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5946
· 쪽수 : 1080쪽
· 출판일 : 2016-12-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1 909
추천사·2 912
서문·915
역자 서문·921
약어표·926
참고문헌·929
도표리스트·969
4부 / 네 번째 주요 부분
8장. 길에서: 보지 못함과 보게 됨(8:22-9:32) 976
1. 서론·976
2. 예수님이 두 단계에 걸쳐 시각 장애인을 치유하다(8:22-26)·982
3. 예수님이 메시아로 인식되고 자신의 죽음과 부활을 예언하다(8:27-33)·1000
4. 예수님이 자신을 따르면서 얻는 것과 잃는 것을 선언하다(8:34-9:1)·1023
5. 변모 내러티브(9:2-8)·1050
6. 예수님이 엘리야와 인자에 대해 말하다(9:9-13)·1070
7. 예수님이 간질에 걸린 소년을 치유하다(9:14-29)·1086
8. 예수님이 자신의 죽음과 부활에 대해 재차 예언하다(9:30-32)·1114
9장.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말씀 모음(9:33-10:52) 1121
1. 서론·1121
2. 예수님이 위대함에 대해 말하다(9:33-37)·1125
3. 예수님이 외부의 축귀 사역자를 배제하지 않음(9:38-40)·1143
4. 예수님이 사후의 보상과 징벌에 대해서 말하다(9:41-50)·1150
5. 예수님이 결혼의 영속성을 주장하다(10:1-12)·1172
6. 예수님이 어린아이들을 축복하다(10:13-16)·1198
7. 예수님이 한 부자를 부르다(10:17-22)·1210
8. 예수님이 부유함에 대해 논의하다(10:23-31)·1229
9. 예수님이 세 번째로 자신의 죽음과 부활을 예언하다(10:32-34)·1248
10. 예수님이 섬기는 것과 섬김을 받는 것에 대해 논하다(10:35-45)·1258
11. 예수님이 또 한 명의 시각 장애인을 치유하다(10:46-52)·1279
5부 / 다섯 번째 주요 부분(막 11:1-13:37)
10장. 가르침: 수난 내러티브로 들어가는 현관(11:1-12:44)·1298
1. 서론·1298
2.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입성하다(11:1-11)·1303
3. 예수님이 무화과나무를 저주하고 성전을 정결하게 하다(11:12-25)·1321
4. 예수님이 자신의 권위에 대한 도전을 비껴가다(11:27-33)·1350
5. 포도원 비유(12:1-12)·1360
6. 예수님이 황제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에 관해 질문을 받다(12:13-17)·1385
7. 예수님이 부활에 대한 질문을 받다(12:18-27)·1403
8. 예수님이 율법의 중심에 대한 질문을 받다(12:28-34)·1421
9. 예수님이 서기관들의 메시아 관에 반대하다(12:35-37)·1437
10. 예수님이 서기관들의 압제와 위선을 책망하다(12:38-40)·1448
11. 예수님이 가난한 과부의 자선을 칭찬하다(12:41-44)·1458
11장. 막간: 마지막 때에 대한 예언과 권고(13:1-37)·1470
1. 서론·1470
2. 예수님이 성전 멸망을 예언하고 종말에 관해 질문을 받다(13:1-4)·1477
3. 종말론적인 진통의 시작(13:5-8)·1489
4. 다가올 박해들(13:9-13)·1503
5. 멸망의 가증한 것(13:14-20)·1517
6. 기만이 군림하다(13:21-23)·1534
7. 인자의 귀환(13:24-27)·1544
8. 종말이 임박함(13:28-32)·1555
9. 종말론적인 경성을 요구함(13:33-37)·1571
6부 / 여섯 번째 주요 부분(막 14:1-15:47)
12장. 운명: 수난 내러티브(14:1-15:47)·1580
1. 서론·1580
2. 예수님을 제거하려는 음모와 기름 부음(14:1-11)·1593
3. 유월절 만찬을 준비하다(14:12-16)·1616
4. 예수님이 자신이 배반당할 것을 예언하다(14:17-21)·1626
5. 예수님이 최후의 만찬의 빵과 포도주에 관해 설명하다(14:22-25)·1639
6. 예수님이 열두 제자로부터 유기당할 것을 예언하다(14:26-31)·1658
7. 예수님이 겟세마네에서 번민하며 기도하다(14:32-42)·1669
8. 예수님이 체포되다(14:43-52)·1699
9. 산헤드린이 예수님을 신성모독이라고 선고하다(14:53-65)·1720
10 .베드로가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하다(14:66-72)·1751
11. 빌라도가 예수님에게 사형 선고를 내리다(15:1-15)·1765
12. “유대인들의 왕”을 희롱하고 십자가에 못 박다(15:16-32)·1790
13. 예수님이 운명하다(15:33-41)·1817
14. 예수님이 장사되다(15:42-47)·1848
7부 / 결말(막 16:1-20)
1장. 에필로그: 빈 무덤(16:1-8)·1866
2장. 추기: 마가복음의 결말-이차적인 종결들(16:9-20)·1883
부록
1. 마가복음의 유대인 지도자들·1901
2. 그리스도, 즉 메시아의 의미·1909
3. 변모 내러티브의 종교사적 배경들·1915
4. “다윗의 자손” 칭호·1934
5. 사두개인들·1938
6. 알몸으로 도망친 청년·1943
7. 마가복음에 수록된 산헤드린 심문의 역사적인 문제들·1947
8. 십자가 처형·1954
9. 빈 무덤·1959
10. 마가복음의 편집적인 어휘들·1965
용어 해설·1971
주제 색인·1981
책속에서
그러나 예수님에게 메시아적 승리는 그 무엇보다도 초자연적인 적들에 대한 우주적 승리가 될 것이며(1:24; 3:23-27 참조), 재래적인 전투가 아니라 죽음과 부활을 통해 쟁취될 것이다. 그로 하여금 이와 같은 비범한 사역으로부터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게 만들려는 모든 시도들은 사탄의 시험이며 세상을 새롭게 하려는 하나님의 장엄한 새 창조의 계획들(ta tou theou[타 투 테우])을 인간의 편협하고 창의적이지 못한 음모들(ta t?n anthr?p?n[타 톤 안트로폰])로 대체하려는 시도일 따름이다
“나를 따르게 하라” 아콜루테이토 모이(akoloutheit? moi). “Q”에 수록된 말씀(마 10:37-38//눅 14:26-27)에는 예수님을 따른다는 이미지가 오직 한 번만 사용되었지만 마가에 수록된 말씀에는 이곳과 첫 번째 구절인 “누구든지 나를 따르고자 한다면”에서 두 번 사용된다(도표 24를 보라). 라우펜(Laufen, 305)은 이 어구가 각각 상이한 어감을 지닌다고 제안 한다(8:34-35에 대한 해설을 보라). 데이비스와 앨리슨(Davies and Allison, 2.671)은 여기에 사용된 동사가 3인칭 현재 명령법인 반면, 아파르네사스토(aparn?sasth?[그로 하여금 부인하게 하라])와 아라토(arat?[그로 하여금 지게 하라])는 3인칭 부정 과거 명령법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문맥적으로부터 도출되는 명확한 사실, 즉 “그로 하여금 자신을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게 하고”는 여정의 시작을 지칭하는 반면, “그리고 나를 따르게 하라”는 선택한 길에 지속적이고 확고하게 매진하는 것을 지칭한다는 점이 문법적으로도 확증된다.
레위기 18:16이나 20: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관행은 이미 구약 성경 내에서도 반대에 직면한 것으로 보이지만(Milgrom, Leviticus, 2.1545), 제2성전 시대에는 널리 통용되었던 것 같다(Ilan, Jewish Women, 152-55를 보라). 이러한 관행은 타나임 시대(tannaitic, 용어 해설을 보라)에 이르러서야 또 다른 구약 의식(儀式)인 할리짜(?al???h)로 거의 대체되었는데, 이는 남자가 사망한 자신의 형제의 아내와 결혼할 권리를 포기하고 의례적으로 그녀가 다른 이와 결혼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하는 의식이다(신 25:7-10; 룻 4장을 보라). 남성의 편에서 볼 때 계대 결혼 제도는 환상과 염려를 동시에 불러 일으켰던 것 같다. 예를 들어 y. Yeb. 4:12(6b; Neusner, 4.168)에 수록되어 있는 과장된 느낌의 외경 이야기에서 장로(長老)인 랍비 유다는 열두 명의 사망한 형제가 있는 한 남자에게 그렇게 할 “역량”이 부족하다는 항의에도 불구하고 열두 명의 미망인 모두와 결혼해야 한다고 설득한다(Ilan, Jewish Women, 155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