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리스도의 칭의론

그리스도의 칭의론

K. 스코트 올리핀트 (지은이), 조영천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710원
15,3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그리스도의 칭의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리스도의 칭의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6165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7-03-03

책 소개

웨스트민스터신학교의 교수진들이 칭의 교리를 성경과 교회사와 변증학과 목회현장의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연구하여, 독자들에게 이 주제에 대한 분명한 관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칭의 교리에 대한 정통적 이해를 갖기 원하는 독자들에게 본서를 추천한다.

목차

추천사 1_ 강웅산 박사(총신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 5
추천사 2_ 김재성 박사(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 7
추천사 3_ 피터 A. 릴백 박사(웨스트민스터신학교 역사신학 교수) … 9
추천사 4_ 레인 G. 팁튼 박사(웨스트민스터신학교 조직신학 교수) … 10
역자 서문 … 11
기고자들 … 16

서론: 칭의의 위기_ 싱클레어 B. 퍼거슨 박사 … 22

제1부 성경에서의 칭의론

제1장 칭의와 종말론_ 리차드 B. 개핀 박사 … 51
제2장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칭의_ 레인 G. 팁튼 박사 … 88


제2부 교회사에서의 칭의론

제3장 칼빈과 법정적 칭의 교리: 칭의와 갱신의 관계에 대한 칼빈과 초창기 루터파의 견해 비교_ 피터 A. 릴백 박사 … 132
제4장 존 오웬의 칭의 교리_ 칼 R. 트루먼 박사 … 184
제5장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과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의 신학: 역사적 검토_ 제프리 K. 쥬 박사 … 211


제3부 칭의론과 변증적 함의들

제6장 칭의와 폭력: 속죄 및 현대 변증학에 대한 고찰 윌리엄 에드가 박사 … 264
제7장 언약적 믿음_ K. 스코트 올리핀트 박사 … 302


제4부 목회적 관점에서의 칭의론

제8장 칭의 교리의 목회적 의미_ J. 스태포드 카슨 박사 … 337


제5부 칭의론에 관하여 선별된 참고문헌

제9장 참고문헌_ 알렉산더 핀레이슨 박사 … 367


주제 색인 … 381

저자소개

K. 스코트 올리핀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종교학 석사(M.A.R.), 신학 석사(Th.M.)와 박사(Ph.D.) 학위를 받고, 변증학과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Reasons for Faith, The Battle Belongs to the Lord를 저술하고, 『그리스도의 칭의론』(Justified in Christ, CLC, 2017)과 Revelation and Reason: New Essays in Reformed Apologetics를 편집했다.
펼치기
조영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교육과(B.A.) 개신대학원대학교(M.Div.) 미국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M.A.)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Ph.D.) 필라델피아 기쁨의교회 부목사 소래신학연구소 소장 저서 Anthony Tuckney: Theologian of the Westminster Assembly(Reformation Heritage Books) 역서 유럽의 종교개혁 (CLC), 종교개혁 신학자들 (CLC), 기독교신론 (CLC)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는 가운데, 복음주의는 자기 자신에 대하여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전락해 버렸다. 그 기본적인 구조 안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어떤 요소가 지나칠 정도로 과장되어 균형을 잃어버린 것이다. 부드럽게 표현해 보자면, ‘그리스도께서 어떻게 구원을 이루셨는가’보다는 ‘그 구원이 어떻게 해서 나의 것이 되는가’ 하는 문제가 더 중요해졌다. 보다 전문적인 신학 용어를 사용하자면, ‘구원이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가?’라는 구원의 서정(ordo salutis, “오르도 살루티스”)이 ‘하나님께서 구원을 완성하기 위해 역사 가운데 어떠한 일을 행하셨는가?’라는 구원의 역사(historia salutis, “히스토리아 살루티스”)를 가리워 버렸다. 결국 그리스도의 죽음이 가진 의미를 아는 것보다는 나의 삶이라는 주제가 더 우선시 된 것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입장은 바울신학과 조화되는가?
나는 하나의 가정적 논의를 통해, 즉 바울신학 특히 그의 구원론의 기본 구조를 설명함으로써 이 질문에 답변하겠다. 부정문으로 표현하자면, 바울에게 있어서 칭의는 다음과 같이 진술될 수 있다.
첫째, 존귀히 높여지신 그리스도와 믿음으로 연합하는 것 바깥에서(outside of) 칭의는 일어나지 않는다. 즉 칭의는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함께 주어지는 유익이 아닐 수 없다.
둘째,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설명해 주는 “이미-아직 아니”(already-not yet)라는 구조 바깥에서는 칭의가 일어나지 않는다.
셋째, 위의 구조와 상응하는 고린도후서 4:16의 “속사람-겉사람”(inner-outer) 인간론의 관점 바깥에서 칭의는 일어나지 않는다.


칭의에 있어 신자에게 주어지는 의의 전가와 그리스도와의 연합 사이의 올바른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 글의 핵심 논지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첫째,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구원론의 체계적인 구조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성령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실현된 모든 구속적 유익들을 신자들에게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게, 동시적이면서 종말론적으로 적용시키신다.
둘째,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는 칭의의 사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측면으로 이해할 때 가장 정확하다.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는, ‘믿음으로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써 의롭다 함을 받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보여주는 구별되나 분리되지 않는 측면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