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교적 교회와 목회행정

선교적 교회와 목회행정

박운암 (지은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0,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교적 교회와 목회행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교적 교회와 목회행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614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7-01-30

책 소개

선교적 교회 시리즈 5권. 선교적 교회론의 필요성과 선교적 교회론을 다룬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목회현장에서 어떻게 선교적 교회를 세워나갈 것인가 하는 방안을 목회행정과 접목시켜서 실천적인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1 ▶ 이성희 목사(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 총회장, 연동교회 담임) 5
추천사 2 ▶ 이종기 목사(기독교대한성결교회 전 교회진흥원 이사장, 남군산교회 담임) 7
추천사 3 ▶ 최동규 박사(서울신학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9
저자 서문 11

제1부 선교적 교회의 필요성 17
제1장 한국교회 진단과 방향 18
1. 접근성 18 / 2. 긴급성 22 / 3. 방향성 24

제2장 선교적 교회의 필요성 31
1. 포스트모던 문화 35 / 2. 패러다임의 변화 39 /
3. 지역교회의 정체성 44

제3장 선교적 교회론의 기초 52
1. 성경적 의미 54 / 2. 신학적 근거 58 / 3. 교회의 특징 62

제4장 선교적 교회론의 발전 75
1. 레슬리 뉴비긴 78 / 2. 크레이그 밴 겔더 84 / 3. 찰스 밴 엥겐 88

제5장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설계 95
1. 교회 본질과 선교공동체 95 / 2. 교회사역과 성령공동체 99 /
3. 교회 조직과 보냄공동체 104

제2부 목회행정 전략 111

제6장 선교적 교회의 목회행정 112
1. 목회행정 이해 112 / 2. 선교적 리더십 116 /
3. 관리 시스템 128 / 4. 경영 적용 131

제7장 선교적 교회의 사역 139
1. 비전의 개발 139 / 2. 평신도훈련 143 / 3. 지역의 접근 149

제8장 사역을 위한 시스템 156
1. 유기체적 조직 158 / 2. 리더들의 지원 160 /
3. 평가하는 행정 164

저자소개

박운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신학대학교신학과와대학원(교회행정학) 졸업 후 세종대학교(행정학석사)와 Louisiana Baptist Univ.(D.Min. 교회성장학)와 서울신학대학교(Th.D. 목회행정학)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부터 농촌과 도시에서 미자립교회와 중.대형교회에서 전담, 단독, 부목, 담임으로 섬겼다. 현재 2006년 교회 설립 후 건축을 통해 선교적 교회를 지향하는 익산바울교회를 섬기고 있다. 서울신대대학원, 세종대대학원, 목회학박사원, 신학박사원에서원우회장을 지냈다. 수년간 강소형교회 훈련학교, 교회개척훈련원, 교회진흥원에서 강의하였다. 이후 교단 목회 코칭 우수코치로 선정되었고 한국코치협회 전문 코치(Kpc)와 크리스천 전문 코치(Kpcc)자격을취득했다. 계속해서한국ft코칭연구원코칭강사와 한국코칭선교회의 부대표로 활동하고 하고 있다. 현재“3단계행정목회코칭” 중심으로 교회상황에맞는세미나와맞춤형코칭실습으로 교회회복과목회자들을살리는사역을감당하고있는 행정목회코칭연구원(AMCR) 대표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선교적 교회는 교회성장과 교회건강이라는 개념 위에 세워졌지만 각각으로부터 배웠던 교훈들을 세상 끝뿐만이 아니라 자신들의 선교현장에서 오직 선교를 중심으로 결합시킨다. 그러므로 선교적 교회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교회가 좋아지는 것을 넘어 지구적인 동시에 지역적으로 선교적 결단을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대안공동체인 선교적 교회의 주요 이미지들은 ‘세상의 소금, 세상의 빛, 산 위에 있는 동네’로서 하나님의 백성공동체이다. 이런 이미지들은 선교는 단지 교회가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바로 교회가 무엇인지라고 제안한다. 이처럼 교회는 존재 자체와 행위의 모습들이 드러날 때만이 하나님의 통치의 특성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선교공동체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교회행정과 교회의 양적 질적인 성장과의 연결성을 찾게 된다. 그러므로 선교적 교회를 세우고자 하는 분명한 목표가 있다면, 그것을 담아낼 수 있는 행정이라는 그릇을 반드시 준비해야만 한다. 목회를 잘 한다고 하는 목사가 도중에 좌절하여 “나는 한 가지 일에서 다른 일로 쫓겨 다니는 것 같아요. 내가 무엇을 하며, 왜 그 일을 하는지조차 모릅니다.”4라고 한 말은 목회행정의 필요성을 실토한 표현이다. 이것은 목회자가 선교적인 교회로 전환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역이 바로 목회행정임을 발견하게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