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4689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2-08-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추천서 1 이 국 진 박사|전주 예수비전교회 담임목사 1
추천서 2 이 철 희 박사|참된교회 담임목사 3
추천서 3 송 태 근 박사|삼일교회 담임목사 4
저자 서문 12
서론 시가서 연구의 현주소 16
제1장|연구 동향 18
제2장|동향 평가 27
제3장|남은 문제 33
제1부 시가서의 주제 찾기 40
제1장|형식상의 특징 42
제2장|고난과 성공의 본질 49
제3장|시험의 내용 58
제4장|시험에 빠진 증거 65
제2부 시험으로 접근하는 시가서 72
제1장|관점의 적절성 74
제2장|시험을 만나는 세 사람 81
제3장|세 사람의 반응 88
제3부 인물평과 인물 비교 98
제1장|서론적 인물평 100
제2장|추가적 인물평 111
제3장|인물 비교 1: 욥과 다윗 120
제4장|인물 비교 2: 욥과 솔로몬 129
제4부 새 관점의 유익 137
제1장|통일된 관점으로 접근함 139
제2장|각 책의 연관성을 보임 145
제3장|각 책의 교훈을 드러냄 153
제4장|구속역사에서의 역할을 알림 165
제5부 새 관점으로 읽는 시가서 173
제1장|시편 175
제2장|잠언 188
제3장|전도서 196
제4장|아가 206
제6부 새 관점으로 드러나는 신학적 교훈 214
제1장|같은 시험-다른 결과 216
제2장|다른 시험-같은 결과 226
제3장|여호와를 경외함 237
제4장|말 말 말-말의 향연 245
결론 성경을 활용해 시험을 이기자 251
제1장|구약과 시험 253
제2장|시험과 신약 260
저자소개
책속에서
시편에는 욥처럼 다윗이 고난을 겪는 기사나 내용이 직접으로 언급되지는 않는다. 그런데도 다윗도 욥처럼 고난으로 인해서 그의 언어에 움직임과 변화가 생겨났다는 것은 확실하다.
다윗이 겪는 고난은 표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특히, 탄식시로 분류되는 시들, 예를 들면, 시편 3편, 18편, 34편, 52편, 54편, 56편, 57편, 60편 등은 다윗이 탄식하는 간접적인 배경을 알려 준다.
솔로몬의 경우는 독특하다. 그가 재난을 당하거나 고난으로 인해서 그의 말에 움직임이 생겼다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 솔로몬은 대체로 큰 어려움 없이 평탄한 인생을 산 사람이다. 그가 쓴 글에도 고난을 겪은 사실은 직접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
만일 시편 전체를 다윗을 중심인물로 구성한 시집으로 간주한다면, 시편 전체에 드러나는 ‘다윗’의 모습은 그를 좋은 놈으로 평가하기에 충분하다.
시편에서 다윗이 당하는 고난은 대체로 전제되어 있다. 이 고난을 대하는 다윗의 태도는 욥의 태도와는 사뭇 대조된다. 욥은 고난 앞에서 탄식하고 원망하는 모습을 통해서 결국은 시험에 들어 넘어지고 만다. 하지만 다윗은 시종일관 경건한 자세로 이 시험을 이겨 낸다.
다윗은 고난을 하나님께 기도하며 대한다. 다윗도 욥처럼 고난 앞에서 “어찌하여”라는 말로 탄식하며 반응한다. 하지만 다윗의 탄식은 욥의 탄식과는 질적 차이가 있다. 욥의 탄식은 자신이 처한 형편에 대한 신세 한탄에 불과하다. 반면에 다윗의 탄식은 하나님의 뜻이 무너짐에 대한 안타까움과 하나님과 주의 종에 대한 대적이 너무 많은 현실에 대한 탄식이다.
서론적 인물평에서 욥은 ‘나쁜 놈’으로 간주되었다. 이것은 시험당한 욥이 자기의 생일을 저주하고, 친구들과의 대화에서 보여 준 그의 불경한 태도 때문이다. 자기가 의롭다는 것에 대한 지나친 집착이 폐쇄적 자세로 이어져 새 일을 행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거부함으로 욥은 불평과 원망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욥은 부정적 이미지로 평가하기에 충분했다.
욥기에는 욥의 이런 모습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욥기의 서론에는 본론에 나타나는 부정적 묘사와는 다른 모습이 나타난다. 욥기는 시작하는 첫 다섯 절에서 욥과 그의 경건한 가정에 대해 묘사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욥은 ‘좋은 놈’으로 그려진다.
욥 개인에 대한 묘사는 거의 완벽에 가깝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