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17865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8-03-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박정식 박사(광신대학교 부총장, 신약학 교수)
추천사 2 송영목 박사(고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저자 서문
제1장 서론
1. 한 곳에 모아 놓은 9가지 기적 이야기
2. 9가지 기적 이야기의 순서
3. 이중 사용(doublets)
제2장 연구의 흐름
1. 들어가며
2. 주제적 접근 방식 (Thematic Approaches)
3. 서사적 접근 방식 (Narrative Approaches)
4. 문학적 기법을 이용한 접근 방식
(New Approaches through Literary Techniques)
5. 연구의 흐름 결론
제3장 방법론: 삼단강조법
1. 들어가며
<참고 1> 헬레니즘 세계에서 ‘세 가지(Threeness)’의 의미
2. 마태복음에 나타난 삼단강조법
3. 호머의 『오딧세이』와 『일리어드』에 나타난 삼단강조법
4. 헬레니즘 유대 문학에 나타난 삼단강조법
5. 새로운 분석 방법인 삼단강조법
6. 마태복음 8-9장에 나타난 삼단강조법
제4장 시작 사이클(마 8:2-17)에 나타난 삼단강조법
1. 중심 주제: 자비로운 치유의 메시야
2. 시작 이야기: 문둥병자의 치유(8:2-4)
<참고 2> 율법보다 위인 자비
3. 중간 이야기: 백부장의 하인 치유(8:5-13)
<참고 3> 마태복음에 나타난 ‘이방인에 대한 예수님의 자비’
4. 끝 이야기: 베드로 장모의 치유(8:14-17)
5. 제1 사이클 기적 이야기 결론
제5장 중간 사이클(마 8:23-9:8)에 나타난 삼단강조법
1. 들어가며
2. 사이클 사이 완충 구조(8:18-22)
3. 중간 사이클(8:23-9:8)의 중심 주제
4. 시작 이야기: 폭풍을 잠잠케 함(8:23-27)
5. 증간 이야기: 귀신 들린 두 사람을 고침(8:28-34)
6. 끝 이야기: 중풍병자를 고침(9:1-8)
7. 중간 사이클 결론
제6장 끝 사이클(마 9:18-34)에 나타난 삼단강조법
1. 들어가며
2. 두 번째 완충 지대(마 9:9-17)
3. 끝 사이클(9:18-34)의 중심 주제
4. 시작 이야기: 관원의 죽은 딸을 살림(9:18-26)
5. 중간 이야기: 맹인의 눈을 뜨게 함(9:27-31)
6. 끝 이야기: 말 못하는 사람을 고침(9:32-34)
7. 끝 사이클의 결론
제7장 기적의 장(마태복음 8-9장) 결론
1. 요약
2. 마태복음 5-10장의 삼단강조법 구조
3. 삼단강조법은 어떤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였나?
4. 삼단강조법의 응용
5.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마태복음 8-9장은 마태복음 5-7장과 연관시켜 해석하는 것이 주요 흐름이다. 물론 마태복음 8-9장에도 사도권과 관련된 부분(8:18-22; 9:9-17)이 있기는 하지만 매우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대부분의 이야기들은 예수님의 치유나 권능과 연관되어 있다. 이것이 바로 롤랜드가 마태복음 5-7장의 강화와 마태복음 8-9장의 서사를 “가까이 온 하나님의 나라”라는 제목으로 강화-서사 반복 구조의 첫 번째 책으로 묶은 이유이다. 또 다른 이유는 마태복음 5-7장 강화에서 제자와 무리들 사이에 구별이 없으며 이는 마태복음 8-9장 서사에서도 지속된다.
마태복음의 이야기 흐름이 마가복음에 의존한다고 보는 헤어는 마태복음 구조에서 “베드로의 고백과 이에 따른 고난 선언이 마가복음에서처럼 가장 중요한 전환점을 이룬다”고 주장한다.67 그의 분석은 “이때부터’라는 표현에 근거를 둔 킹스베리와의 분석과는 그 근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베드로 고백이라는 사건에 초점을 맞춤으로 해서 예수의 소개→ 사역→ 죽음이라는 더 드라마틱한 구조를 발견하였다. 이 구조는 예수의 죽음이라는 절정을 향하여 세 가지 구조가 점층적으로 배열되어 삼단강조법의 효과를 극대화한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이 하부 구조도 어떻게 요세푸스가 성경 이야기를 논리적 발전 단계에 따라 배열하는 삼단강조법을 사용하였는지 보여 준다.
‘제2부 가나안에서 믿음의 조상들의 삶’ 부분은 아브라함→ 야곱→ 요셉의 삶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이야기의 발전을 보여 주는 삼단강조법이 사용되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삭을 뺀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나 제1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요세푸스의 삼단강조법을 통한 이야기 전개는 각 믿음의 조상 하부 구조에서도 발견된다.
A. 아브라함(1:257-346).
1. 열국의 아버지.
a. 기근으로 애굽에 간 아브람(1:161-68).
b. 아브라함과 롯(1:169-185).
c. 이스마엘의 탄생(1:186-193).
d. 소돔(1:194-206).
e. 아비멜렉(1:207-212).
2. 약속의 아들.
a. 이삭의 탄생(1:213-221).
b. 이삭의 희생(1:222-236).
c. 결말(1:237-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