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교회개척/성장론
· ISBN : 9788934125778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3-07-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김 경 윤 박사 광신대학교 총장
감사의 글 9
저자 서문 10
제1장 교회 통일성의 현주소
가장 쉽지만 가장 못하는 것! 19
1. 신학의 부재 20
2. 건강한 교회론, 교회 본질과 사명 회복의 해빙점 27
3. 몇 가지 추론 29
4. 교회 속성과 구조의 관계 30
5. 교회 통일성의 부재 원인 32
제2장 교회 통일성의 근원과 신학 부재의 역사
언제 가슴이 뜨거워지는가? 46
1. 교회 공동체론의 뿌리 48
2. 신학 부재의 공동체론 역사 66
제3장 교회 통일성의 성격 86
교회이기에 진정한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86
1. 교회와 하나님 나라 89
2. 성령 공동체의 코이노니아 98
3. 신약에 나타난 교회 공동체와 그리스도의 몸 107
제4장 교회 통일성의 연합에 대한 논의
주입인가? 은혜인가? 123
1.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비유적인가? 실제적인가? 124
2. 성례전으로서 그리스도의 임재를 통한 연합 134
3. 은혜인가? 주입인가? 148
제5장 교회 통일성의 실천(Out)
세상 한 가운데 세워진 교회! 161
1. 교회 공동체가 속해 있는 세상 문화 163
2. 교회 공동체가 속해 있는 현세대 178
제6장 교회 공동체의 실천(In)
교회 공동체의 오감은 건강한가? 196
1. 눈으로 보는 교회, 교회 이미지 198
2. 귀로 듣는 교회, 교회 소리 203
3. 입으로 맛보는 교회, 교회 맛 208
4. 코로 맡는 교회, 교회 냄새 214
5. 몸으로 느끼는 교회, 교회 분위기 217
참고 문헌 224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회 통일성은 무엇보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중심으로 한다. 그 연합으로부터 흘러나온 성도 간의 연합은 구속의 귀중한 열매이자 공동체의 혈액이다. 교회는 마치 사고를 당한 환자와 같이, 급한 혈액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교회가 그리스도의 몸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분열하는 심각함을 생각할 때도, 현대 교회가 회복해야 할 우선적 교회의 표상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교회론임이 분명하다.
교회 통일성은 근원적으로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연합’에 관한 것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연합, 참여, 하나 됨 등의 개념은 삼위일체 하나님 간의 상호 교류, 즉, 성부의 뜻이 그리스도를 통해, 그리고 성령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