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고대 이스라엘 사회사

고대 이스라엘 사회사

라이너 케슬러 (지은이), 민경구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900원 -10% 0원
1,050원
17,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고대 이스라엘 사회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대 이스라엘 사회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4124856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2-09-20

책 소개

이스라엘을 국가 이전 시대에서부터 국가 시대 그리고 포로기를 거쳐서 헬라, 로마 시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구조로 설명한다. 이 방대한 연구를 통해 저자는 고대 이스라엘의 다양한 삶의 형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해 준다.

목차

추천사 1 강철구 박사│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1
추천사 2 기민석 박사│한국침례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 3
추천사 3 김종은 박사│Marburg대학교 구약학(Dr. theol) 4
추천사 4 임시영 박사│성결교신대원 원장, 신수동교회 담임목사 5
저자 서문 12
역자 서문 14

제1장 서론 17
1. 특별한 분야와 방법으로서 사회사 17
2. 사건사(Ereignisgeschichte)와 “오랜 기간” 20
3. 사회사 서술 23
4. 연구사 26
제2장 이스라엘 사회사 방법론 입문 43
1. 삶의 공간으로서 환경 43
2. 물질적 유산들 48
3. 히브리 성서의 본문들 56
4. 유사성에 대한 연구 70
제3장 이스라엘 사회사의 시대 입문 77
1. 친족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 집단으로서 이스라엘 생성 82
2. 초기 이스라엘과 유다에서 발생한 국가 126
3. 고대 계층 사회의 형성 201
4. 포로와 그 결과 224
5. 페르시아 시대의 지방 사회 집단 244
6.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 민족 312
결론 352
1. 이스라엘 사회사의 시대를 관통하는 특징들 352
2. 이스라엘 정체성 355
3. 조망: 사회사의 신학적 중요성에 대하여 357

사료 모음집 360
고대 문헌 361
참고 문헌 362
성경 색인 400

저자소개

라이너 케슬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Heidelberg대학교(Dissertation) Bethel대학교(Habilitation) Marburg대학교 구약학 은퇴교수
펼치기
민경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세대학교(M.Div.)를 졸업했고, 독일 부퍼탈 대학교에서 2년간 수학했다. 뮌스터 대학교에서 아헨바흐(R. Achenbach)의 지도하에 ‘영과 토라’(Geist und Tora)라는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Dr.theol.). 현재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에서 구약을 가르치며, 무료 인터넷 월간지 「디 브뤼케」(Die Brucke)를 발행하여 해외 선교사, 미자립 교회 목회자, 지역 교회 목회자 들을 섬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다시 읽는 창세기』(이레서원)가 있고, 옮긴 책으로 『고대 이스라엘 사회사』 『구약신학 연구동향』(CLC)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지되어야 할 것이 있다. 사회사는 “완만하게 변화하는 역사”이다. 사회사가 역사 서술이라는 점에서 볼 때, 사회사는 당연히 변화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사회사는 우선적으로 형태를—좀더 나은 표현으로는 다양한 형태들을—인식한다. 사회사가 연구하는 사회 집단은 이러한 형태를 수용했으며, 이 형태들은 상당히 오랜 시대를 지나면서 견고히 되었다. 그러므로 사회사는 모든 개별적인 사건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또한 사회사가 참고한 모든 사료를 십 년 단위로 정확하게 연대 설정할 필요가 없다. 사회사는 사건과 사료의 연대 측정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 검증된 불명확성(eine gewisse kontrollierte Unscharfe)을 허용할 수 있다.


개념 형성의 가장 보편적 영역을 토대로—예를 들어 ‘국가’ 개념의 경우에—우리는 원칙적으로 역사와 현재에 존재하는 모든 사회 집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고대 이스라엘 사회 집단의 특별한 사회적 형태를 조사하려 한다면, 시대적 그리고 객관적 근접성을 근거로 구조적 유사성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사회 집단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고대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한편으로는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사회집단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민족학이 사회 집단에 대해 다루었듯이, 역사적 그리고 현존하는 사회 집단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나안 땅의 상황과 관련하여 성서는 하나의 모습을 보여 주는데, 그에 따르면 “가나안”은 정치적으로 통일된 집단이 아니라, 오히려 수많은 왕권으로 분산되었다. 땅 점유 이야기에는 “여리고 왕”(수 2:2-3), “아이 왕”(수 8:1-3, 14, 23, 29), “예루살렘 왕”(수 10:1, 3, 5, 23) 그리고 많은 다른 왕이 언급된다. 여호수아 10:1-27에 따르면 예루살렘 왕은 홀로 이스라엘과 대항하여 싸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다섯 도시의 왕과 연합했다. 그리고 여호수아 11:1-15에 따르면 “하솔 왕”은 더 많은 통치자와 연합을 꾀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