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2807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1-05-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 병 모 박사 | 호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1
데일 C. 앨리슨 Jr. 박사 | Princeton eological Seminary, USA 2
케이시 D. 일레지 박사 | Gustavus Adolphus College, USA 2
조엘 B. 그린 박사 | Fuller eological Seminary, USA 3
A. K. M. 아담 박사 | University of Oxford, UK 3
저자 서문 11
역자 서문 13
서론 17
제1장 제2성전 시대의 유대교에 나타난 부활 소망 22
1. 유대인 성경에 나타난 부활 개념 26
2. 초기 유대교 문헌에 나타난 부활 개념 39
3. 요약과 결론 82
제2장 예수 부활에 대한 비내러티브 전승(Non-Narrative Traditions) 87
1. 공식구적 진술들(Formulaic Statements) 90
2. 부활에 대한 바울의 이해 103
3. 요약과 결론 130
제3장 빈 무덤 발견에 관한 내러티브 132
1. 마가복음 134
2. 마태복음 140
3. 누가복음 145
4. 요한복음 151
5. 빈 무덤 전승의 발전 159
6. 요약과 결론 168
제4장 부활하신 예수의 현현에 대한 내러티브 171
1. 마태복음 173
2. 누가복음 176
3. 요한복음 183
4. 예수의 현현 전승의 발전 195
5. 요약과 결론 201
제5장 예수의 부활과 역사 208
1. 역사적 탐구의 본질 211
2. 빈 무덤의 역사성 218
3. 예수의 현현의 객관성 233
4. 부활 신앙의 출현 248
5. 예수 부활의 역사성 255
6. 요약과 결론 258
제6장 예수의 부활과 신학 261
1. 예수의 부활과 기독교의 소망 263
2. 예수의 부활과 그의 메시아적 정체 268
3. 예수의 부활과 하나님의 성품(character) 286
4. 예수의 부활과 그리스도인의 삶 294
5. 요약과 결론 297
참고 문헌 302
책속에서
육체적 부활이 ‘무로부터의 창조’에 비유된다는 사상은 또한, 부 활한 순교자의 개인적 정체성이 그들의 죽은 몸과 부활한 몸 사이의 일종의 연속성을 통해 보존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에 의해서 만 보존된다는 점을 암시한다.
이런 점에서 마카비2서의 부활 개념은 비록 역설적이긴 하지만 두 개의 독특한 특징을 포함한다. 한편으로는 관련 본문들이 부활한 몸 의 육체적 특성을 강조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동일한 본문들이 하나 님께서 토라에 순종하기 위해 끝까지 인내한 신실한 유대인의 몸을 회복하시기 위해 지상의 몸이 필요하지 않으신다는 점을 지적한다. 오히려 새로운 몸은 무로부터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최초 창조 패턴에 따라 무로부터(ex nihilo) 재창조될 것이다.
비록 성공적이진 않지만, 실제 부활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려고 하 는 유일한 문서는 A.D. 2세기에 나온 신약 위경 베드로복음서(Gospel of Peter)이다. 여기서는 무덤을 지키던 경비병이 두 사람이 하늘에서 내려와 무덤으로 들어간 뒤 잠시 후 세 번째 남자와 함께 밖으로 나 오는 것을 보았다고 기술한다(베드로복음서 34-49장). 하지만 이 이야 기조차도 무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어둠 속에 남겨둔다.
요한의 내러티브의 핵심 단락은 빈 무덤에 대한 남자들의 경험에 할애된다. 이 주제를 언급하는 다른 복음서는 누가복음뿐인데, 거기서는 베드로가 여인들의 증언을 확인하기 위해 어떻게 무덤에 들어갔는지 간략하게 묘사되며(눅 24:12),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의 회상 중 몇몇 남자 제자가 무덤을 방문했다는 언급이 간략하게 서술된다(눅 2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