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832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07-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추천사1 홍승민 박사 |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겸임교수, 브니엘교회 담임목사 1
추천사2 이승진 박사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설교학 교수 4
추천사3 이국진 박사 | 전주 예수비전교회 담임목사 10
헌사 16
헌정사 17
저자 서문 26
서론 공동서신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29
제1부 공동서신 연구의 현주소 41
제1장 연구 동향 43
제2장 동향 평가 52
제1 원리 공동서신의 문맥 안에서 읽기 60
제2부 통합하는 요소 찾기(1) 61
제1장 수신자들이 처한 상황 63
제2장 각 교회의 반응 77
제3장 공동서신의 주제 88
제3부 통합하는 요소 찾기(2) 96
제1장 저자들의 대응 97
제2장 설교를 위한 재료 108
제3장 공동서신의 양식 117
제4부 통합해서 읽는 공동서신 129
제1장 히브리서 130
제2장 야고보서 139
제3장 베드로전서 153
제4장 요한일서 160
제5부 공동서신 각 책의 교훈 168
제1장 히브리서 169
제2장 야고보서 176
제3장 베드로전서 187
제4장 요한일서 193
제2 원리 구약의 문맥을 배경으로 읽기 201
제6부 시가서와 비교하기 202
제1장 차이점 204
제2장 주제적 공통점 214
제3장 구조적 공통점 220
제3 원리 신약의 문맥을 고려해서 읽기 226
제7부 공동서신의 신학적 메시지 228
제1장 신자와 시험 229
제2장 신자와 말씀 239
결론 253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은혜중의 하나는 성경 말씀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기질을 주신 것이다. 이것을 은혜라고 간주하는 것은 이 기질이 내가 성경을 적절한 원칙을 가지고 읽는 습관을 길러 주었기 때문이다. 성경은 인간의 이성을 초월하는 계시의 말씀이다. 이 말씀을 인간이 자신의 작은 머리로 온전히 다 이해할 수는 없다. 그런데도 나는 성경을 읽고 그것이 특정한 의미로 해석될 때 왜 그런지 최소한의 근거를 알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습성은 모태 신앙의 가정에 태어나 어릴 때부터 호기심을 갖고 성경을 읽은 탓도 있지만, 직ㅇ간접으로 나를 지도해 주신 영적 스승들의 가르침에 더욱 기인한다. 이들의 가르침 중의 하나로 마음에 간직한 문장 하나를 아래에 소개하고자 한다.
신약의 공동서신은 바울서신과 요한계시록 사이에 자리한 여덟 권의 편지 형식으로 기록된 한 단락의 책을 일컫는 말이다. 여기에는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그리고 유다서가 포함된다. 공동서신은 신약성경에서 같은 문학 장르인 서신으로 분류되지만, 그 앞에 있는 바울서신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나아가 공동서신은 같은 저자인 사도 요한이 보낸 서신임에도 그 뒤에 이어지는 요한계시록과도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공동서신을 올바르게 읽는 우선적인 원칙은 공동서신 그 자체의 문맥을 고려해서 읽는 것이다. 이것은 공동서신이 한 단락의 책으로서 그 안에 통합하는 주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전제한다. 여기서는 공동서신 전체를 아우르는 공통분모를 찾는 일을 시도할 것이다. 이 일은 공동서신에 접근하는 기존의 관점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공동서신을 통합해서 읽기 위한 독서 전략을 수립하는 첫 단계이다. 문제는 ‘공동서신을 통합하는 요소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것을 찾는 일이 매우 어려울 것이라 예상하지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의외로 쉽게 찾아질 수 있다. 공동서신이 ‘서신’이라고 하는 문학 장르의 특성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서신서는 대체로 발신자, 수신자 그리고 전하는 메시지로 구성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