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614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7-01-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 이성희 목사(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 총회장, 연동교회 담임) 5
추천사 2 ▶ 이종기 목사(기독교대한성결교회 전 교회진흥원 이사장, 남군산교회 담임) 7
추천사 3 ▶ 최동규 박사(서울신학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9
저자 서문 11
제1부 선교적 교회의 필요성 17
제1장 한국교회 진단과 방향 18
1. 접근성 18 / 2. 긴급성 22 / 3. 방향성 24
제2장 선교적 교회의 필요성 31
1. 포스트모던 문화 35 / 2. 패러다임의 변화 39 /
3. 지역교회의 정체성 44
제3장 선교적 교회론의 기초 52
1. 성경적 의미 54 / 2. 신학적 근거 58 / 3. 교회의 특징 62
제4장 선교적 교회론의 발전 75
1. 레슬리 뉴비긴 78 / 2. 크레이그 밴 겔더 84 / 3. 찰스 밴 엥겐 88
제5장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설계 95
1. 교회 본질과 선교공동체 95 / 2. 교회사역과 성령공동체 99 /
3. 교회 조직과 보냄공동체 104
제2부 목회행정 전략 111
제6장 선교적 교회의 목회행정 112
1. 목회행정 이해 112 / 2. 선교적 리더십 116 /
3. 관리 시스템 128 / 4. 경영 적용 131
제7장 선교적 교회의 사역 139
1. 비전의 개발 139 / 2. 평신도훈련 143 / 3. 지역의 접근 149
제8장 사역을 위한 시스템 156
1. 유기체적 조직 158 / 2. 리더들의 지원 160 /
3. 평가하는 행정 164
저자소개
책속에서
선교적 교회는 교회성장과 교회건강이라는 개념 위에 세워졌지만 각각으로부터 배웠던 교훈들을 세상 끝뿐만이 아니라 자신들의 선교현장에서 오직 선교를 중심으로 결합시킨다. 그러므로 선교적 교회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교회가 좋아지는 것을 넘어 지구적인 동시에 지역적으로 선교적 결단을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대안공동체인 선교적 교회의 주요 이미지들은 ‘세상의 소금, 세상의 빛, 산 위에 있는 동네’로서 하나님의 백성공동체이다. 이런 이미지들은 선교는 단지 교회가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바로 교회가 무엇인지라고 제안한다. 이처럼 교회는 존재 자체와 행위의 모습들이 드러날 때만이 하나님의 통치의 특성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선교공동체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교회행정과 교회의 양적 질적인 성장과의 연결성을 찾게 된다. 그러므로 선교적 교회를 세우고자 하는 분명한 목표가 있다면, 그것을 담아낼 수 있는 행정이라는 그릇을 반드시 준비해야만 한다. 목회를 잘 한다고 하는 목사가 도중에 좌절하여 “나는 한 가지 일에서 다른 일로 쫓겨 다니는 것 같아요. 내가 무엇을 하며, 왜 그 일을 하는지조차 모릅니다.”4라고 한 말은 목회행정의 필요성을 실토한 표현이다. 이것은 목회자가 선교적인 교회로 전환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역이 바로 목회행정임을 발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