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1350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0-05-20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서론: 언약 연구의 문제와 진단
제1장 신학적 논의의 과도성
제2장 해석학적 논의의 최소성
제3장 언약 연구의 옛 관점
제4장 옛 관점의 한계
제1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
제5장 언약 연구의 새 지평
제6장 새 지평의 정당성 증명
제7장 시내산 언약과 다른 언약들과의 관계
제2부 시내산 언약의 특징들
제8장 백성 전체와 맺은 언약
제9장 중보자를 통해서 맺은 언약
제10장 언약식의 전 과정이 나와 있는 언약
제11장 언약을 관리하는 원리가 주어진 언약
제3부 새 지평의 신학적 기여
제12장 언약의 개념을 정립함
제13장 언약의 종류를 통일시킴
제14장 언약의 성격을 조화시킴
제15장 언약의 목적을 실현해 나감
제4부 새 지평의 해석학적 공헌
제16장 언약적 해석학
제17장 언약적 해석학을 위한 과제(1)
제18장 언약적 해석학을 위한 과제(2)
제19장 언약으로 읽는 구약
제20장 언약으로 읽는 신약
결론: 관점의 변화를 기대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경은 언약의 책으로서 언약을 중심으로 읽고 해석되어야 하며, 가르치고 배워야 하며, 서로 나누고 삶 가운데 적용되어야 한다. 성경에서 언약을 빼면 그 중심적인 주제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고, 나아가 성경 해석에서도 언약을 도외시하면 그 방향성과 목표를 잃게 되는 것이다. 결국, 언약은 성경과 성경 해석 둘 다에 있어서 중심 주제요 주된 연구 대상인 셈이다.
성경은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왕과 백성의 특별한 유대를 형성하시고 이것을 온전히 실현해 내시는 전 과정에 대한 것을 주된 내용으로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관점은 이 성경의 구조와 내용을 잘못 파악하게 함으로 언약 연구에 복잡성과 혼란을 가중하는 것이다.
신약의 새 언약에 대비되는 옛 언약은 구약 성경이 기록하고 있는 모든 언약이 아니라 그중의 하나인 시내산 언약이다. 이 언약은 신약의 새 언약과 대비되는 구약의 언약으로서 구약 성경이 집중해서 다루는 언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