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677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7-07-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김희석 박사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 교수)·5
추천사 2(성기문 박사 / 인천총회신학원 구약학 교수)·7
시리즈 서문·9
저자 서문·11
역자 서문·15
약어표·17
◆ 서론
1. 책 이름·28
2. 역대기서는 어떤 종류의 책인가?·30
3. 해석자로서의 역대기서 저자·40
4. 역대기서 저자의 메시지·66
5. 역대기서의 기원·93
◆ 본문 주석
I. 이스라엘의 지파(대상 1:1-9:44)
1. 아담에서 에서까지(1:1-54)·119
2. 이스라엘의 지파(2:1-9:1)·126
3. 예루살렘의 재정착(9:2-34)·169
4. 사울 혈통의 족보(9:35-44)·182
II. 다윗과 솔로몬 왕국(대상 10:1-대하 9:31)
1. 왕국을 다윗에게 이양(10:1-12:40)·183
2. 다윗이 언약궤를 예루살렘에 가져오다(13:1-16:43)·209
3. 다윗과 맺은 하나님의 언약(17:1-27)·247
4. 다윗 제국(18:1-20:8)·261
5. 다윗의 성전을 위한 준비(21:1-29:30)·285
책속에서
역대기서 저자는 이스라엘의 왕조 역사 대신에 남 왕국 그리고 다윗, 솔로몬이나 히스기야와 같은 개별적인 왕들에게 집중한다. 그럼에도 그는 열왕기서 저자보다 북 왕국에 대해 더 호의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 같아 보인다. 또한 성전, 기도, 예배, 레위 사람들과 같은 특별한 문제에 초점을 둔다는 것은 그의 실제적인 관심이 순수한 역사적 영역 밖에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이처럼 다양한 연설, 예언, 기도가 역대기서의 주요 주제 가운데 본질적인 요소들을 요약하고 설명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른 구조적 특징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이것들은 다윗의 언약과 성전이 하나님의 목적과 이스라엘의 국가 생활에서 우선순위를 차지함을 강조하면서 다윗의 언약과 성전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이 크게 축소된 가운데 살고 있고, 성전은 무시되며, 자신들의 왕이 없을지라도, 저자는 하나님이 다윗에게 한 언약의 약속이 어떻게 새로운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 첫 번째 “말씀”의 이전 버전에 여러 가지 작지만 중요한 수정을 가함으로써 하나님은 자신의 언약적 약속과 다윗의 계승자이자 성전 건축자인 솔로몬에게 영원히 헌신된 분으로 나타난다(대상 17:1-15; 참조. 삼하 7: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