적인 절차/ 123
3. 주요 교단별 장례예식/ 130
제3장 한국 장례예식의 변형에 따른 기독교의 수용과제/ 187
1. 장사법의 변형과정/ 187
2. 장법의 실태와 향후 전망/ 189
3. 장례 시설 현장 및 사회 환경변화에 따른 기독교의 대비책/ 192
제4부 한국 기독교 장례예식에 대한 목회자 인식도 조사
제1장 설문조사/ 198
1. 조사목적/ 198
2. 조사방법/ 198
3. 설문내용 요약/ 199
제2장 결과 및 분석/ 201
1. 목회자의 장례예식 인식도/ 202
2. 장례예식 실제와 예식서 활용문제/ 210
3. 장례예식장에 대한 만족도/ 218
4. 장례예식과 선교 및 교회성장 관계/ 222
5. 장례예식의 개선방안 및 대책/ 230
제5부 한국 기독교 장례예식의 개선방안
제1장 죽음과 장례예식에 대한 바른 이해의 필요성/ 234
1. 죽음에 대한 성경적 이해의 필요성/ 235
2. 장례예식의 목적과 사회적 기능 이해의 필요성/ 238
3. 매·화장과 부활의 관계 이해의 필요성/ 242
제2장 장례예식과 교회성장과의 관계성 및 개선방안/ 246
1. 관계성 평가에 따른 개선방안/ 246
2. 기독교인의 자살이 선교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개선방안 /250
3. 목회자의 장례예식에 대한 인식도 제고방안 /254
제3장 목회사역으로서의 선교적 활용방안 모색 /258
1. 장례예식 목적으로서의 선교 활용방안 모색 /258
2. 장례예식을 통한 효과적인 선교 활용방안의 실제 /259
제4장 기독교 장례예식서 새로운 모델 제안 /261
1. 새로운 장례예식서 모델 작성지침 /261
2. 일반적인 장례예식서 모델(안) /263
3. 특수한 장례예식서 모델(안) /297
제5장 기독교 장례예식의 올바른 정착 및 실효성을 위한 제안 /309
부록
부록 1. 장례 용어 해설/ 322
부록 2. 장사 등에 관한 주요 개정 법률/ 326
부록 3. 장례예식 설교 예문/ 333
참고문헌/ 352
저자소개
책속에서
올바른 기독교 장례예식을 집례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토대가 필요하다. 그것은 성경적이고 신학적인 이해 없이 올바른 기독교 장례예식을 거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63p-
교회는 기독교 장례예식의 중요성을 깨달아 상업적이고 의례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장례예식을 통하여 생명을 살리는 복음의 메시지 전파와 평소 죽음에 대한 교육 등으로 장례예식을 선교의 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104p-
한국 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장례예식은 안타깝게도 우리가 기대하는 예배적, 치유적, 교육적, 선교적 기능을 충분히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소 목회자의 장례예식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선교활용에 대한 뚜렷한 목표를 가져야 한다. 또한 교회가 평소 죽음에 관하여 분명한 신학을 천명하고 신자들에게 합당한 장례예식의 지침과 실제를 교육하여야 한다.-120p-
기독교 장례예식은 교회의 중요한 기능의 하나로서 예배와 더불어 선교의 목적으로서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온 교인들의 중요성 인식과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목회자는 목회사역의 중요한 부분임을 깨달아 평소에 교인들에 대한 교육과 지대한 관심으로 인식도 제고에 힘써 교회성장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에 공헌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308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