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472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2-08-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유 택 상 장로 필라델피아 임마누엘교회 원로
감사의 글 10
저자 서문 12
제1장 교회보편성의 위기
교회의 현주소를 시급히 확인하라! 17
1. 건강한 교회의 관점(perspective), 3K 17
2. 교회보편성의 대전제, 하나님의 창조세계 20
3‘. 보편’과 관련된 철학과 신학의 역사, 초월과 내재 24
4. 3K에 대한 ‘종교화’의 도전, 교파주의, 교회외형주의 31
5. 메타 도구 시대(Context)와 공간 35
6. 지구라는 공간 문제(Context)에 대한 현대의 생각 40
7. 가상공간 속의 교회보편성에 대한 도전 45
제2장 교회보편성에 대한 어원적 접근, 에클레시아
그리스도의 충만인 교회를 어찌 인간의 언어로 담겠는가? 63
1. 히브리어의 ‘교회’ 사용 64
2. 히브리어 ‘교회’의 사용이 가진 신학적 의미 66
3. 헬라어의 ‘교회’ 사용 71
4. 헬라어 ‘교회’의 사용이 가진 신학적 의미 74
5. 교회 공동체로의 ‘에클레시아’ 전환 77
6. 교회의 본질로서 ‘에클레시아’ 79
7. 어원적 접근을 통한 교회 본질 정의의 한계점과 적용 81
8. 보편교회로서 ‘에클레시아’를 지역교회로서 ‘에클레시아’에 포함하려는 시도의 오류 87
제3장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그리스도의 몸과 인간의 몸을 유비 관계로 삼는 이유에 대한 소고 91
1. 기본 질문들 93
2. ‘그리스도의 몸’과 ‘인간의 몸’의 유비 관계 94
3. 신비성 97
4. 전인성 106
5. 구원 열망성 118
제4장 교회보편성, 통전적(holistic) 이해
그리스도께서 오신 이유, 교회보편성 127
1. 교회보편성에 대한 약사 130
2. 그리스도의 충만의 보편성 136
3. 그리스도의 시간의 충만, 언약사 140
4. 그리스도의 공간의 충만, 성막과 성전 144
5. 그리스도의 충만의 보편적 성취 147
6. 교회가 지향해야 할 보편적 사명 150
제5장 교회보편성의 현대적 재정립
교회 생태계를 되살려라 156
1. 교회보편성의 가시적 필요와 한계 158
2. 가시적 교회와 비가시적 교회의 조화와 균형 162
3. 교회보편성의 유기체적 성격 168
제6장 교회보편성의 완성
그리스도의 충만이 최종 성취되는 새 땅을 바라보라 182
1. 교회보편성의 완성으로서의 새 땅 185
2. 거룩한 완성 197
제7장 그리스도의 보편적 충만을 누리는 건강한 교회
그리스도의 보편적 충만을 순결하고 지혜롭게 추구하라 208
1. 그리스도의 보편적 충만을 순결하게: 새로운 사회계약 흐름과 교회 신뢰도 210
2. 그리스도의 보편적 충만을 지혜롭게: 신복음주의 연합운동에 대한 제언 219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회는 보편적(우주적)일 뿐 아니라 지역적이며, 또한 지역적 교회는 보편적 교회로 존재한다. 여기서 교회는 온전함을 추구하는데, 여기서 교회가 온전하다고 하는 것은 교회 외형의 문제도 교파주의도 아닌, 그 가치 자체가 그리스도의 피 값으로 이루어진 것이기에 무한의 가치를 지닌다는 뜻이다. 이 땅을 창조하시고, 이스라엘을 선민 삼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것을 거룩하게 하시고 한 몸으로 통일되게 하시는 것은 하나님의 보편적 충만의 원인과 결과일 뿐만 아니라, 그것을 증거하라는 유일하신 하나님의 지상명령 때문이다.
교회는 역사적으로 끊임없이 변천해 오고 있다. 그런 역사 속에서 교회의 본질을 규명하는 일은 단순하지 않으며 철학적 해석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주어진’ 것이요, ‘제정된’ 것이며 ‘맡겨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온 세상을 위해 존재하는 교회는 근원적 본질에 충실해야 하는데, 그것은 ‘부동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적응성’에 있다는 점에서 교회는 날마다 새롭게 개혁되며 역사의 변화 속에 적응해야 한다.44
종합하면, 고전기로부터 현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이르기까지 인간 이해를 영혼과 몸의 전인적 이해를 하느냐, 아니면, 영과 육과 혼으로 나누어 이해하느냐에 따라 개인과 가정과 사회에 끼치는 영향들은 지대한 것은 물론이고,58 신학적인 부분에서 그리스도의 성육신이 지닌 몸의 신비에 대해 도전하게 된다. 그런데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하나님께서는 이런 도전 가운데서도 몸의 전인성을 통해 그리스도의 성육신 신비를 조금이라도 배우게 하신다..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