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0612
· 쪽수 : 768쪽
· 출판일 : 2020-01-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조석민 박사(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
송영목 박사(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수)
저자 서문
제1장 산상강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서론
2. ‘산상강화’라는 명칭에 대하여
3. 역사에 나타난 산상강화의 영향
4. 산상강화 해석에 나타난 문제점들
5. 산상강화의 성격
6. 결론
제2장 방법론: 삼단강조법
1. 삼단강조법이란?
2. 성경에 나타난 삼단강조법
3. 방법론 결론
제3장 산상강화의 구조
1. 서론
2. 기존의 산상강화 구조 연구
3. 산상강화의 전후 문맥
4. 산상강화의 새로운 구조
5. 산상강화 구조 결론
제4장 시작 사이클(5:3-20): 천국 제자의 부르심
1. 서론
2. 배경(5:1-2)
3. 시작 이야기(5:3-12): 참 행복자인 천국 제자(구복)
4. 중간 이야기(5:13-16): 천국 제자의 역할(소금과 빛)
5. 끝 이야기(5:17-20): 천국 제자의 목적(‘더 나은 의’)
6. 시작 사이클(5:3-20) 결론
제5장 중간 사이클(5:21-7:12): 천국 제자가 갖추어야 할 ‘더 나은 의’
1. 서론
2. 시작 이야기(5:21-48): 율법 앞에 선 천국 제자
3. 중간 이야기(6:1-18): 하나님 앞에 선 천국 제자
4. 끝 이야기(마 6:19-7:12): 자신 앞에 선 천국 제자
5. 중간 사이클(5:21-7:12) 결론
제6장 끝 사이클(7:13-27): 천국 제자를 향한 경고
1. 서론
2. 시작 경고(7:13-14):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3. 중간 경고(마 7:15-20): 거짓 선지자의 구별
4. 끝 경고(7:21-23): 불법에 대한 경고
5. 결론(7:24-27): 마지막 첨언(두 건축자의 비유)
6. 산상강화 마무리(마 7:28-29): 무리의 반응
7. 끝 사이클(7:13-27) 결론
제7장 산상강화 결론
1. 산상강화(5:3-7:27) 분석
2. 삼단강조법의 역할
3. 누가 천국 제자인가?
4. 산상강화의 성격: 어떻게 읽을 것인가?
5.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산상강화(마 5-7장)는 ‘3’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산상강화는 삼단강조법에 따라 정교하게 삼 단계의 점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예수님의 가르침이다. 이 구조를 깨닫게 되면 그동안 난제로 여겨졌던 산상강화의 많은 비밀들이 술술 풀리게 된다.
산상강화의 구조에 대한 이해에 따라 어떤 학자들은 팔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어떤 학자들은 주기도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어떤 학자들은 예수님과 율법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나머지는 부수적인 것으로 이해하기도 하며, 또 어떤 학자들은 어떤 특정한 구조 없이 윤리적인 가르침을 임의적으로 모아놓은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이처럼 산상강화의 주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것은 결국 산상강화의 구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달려있으며, 아직 설득력 있는 구조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 책은 저자가 이미 다른 저서에서 제시했던 방법론인 ‘삼단강조법’을 이용하여 산상강화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태복음 5:3-12에서 ‘팔복’대신 ‘구복’을 주장하는 것은 최근의 새로운 흐름이라 할 수 있다. 이미 앞부분에서 살펴보았지만, 무조건 ‘팔복’만을 고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팔복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왜 마태가 ‘팔복’을 사용했는지 문맥을 통하여 설득력 있는 설명이 뒷받침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