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0827
· 쪽수 : 556쪽
· 출판일 : 2020-02-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여인석 박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교수, 대한의사학회 회장)
김옥주 박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교수)
서문 11
제1장 아스클레피오스 성소(Asclepieion)의 몽중 환상(incubation) 23
1. 의학의 신(神) 아스클레피오스(Asclepios) 24
2. 아스클레피오스 성소(Asclepieion)의 기능과 역할 32
3. 아스클레피에이온의 ‘꿈 신탁’혹은 ‘몽중 환상’(incubation) 40
4. 아엘리우스 아리스티데스(Aelius Aristides)의 아스클레피오스 숭배 43
5. 기독교 시대 순교 기념당의 신유(神癒)와 몽중 환상(incubatio) 50
제2장 로마제국의 군인병원(valetudinaria) 55
1. 군인병원(valetudinaria) 56
2. 빈도닛사(Vindonissa)의 로마군단병원 57
3. 인추틸(Inchtuthil)의 로마군단병원과 그 외의 군단병원 59
4. 천인 보병대(千人步兵隊, cohors)의 군병원 61
5. 로마 군사 의학 65
6. 로마제국에 민간병원이 존재했는가 69
제3장 기독교적 병원의 정신사적 탄생 배경 72
1. 구약성경에 나타난 자선 72
2. 70인역(LXX)에 나타난 ‘구속적 자선’79
3. 그리스?로마의 기부 전통 83
4. 폴 벤이 설명한 그리스적 자선(euergesia) 85
5. 폴 벤이 설명한 로마적 선행(benecium) 92
6. 1-3세기 기독교인들의 다양한 자선 활동 102
제4장 수도주의 영성과 자본의 이동 115
1. 병원의 탄생과 수도자들의 역할 115
2. 재물의 악마화: 안토니오스적 영성의 재물관(觀) 120
3. 가난한 선행가(善行家, euergetes) 124
4. 성육신의 역설: ‘거지가 된 만유의 왕’134
5. 병원의 경제적 토대와 국가의 입법 방향 141
6. 보화를 하늘나라에 쌓고(마 19:21): 기독교 신앙과 경제의 관계 146
7.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마 6:24):
돈의 흐름을 바꾸는 영성 157
제5장 “내가 병들었을 때에 너희가 돌보았고”(마 25:36)
: 4-5세기 구빈병원과 호스텔병원의 탄생 163
1. 4세기 중반 호스텔병원(xenodocheion)의 탄생 163
2. 372년 카이사레아에 세워진 구빈 병원(ptwcotrofeio/n) 169
3.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중반까지의 기타 기독교적 병원들 182
4. 5세기 기독교적 병원의 분화 203
5. 법률에 모습을 드러낸 기독교병원 207
제6장 중세 비잔틴병원의 발전과 쇠퇴 213
1. 6세기 기독교병원의 분화 213
2. 파피루스 자료에 나타난 병원 223
3. 기독교 기관들이 소유한 부동산에 대한 로마 정부의 정책 226
4. 콘스탄티노플의 삼손병원(xenw,n) 235
5. 6세기의 기타 비잔틴병원 244
6. 7-11세기의 비잔틴병원 248
7. 판토크라토르병원(Pantocrator xenon) 249
8. 13-15세기 중세 말기의 비잔틴병원 263
제7장 중세 프랑스병원의 탄생과 발전 266
1. 메로빙거 왕조 시대의 기독교적 병원 266
2. 카롤링거 왕조 시대의 기독교 보호 시설 273
3. 성(聖) 갈렌(Gallen)수도원 복합 건물과 병원 284
4. 클리니(Cluny)수도원 복합 건물과 병원 290
5. 12세기 프랑스병원(H?tel-Dieu)의 부흥 294
6. 나병원(leprosarium)의 설립 304
7. 『아미앙 나병원 헌장』 (1305년 7월 21일) 307
8. 의료화를 향한 첫걸음 316
제8장 중세 순례자들의 병원: 예루살렘의 성 요한병원 320
1. 예루살렘 성 요한병원의 기원 321
2. 『예루살렘 성 요한병원 헌장』(1125-1153) 324
3. 두 번째 『예루살렘 성 요한병원 헌장』 (1182년 3월 14일) 339
4. 1182년을 전후한 때의 예루살렘 성 요한병원 346
5. 예루살렘 성 요한병원이 이룬 혁신 360
6. ‘예루살렘 성 요한병원수도회’의 탄생 366
7. 예루살렘 함락 이후의 ‘성 요한병원수도회’368
제9장 중세 영국병원의 시작과 발전 371
1. 성 갈렌수도원의 평면도에 대한 논쟁 371
2. 중세 영국병원의 양상 373
3. 의사 없는 중세 영국병원 382
4. 중세 영국병원의 쇠퇴 388
제10장 종교개혁과 병원의 개혁 400
1. 종교개혁이 야기한 변화의 물결 400
2. 시의회와 기독교 인문주의자들의 선구적 역할 409
3. 부겐하겐의 보건 증진 정책(Health Care Provision) 412
4. 16세기 덴마크 개신교의 극빈자 정책 및 병원 정책 420
5. 16-17세기 스웨덴과 핀란드의 빈자 보호 정책 425
6. 16-18세기 개신교 한자동맹 도시(Hanseatic towns)의 빈민 보호 정책의 발전 435
7. 16-18세기 개신교 한자동맹 도시(Hanseatic towns)의 병원 정책 445
결론 451
미주 464
약어표 및 참고 도서 516
색인 542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런 맥락에서 4세기 기독교 시대의 시대정신이 가진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눠주고 네 보화를 하늘나라에 쌓고 그리스도를 따르라(마 19:21)로 요약되는 복음적 가난을 제자도의 관문으로 삼았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 만유의 왕인 그리스도가 스스로 가난한 자가 됐다면, 그리스도의 가난을 따르는 것이야말로 제자의 길이다.
기독교적 병원은 이런 영성의 토양에서 싹이 돋고 양분을 얻으면서 성장했다. 그러기에 병원사(史)는 영성사(史)의 주요한 증인이며, 치유 받은 내면이 밖으로 모습을 드러낸 확고한 외연이다.
4-5세기 기독교가 형상화했던 각종 보호 시설들과 칙법들은 가난하고 병들고 버림받은 약자에 대한 배려와 돌봄이 없이는 종교적인 거룩함도 있을 수 없음을 옹호한다. 초기 기독교의 발명품인 병원이 이뤄 낸 혁신은 의료적 치료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대규모로 이뤄진 지속적인 빈민 구제 사업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