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88934121695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0-08-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황 재 범 박사 | 계명대학교 기독교학과 조직신학 교수 1
저자 서문 8
제1장 교회란 무엇인가 12
1. 교회론 12
2. 교회의 유형 20
3. 「신경」에서 규정된 교회의 속성 24
4. 사도와 사도 교부들의 교회론 28
제2장 초대교회의 탄생 37
1. 유대교와 결별한 새로운 신앙 공동체 37
2. 가정교회로 출발한 초대교회 43
3. 초대교회의 확장 47
4. 초대교회의 확장과 그 성장 원인 63
제3장 초대교회의 에배 의식 98
1. 회당 예배에서 기독교 예배로 98
2. 예배의 요소 110
3. 예배 음악 111
4. 예배 의식을 기록한 문헌 114
제4장 초대교회의 케리그마 116
1. 신약성경에 나타난 케리그마 116
2. 예수님의 케리그마 119
3. 사도들의 케리그마 121
4. 초대교회 케리그마 설교의 본질 130
제5장 초대교회의 성찬식과 세례식 132
1.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 132
2. 성찬식의 변천과 그 의미 137
3. 세례식의 의미 142
4. 초대교회 세례의 수용 150
제6장 초대교회의 교회 직제 153
1. 유대인 기독교회의 직제 153
2. 초대교회의 은사와 직제 159
3. 감독직의 형성과 발전 179
4. 초대교회의 성직자와 평신도 184
제7장 초대교회가 받은 박해와 그 대응 195
1. 초대교회의 박해 195
2. 박해에 대한 이론적 대응: 변증 활동 203
3. 박해에 대한 적극적 대응: 순교 206
4. 초대 기독교의 순교자들 210
제8장 초대교회의 유산 217
1. 문헌적 유산 217
2. 미술 작품과 건축 226
3. 인적 유산 232
4. 초대교회의 정신적 유산 235
참고 문헌 248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회는 하나님(성부)의 백성이요, 그리스도(성자)의 몸이며, 성령의 전(殿)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교회는 하나님과의 교제를 가능하게 하는 성령에 의해, 주님의 신부로서 그리스도와 한 몸으로 연합되어, 하나님의 백성이 되도록 부름을 받은 삼위일체론적 실제로 이해된다.
초대교회 시대부터 교회는 “하나의(통일성), 거룩하고(거룩성), 보편적이며(보편성), 사도적인(사도성)” 것이라고 고백했고, 이를 잘 전달하여 지켜왔다. 이들 네 가지 교회의 속성은 매우 성경적으로 잘 요약한 것으로, 간략하지만 적절한 표현이며, 교회의 성격을 규정짓는 성경적 교리를 알려준다.
초대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대사도로 그리고 대제사장으로 믿고 따랐다. 모든 신자는 다 제사장이었다(계1:6). 사도들을 특별히 존경하였는데, 그 이유는 능력의 말씀을 전하기 때문이었다. 그 말씀으로 성령의 은사(카리스마)를 받고 또 증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